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02015 |
---|---|
한자 | 動物相 |
영어의미역 | Animals and Plants |
분야 | 지리/동식물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선우 |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의 자연계에 분포하고 있는 포유류, 조류, 파충류, 양서류, 어류 등 동물의 생태 현황.
[개설]
창원시의 동물상에 대하여 조사된 자료는 주로 통합 이전 창원시의 생태계 조사 자료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한편, 옛 마산 지역이나 진해 지역의 생태계 조사는 충분히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창원시의 동물상은 기초 자료에서 생태계에 관한 조사 목록이 반영되어 있는 『2004년도 창원시 자연 생태계 모니터링』에 관한 보고서를 기준으로 하였다.
본 자료에 반영할 동물의 분류군은 어류·양서류·파충류·조류·포유류로 나누었으며, 동물상이 반영된 창원 지역은 정병산·대암산·불모산·장복산·산성산·팔룡산·용추 계곡·주요 하천·산남 저수지·주남저수지·동판 저수지·불모산 저수지·용지 호수 등이다. 동물의 명칭은 『한국 동물명집』을 기준으로 하였다.
[어류]
어류의 경우 산성산에서는 붕어와 미꾸라지 2종, 용추 계곡에서는 붕어·버들치·송사리·큰 입 우럭·밀어·미꾸라지 등 6종, 남천에서는 왜몰개·버들치·참붕어 등 8종, 창원천에서는 왜몰개·붕어·버들치 등 8종, 하남천에서는 버들치·미꾸라지·미꾸리·밀어 등 4종, 내동천에서는 붕어·참붕어 등 2종, 산남 저수지에서는 붕어·떡붕어 등 10종이 당시 현지 조사에서 확인되었으며, 문헌 자료와 합치면 산남 저수지의 어류는 총 31종이 된다.
주남저수지에서는 미꾸라지와 파랑 볼 우럭 등 9종이 당시 현지 조사에서 확인되었으며, 문헌 자료와 합치면 총 32종이 된다. 동판 저수지에서는 붕어와 잉어 등 7종이 현지 조사에서 확인되었으며, 문헌 자료와 합치면 총 33종이 된다. 불모산 저수지의 어류는 각시붕어와 긴몰개 등 8종이 당시 현지 조사에서 확인되었으며, 문헌 자료와 합치면 총 9종이 된다. 용지 호수에서는 참붕어·메기·잉어 등 9종의 어류가 확인되었다.
[양서류]
창원시의 양서류는 도롱뇽, 무당개구리, 두꺼비, 청개구리, 개구리, 산개구리, 옴개구리 등 7종이 보고되었다. 지역별로는 산성산에서 무당개구리·두꺼비·청개구리·개구리·산개구리·옴개구리 6종이 보고되었고, 팔룡산에서 도롱뇽·무당개구리·개구리·산개구리의 4종, 용추 계곡에서는 도롱뇽과 청개구리 등 7종, 토월천에서는 도롱뇽과 개구리 등 2종, 남천에서는 무당개구리 등 6종, 창원천에서는 도롱뇽 등 5종, 하남천에서는 도롱뇽 등 3종, 내동천에서는 황소개구리와 개구리 등 2종, 산남 저수지와 주남저수지 및 동판 저수지에서도 황소개구리와 개구리가 각각 보고되었다. 불모산 저수지의 양서류는 무당개구리와 옴개구리 등 4종이었으며 용지 호수에서는 개구리 1종만이 확인되었다.
[파충류]
우리나라에는 모두 29종의 파충류가 있는데, 창원시에서는 붉은 귀 거북, 도마뱀, 아무르 장지 뱀, 줄 장지 뱀, 누룩 뱀, 무자치, 유혈목이, 능구렁이, 쇠살모사, 살모사, 까치살모사 등 11종이 확인되고 있다. 불모산에서 11종이 모두 보고되었다. 정병산과 장복산에서는 까치살모사를 제외한 10종이 보고되었으며, 대암산에서 8종, 주남저수지와 산남 저수지, 동판 저수지에서는 6종씩 확인되었으며, 그 외 지역에서는 5종 이하의 파충류가 확인되었다.
[조류]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조류는 450종이 기록되어 있는데 창원시에서는 80종이 확인되었다. 봄에는 55종, 여름에 38종, 가을에 47종, 겨울에 가장 많은 54종이었다. 개체 수도 겨울이 단연 많았는데, 수적으로 많은 것은 쇠기러기, 흰 죽지, 흰 뺨 검둥오리, 청둥오리, 물 닭의 순이었다. 2004년 기준 창원시 조류의 이동을 유형별로 정리하면 텃새가 29종으로 가장 많고 여름새가 17종, 나그네새와 떠돌이새가 3종이었다, 창원시에서 관찰된 80종 중에서 천연기념물과 희귀종 및 보호종은 15종이었다.
[포유류]
2004년 기준으로 창원시의 18개 조사 지역에서 기록된 포유류는 22종이다. 그 중 천연기념물로 멸종 위기종인 수달과 보호 야생종인 삵이 불모산에서 기록되었다. 불모산이 22종으로 가장 많았고 장복산과 정병산, 그리고 대암산이 15~17종, 산성산 11종, 팔룡산 12종이었다. 또한 용추 계곡에서는 12종, 주요 하천에서는 4종, 주남저수지와 동판 저수지 및 불모산 저수지에서는 모두 10종씩, 산남 저수지는 9종, 용지 호수는 3종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