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80681 |
---|---|
한자 | 觀水亭 |
영어공식명칭 | Gwansujeong Pavilion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구지서로 706-20[도동리 65]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난아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에 있는 조선 후기에 세운 정자.
관수정(觀水亭)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구지서로 706-20[도동리 65]에 있다. 달성군 현풍읍 소재지에 위치한 현풍 중학교·현풍 고등학교 정문에서 현풍교를 건너 약 300m 가서 달성 우체국 반대 방향으로 우회전하여 현풍서로를 따라 다람재를 넘어 약 8㎞를 가면 달성 도동 서원이 있는 달성군 구지면 도동 1리 마을에 도착한다. 도동 1리 마을 회관에서 진등산으로 오르는 길을 따라 약 800m 올라가면 관수정이 자리한다.
임진왜란 때 곽재우와 함께 의병장으로 활약했던 사우당(四友堂) 김대진(金大振)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경상 감사 이민구와 지역 사림이 1624년(인조 2)에 건립하였고, 1721년(경종 1)에 화재로 불에 탄 것을 1866년(고종 3)에 김대진의 후손인 김규한이 다시 건립하였다.
관수정은 정면 5칸, 측면 1.5칸 규모의 일자형 팔작 기와집이다. 평면 구성은 2칸 대청을 중심으로 오른쪽에 2칸 온돌방을 두고 왼쪽에 1칸 온돌방을 둔 중당 협실형(中堂挾室形)으로, 전면으로 반 칸 규모의 툇마루를 설치하였다. 자연석을 이용하여 막돌 허튼층쌓기를 한 기단 위에 주춧돌을 놓고 전면에는 둥근기둥을 세우고 나머지는 네모진 기둥을 세웠다.
관수정은 2004년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관리는 서흥 김씨 관수정 사우당 종중에서 하고 있다.
관수정은 치목 수법 및 결구 상태가 치밀하고 건물 각부의 비례 구성이 단정하여 안정감을 느끼게 한다. 원형이 잘 보존되어 조선 후기 정자 건축의 흐름을 표현하는 중요한 가치가 있는 건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