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02015 |
---|---|
한자 | 動物相 |
영어의미역 | Animals and Plants |
분야 | 지리/동식물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선우 |
경상남도 창원시의 자연계에 분포하고 있는 포유류, 조류, 파충류, 양서류, 어류 등 동물의 생태 현황.
창원시의 동물상에 대하여 조사된 자료는 주로 통합 이전 창원시의 생태계 조사 자료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한편, 옛 마산 지역이나 진해 지역의 생태계 조사는 충분히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창원시의 동물상은 기초 자료에서 생태계에 관한 조사 목록이 반영되어 있는 『2004년도 창원시 자연 생태계 모니터링』에 관한 보고서를 기준으로 하였다.
본 자료에 반영할 동물의 분류군은 어류·양서류·파충류·조류·포유류로 나누었으며, 동물상이 반영된 창원 지역은 정병산·대암산·불모산·장복산·산성산·팔룡산·용추 계곡·주요 하천·산남 저수지·주남저수지·동판 저수지·불모산 저수지·용지 호수 등이다. 동물의 명칭은 『한국 동물명집』을 기준으로 하였다.
어류의 경우 산성산에서는 붕어와 미꾸라지 2종, 용추 계곡에서는 붕어·버들치·송사리·큰 입 우럭·밀어·미꾸라지 등 6종, 남천에서는 왜몰개·버들치·참붕어 등 8종, 창원천에서는 왜몰개·붕어·버들치 등 8종, 하남천에서는 버들치·미꾸라지·미꾸리·밀어 등 4종, 내동천에서는 붕어·참붕어 등 2종, 산남 저수지에서는 붕어·떡붕어 등 10종이 당시 현지 조사에서 확인되었으며, 문헌 자료와 합치면 산남 저수지의 어류는 총 31종이 된다.
주남저수지에서는 미꾸라지와 파랑 볼 우럭 등 9종이 당시 현지 조사에서 확인되었으며, 문헌 자료와 합치면 총 32종이 된다. 동판 저수지에서는 붕어와 잉어 등 7종이 현지 조사에서 확인되었으며, 문헌 자료와 합치면 총 33종이 된다. 불모산 저수지의 어류는 각시붕어와 긴몰개 등 8종이 당시 현지 조사에서 확인되었으며, 문헌 자료와 합치면 총 9종이 된다. 용지 호수에서는 참붕어·메기·잉어 등 9종의 어류가 확인되었다.
창원시의 양서류는 도롱뇽, 무당개구리, 두꺼비, 청개구리, 개구리, 산개구리, 옴개구리 등 7종이 보고되었다. 지역별로는 산성산에서 무당개구리·두꺼비·청개구리·개구리·산개구리·옴개구리 6종이 보고되었고, 팔룡산에서 도롱뇽·무당개구리·개구리·산개구리의 4종, 용추 계곡에서는 도롱뇽과 청개구리 등 7종, 토월천에서는 도롱뇽과 개구리 등 2종, 남천에서는 무당개구리 등 6종, 창원천에서는 도롱뇽 등 5종, 하남천에서는 도롱뇽 등 3종, 내동천에서는 황소개구리와 개구리 등 2종, 산남 저수지와 주남저수지 및 동판 저수지에서도 황소개구리와 개구리가 각각 보고되었다. 불모산 저수지의 양서류는 무당개구리와 옴개구리 등 4종이었으며 용지 호수에서는 개구리 1종만이 확인되었다.
우리나라에는 모두 29종의 파충류가 있는데, 창원시에서는 붉은 귀 거북, 도마뱀, 아무르 장지 뱀, 줄 장지 뱀, 누룩 뱀, 무자치, 유혈목이, 능구렁이, 쇠살모사, 살모사, 까치살모사 등 11종이 확인되고 있다. 불모산에서 11종이 모두 보고되었다. 정병산과 장복산에서는 까치살모사를 제외한 10종이 보고되었으며, 대암산에서 8종, 주남저수지와 산남 저수지, 동판 저수지에서는 6종씩 확인되었으며, 그 외 지역에서는 5종 이하의 파충류가 확인되었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조류는 450종이 기록되어 있는데 창원시에서는 80종이 확인되었다. 봄에는 55종, 여름에 38종, 가을에 47종, 겨울에 가장 많은 54종이었다. 개체 수도 겨울이 단연 많았는데, 수적으로 많은 것은 쇠기러기, 흰 죽지, 흰 뺨 검둥오리, 청둥오리, 물 닭의 순이었다. 2004년 기준 창원시 조류의 이동을 유형별로 정리하면 텃새가 29종으로 가장 많고 여름새가 17종, 나그네새와 떠돌이새가 3종이었다, 창원시에서 관찰된 80종 중에서 천연기념물과 희귀종 및 보호종은 15종이었다.
2004년 기준으로 창원시의 18개 조사 지역에서 기록된 포유류는 22종이다. 그 중 천연기념물로 멸종 위기종인 수달과 보호 야생종인 삵이 불모산에서 기록되었다. 불모산이 22종으로 가장 많았고 장복산과 정병산, 그리고 대암산이 15~17종, 산성산 11종, 팔룡산 12종이었다. 또한 용추 계곡에서는 12종, 주요 하천에서는 4종, 주남저수지와 동판 저수지 및 불모산 저수지에서는 모두 10종씩, 산남 저수지는 9종, 용지 호수는 3종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