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601556
한자 五穀-
영어음역 Ogokbab
영어의미역 Rice Boiled with Five Grains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음식물/음식물
지역 전라북도 김제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정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음식
재료 찹쌀|차조|붉은팥|찰수수|검은콩
관련의례/행사 정월 대보름
계절 겨울

[정의]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다섯 가지 곡식으로 지은 정월 대보름 절식의 하나.

[연원 및 변천]

오곡밥은 장수를 기원하는 음식의 하나로 신라시대 까치에게 감사하며 정월 대보름 제사상에 올리던 약밥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진다. 약밥에 사용되는 잣, 밤, 대추 등의 귀한 재료를 구할 수 없었던 일반 평민들이 약밥 대신 쌀과 콩 등의 다섯 가지 곡식을 넣어 오곡밥을 지어 먹었다고 한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도 음력 정월 대보름의 절식(節食)으로 약반(藥飯)[약밥]이란 음식 이름만 들어 있다. 이러한 기록으로 추측건대, 본래는 대보름 절식으로 약밥만을 즐겼으나 시대가 지나고 생활양식이 달라지면서 약밥보다는 풍습적인 오곡밥으로 바뀐 것으로 생각된다. 오곡밥에는 특히 그 해의 곡식이 잘되기를 바라는 뜻이 담겨 있다. 이 때문에 농사를 짓는 사람은 농사지은 곡식을 종류별로 모두 넣어서 오곡밥을 지어먹었다.

[만드는 법]

찰곡식만 가지고 지으려면 찹쌀, 차수수, 차좁쌀, 붉은팥, 검정콩 등 다섯 가지를 시루에 쪄내고, 솥에 지으려면 멥쌀 분량을 찹쌀, 차수수, 차좁쌀을 합한 분량만큼 섞어서 짓는다. 곡식은 섞어서 씻지 않고 모두 각각 씻으며, 멥쌀과 찹쌀은 각각 불려놓고 붉은 팥은 터지지 않을 정도로 삶는다. 무쇠 솥에 지을 때만 우선 콩을 깔고 위에 멥쌀을 반만 놓고 그 위에 팥과 차수수, 찹쌀을 안친다. 밥물은 찰 것이 많으므로 자작하게 붓는다. 밥이 끓기 시작하면 차차 중불로 줄이고, 좁쌀 씻은 것을 위에 얹어 뜸을 오래 들인다. 찰곡식은 콩과 팥 등을 섞어 짓는 것이 더 잘 지어지고 맛도 좋아진다.

양이 많을 경우 시루에 찌는 것이 눋지 않아 더 좋다. 시루에 찔 때는 곡식을 모두 물에 불리고 팥도 한 번 삶아야 한다. 또한 찌는 동안에도 가끔씩 찬물을 뿌려 주어야 잘 쪄진다. 시루에 찔 때는 멥쌀은 넣지 않는다. 콩과 팥을 넣을 경우 소금을 조금 넣으면 맛이 더 좋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오곡밥은 정월 대보름 전날 저녁에 미리 지어서 아홉 가지 나물과 함께 보름 명절 음식으로 삼아왔다. 특히 대보름날에는 다른 성을 가진 세 집 이상의 밥을 먹어야 그 해의 운이 좋다고 하여 여러 집의 오곡밥을 서로 나누어 먹고, 또 그날 하루 동안 아홉 번 먹어야 좋다고 하여 틈틈이 여러 번 나누어서 조금씩 먹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