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600555
한자 父敎里白瓷-傳甕器窯址
영어의미역 Pottery Kiln Site at Baekja Village Bugyo-ri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터
지역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부교리 79-4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종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옹기요지
원건물 건립시기/일시 일제강점기
소재지 주소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부교리 79-4 지도보기

[정의]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부교리 백자마을에서 일제강점기 옹기요지라고 전하는 터.

[개설]

옹기는 전통적으로 발효 식품을 기반으로 하는 한국인의 음식 문화에 가장 적합한 저장 용기이다. 일찍부터 우리 민족은 옹기를 조미료와 주식·부식물의 저장 용구, 주류 발효 도구, 음료수 저장 용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였다. 찰흙 안에 들어 있는 수많은 모래 알갱이가 그릇에 미세한 공기구멍을 만들고 이것이 옹기의 안과 밖으로 공기를 통하게 해서 음식물을 잘 익게 하고 오랫동안 보존해 준다.

된장, 간장, 김치, 젓갈 같은 발효 음식의 저장 그릇으로 옹기가 많이 사용되어 온 것도 이러한 옹기의 특성 때문이다. 쌀이나 보리, 씨앗 등도 옹기에 넣어 두면 다음 해까지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이는 옹기를 가마 안에 넣고 구울 때, 나무가 타면서 생기는 검댕이 옹기의 안과 밖을 휘감으면서 방부성 물질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옹기를 만드는 과정은, 흙을 반죽해서 응달에 약간 말린 뒤 떡메로 쳐서 벽돌 모양으로 만들고, 바닥에 쳐서 판자 모양의 타래미로 만든다. 이를 ‘판장질’이라고 한다. 그 다음 타래미를 물레 위에 올려놓고 방망이로 타림질[다듬는 일]을 한다. 옹기의 모양은 물레의 속도와 손놀림에 따라 결정된다.

1960년대 말부터 옹기가 플라스틱·스테인리스 그릇에 밀려 점점 사라질 위기에 처하자, 문화부에서는 옹기 보호책으로 1989년 5월 옹기인간문화재를 지정하였으며, 1990년 옹기장(甕器匠)을 국가무형문화재 제96호로 지정하였다.

[위치]

부교리 백자마을 전 옹기요지는 현재 백자마을회관이 위치하고 있는 곳으로, 앞쪽에 논을 사이에 두고 구릉과 마주보고 있다.

[현황]

김제시 용지면 부교리 백자마을 주민들에 의하면, 50여 년 전인 1940년대에 옹기 굽는 가마가 사라졌다고 한다. 현재 백자마을회관 주변에서 옹기 조각이나 흔적을 찾아볼 수는 없지만, 여기에서 조금 떨어진 밭에서는 상당수의 옹기 조각들이 확인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