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청도가」 이전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501553
한자 淸道歌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작품/음악·공연 작품 및 영상물
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태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노래
양식 신파조

[정의]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청도 팔경을 예찬한 노래.

[개설]

「청도가」는 일제 강점기부터 광복 이후까지 부른 청도 지역의 노래이다. 곡조는 이수일과 심순애의 이야기로 잘 알려진 『장한몽』의 노랫가락을 차용하여 불렀다고 전한다. 청도의 자연환경과 청도 팔경에 대해서 노래하였다.

[구성]

「청도가」는 6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청도의 지형적 특색, 인심, 위치, 청도 팔경을 각 절로 나누어 노래하였다. 1절에서는 청도의 지형적 특색과 역사적 특색을 노래하였으며, 2절에서는 청도의 인문 지리적 위치와 풍속을 노래하였다. 3절에서는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청도 군민의 기상을 노래하였으며, 4절은 청도 팔경 중 하나인 남산 중턱에 있는 낙대폭포(落臺瀑布)와 화양읍 유등리에 있는 유호연화(柳湖蓮花)를 노래하였다. 5절은 청도 팔경운문사에서 울리는 새벽 종소리와 새벽 경치인 운문효종(雲門曉鐘)과 자계 서원청도천에 비친 보름달인 자계제월(紫溪霽月)을 노래하였으며, 마지막 6절은 청도 팔경인 가랑비가 내리는 저녁에 폐성지에서 바라보는 용각산의 풍경인 용각모우(龍角暮雨)와 유천에서 은어를 잡을 때 밤하늘에 횃불을 돌리는 풍경인 유천어화(楡川漁火)를 노래하였다.

[내용]

[1절] 산명하고 수려한 우리 청도군/ 천년 여전 이서국 고도로서/ 남북은 육십 리요, 동서 백오십 리/ 중첩한 산맥으로 외로이 있네

[2절] 동부는 경주 화산, 남은 밀양이요/ 서로는 달성 창녕, 북은 경산이라/ 토수청담(土水淸淡)하고 가거빈(家居貧) 종중(宗中)에도/ 즉시 즉시 물산이 풍부하도다

[3절] 중천에 솟아 있는 저 화악산/ 천고에 종출인 자 몇몇이며/ 구곡으로 흘러오는 산동 냇물은/ 주야불침(晝夜不沈) 용집(湧潗)하는 기상일세

[4절] 백년일편 걸려 있는 약수 폭포는/ 비루직하(沸淚直下) 삼천 척이 아닌가/ 추월추풍 그윽한 연못 경치야/ 군자정에 올라서서 나도 사랑하세

[5절] 구름 속에 젖어 있는 운문사에서/ 새벽 종소리로 잠을 깨운다/ 자계에 달이 들고 물 맑아오니/ 여비여야 탁영 선생 높아서라

[6절] 청천에 삭줄인지 고향 산맥은/ 뉘엿뉘엿 음산(陰山)에 수장(水藏) 거치면/ 용각산에 구름 걷고 절로 비 개니/ 범범주유 유천어화 장관이로다

[의의와 평가]

청도 지역의 다양한 특색을 노래하는 「청도가」는 『장한몽』의 노랫가락에 맞춰 불렀다고 전한다. 채록 당시 청도 서예원의 조용일에게 가사만 받았다. 일제 강점기부터 불러 온 「청도가」의 전승이 완전히 끊어지기 전에 정확한 곡조와 가사를 채록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 인터뷰(청도 서예원 조용일, 2012. 7. 6.)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