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1872 |
---|---|
한자 | 大邱 七星洞 - |
이칭/별칭 | 대구 칠성동 지석묘군Ⅰ,대구 태평로 지석묘Ⅱ,신천 좌안의 고인돌[지석묘군],신천 유역의 고인돌[지석묘군]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고분 |
지역 | 대구광역시 중구 태평로2가 1|태평로2가 12-3 |
시대 | 선사/청동기 |
집필자 | 민선례 |
조성 시기/일시 | 청동기시대 - 대구 칠성동 고인돌 조성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73년 - 대구 칠성동 고인돌 경북대학교 박물관에서 대구 칠성동 고인돌Ⅰ 발굴 조사 |
소재지 | 대구 칠성동 고인돌Ⅰ -
대구광역시 중구 태평로2가 1
![]() |
소재지 | 대구 태평로 고인돌Ⅱ -
대구광역시 중구 태평로2가 12-3
![]() |
성격 | 고분 |
양식 | 고인돌 |
크기(높이,지름) | 120㎝[1호 길이]|120㎝[1호 너비]|70㎝[1호 높이]|110㎝[2호 길이]|150㎝[2호 너비]|110㎝[2호 높이]|140㎝[3호 길이]|180㎝[3호 너비]|170㎝[3호 높이]|170㎝[4호 길이]|160㎝[4호 너비]|180㎝[4호 높이]|150㎝[5호 길이]|200㎝[5호 너비]|150㎝[5호 높이]|200㎝[6호 길이]|80㎝[6호 너비]|120㎝[6호 높이]|200㎝[7호 길이]|130㎝[7호 너비]|80㎝[7호 높이] |
대구광역시 북구 칠성동 일대에 있었던 청동기시대 고인돌.
대구 칠성동 고인돌은 대구광역시 북구 칠성동 일대에 있었던 청동기시대 고인돌이며, 대구 칠성동 고인돌Ⅰ, 대구 태평로 고인돌Ⅱ로 구분된다. 신천의 자연제방에 분포하던 고인돌 중 가장 하류에 있으며 ‘신천 좌안의 고인돌’ 또는 ‘신천 유역의 고인돌’로 불린다.
대구 칠성동 고인돌Ⅰ은 『대구부사(大邱府史)』에 칠성동 공회당 서쪽에 타원형으로 배치되어 7기가 있었다고 전한다. 고인돌 덮개돌[상석]에 1795년(정조 19)부터 3년간 경상감사로 있었던 이태영(李泰永)의 일곱 아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어 ‘칠성바위’라고도 불리었다. ‘칠성동’이라는 이름도 칠성바위에서 유래하였다. 대구 태평로 고인돌Ⅱ는 『대구부사』에 칠성정(七星町) 북쪽 도로 위에 있었다고 하지만, 일제강점기에 이미 없어졌다고 한다.
대구 칠성동 고인돌Ⅰ[대구광역시 중구 태평로2가 1번지]은 지하철 대구역 소공원[북구 칠성동2가 302번지]에 옮겨져 있다. 대구 태평로 고인돌Ⅱ[태평로2가 12-3번지 일대]는 대구콘서트하우스 도로 맞은편에서 남서쪽으로 100m 정도 떨어져 있었다고 한다. 현재 2023년 완공 예정 힐스테이트대구역아파트 공사를 진행하고 있는 위치이다.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 조사에서는 덮개돌 아래 냇돌이 깔려 있고, 무덤은 없었다고 하였다. 대구광역시에서 시민회관을 지으면서 1973년 경북대학교 박물관에서 대구 칠성동 고인돌Ⅰ의 고인돌 7기를 조사하였지만, 하부구조는 확인되지 않았다.
대구 칠성동 고인돌 1호는 길이 120㎝, 너비 120㎝, 높이 70㎝이고, ‘義斗(의두)’라고 새겨져 있다. 2호는 길이 110㎝, 너비 150㎝, 높이 110㎝이고, ‘義平(의평]’이라고 새겨져 있다. 3호는 길이 140㎝, 너비 180㎝, 높이 170㎝이고, ‘義升(의승)’이라고 새겨져 있다. 4호는 길이 170㎝, 너비 160㎝, 높이 180㎝이고, ‘義甲(의갑)’이라고 새겨져 있다. 5호는 길이 150㎝, 너비 200㎝, 높이 150㎝이고, ‘義準(의준)’이라고 새겨져 있다. 6호는 길이 200㎝, 너비 80㎝, 높이 120㎝이고, ‘義肇(의조)’라고 새겨져 있다. 7호는 길이 200㎝, 너비 130㎝, 높이 80㎝이고, ‘義章(의장)’이라고 새겨져 있다.
대구 칠성동 고인돌Ⅰ은 칠성동 공회당 서쪽에 있었다고 전하며, 대구시에서 공회당을 헐고 시민회관을 신축하면서 발굴 조사를 진행한 후 시민회관의 동남쪽으로 옮겼다. 다시 1998년 대구도시철도1호선 대구역 소공원으로 이전하였다.
대구 칠성동 고인돌에 대한 조사기록에 따르면 상석 아래에서는 냇돌만 확인될 뿐 무덤 등의 하부구조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신천 유역의 가장 하류에서 확인되는 점 등으로 보아 고인돌이 마을의 표시석과 같은 기능을 하였을 가능성도 보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