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20909 |
---|---|
한자 | 百源書院 |
영어공식명칭 | Baekwon Confucian Academy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도평로51길 18 [도동 497]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송은석 |
건립 시기/일시 | 1692년![]() |
---|---|
이전 시기/일시 | 1928년 - 백원서원 이전 |
훼철|철거 시기/일시 | 1868년 - 백원서원 훼철 |
현 소재지 | 백원서원 -
대구광역시 동구 도평로51길 18[대구광역시 동구 도동 497]![]() |
원소재지 | 백원서원 -
대구광역시 동구 백안동
![]() |
성격 | 서원 |
양식 | 겹처마 팔작지붕 |
정면 칸수 | 4칸 |
측면 칸수 | 1.5칸 |
소유자 | 달성서씨 문중 |
관리자 | 달성서씨 문중 |
조선 후기 대구광역시 동구 도동에 있는 달성서씨 문중의 서원.
백원서원은 효자로 이름이 났던 전귀당(全歸堂) 서시립(徐時立)[1578~1665]을 제향하는 서원이다. 서시립의 자는 입지(立支), 호는 전귀당이며, 달성서씨 감찰공파 파조인 서근중의 6세손이다. 서시립의 호 전귀당은 임진왜란 이후 오봉 이호민이 왕자 태실사(胎室使)로 대구지역에 들렀다가 서시립의 효행을 듣고 지어준 호이다. 온전한 몸으로 태어나 온전하게 돌아간다는 의미이다.
백원서원은 불로시장에서 불로천을 따라 동쪽으로 도동 측백나무 숲[천연기념물 제1호] 방향으로 1.8㎞쯤 지점에서 고속도로 아래를 지나면 곧장 갈림길이 나온다. 여기에서 직진하여 약 700m쯤 가면 좌측으로 넓은 주차장과 함께 백림정이라는 식당이 있다. 식당 옆으로 나 있는 골목길을 200m쯤 가면 우측에 백원서원이 있다.
백원서원이 처음 건립된 것은 1692년(숙종 18)이었다. 이때 백원서원의 위치는 현 위치가 아닌 팔공산 아래 대구광역시 동구 백안동이었다. 이후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의해 훼철되었다가 1922년 본래 위치에 다시 복원되었다. 지금 백원서원은 서시립의 생전 강학소가 있었던 자리로 1928년 이건 되었다.
백원서원은 동·서재 없이 강당과 사우인 경덕사(景德祠)와 서시립의 어머니인 강씨 부인의 효행을 기록한 효행비각이 있다. 강당은 전귀당인데 정면 4칸·측면 1.5칸의 규모에 겹처마 팔작지붕의 건물이다. 정면에서 마주 보았을 때 좌측에서부터 2칸 방·2칸 대청·한 칸 방으로 구성되었으며, 전면으로 반 칸 툇간이 있다.
백원서원은 달성서씨 감찰공파 전귀당 문중에서 관리를 하고 있으며 관리 상태는 양호하다. 현재 비지정문화재이나 사단법인 대구문화유산에 의해 문화재돌봄대상문화재로 등록되어 있다.
달성서씨는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 자락에 세거하고 있는 주요 토박이 성씨 중 하나이다. 그중에서도 대구광역시 동구 도동의 달성서씨 문중은 조선 후기 대구의 대표 유학자 중 한 명이었던 서시립의 후손이다. 따라서 백원서원은 조선 후기 대구광역시 동구 지역 달성서씨 문중의 인물·역사·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유적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