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21282 |
---|---|
한자 | 媤-食口 - |
영어공식명칭 | Family-in-Law Song (Folk Song) |
이칭/별칭 | 시집살이노래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서은 |
채록 시기/일시 | 1983년 8월 13일 - 「시집식구노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채록 |
---|---|
채록지 | 「시집식구노래」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 |
가창권역 | 「시집식구노래」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
성격 | 유희요 |
토리 | 경토리 |
출현음 | 솔라도레미솔라도 |
기능 구분 | 유희요 |
형식 구분 | 독창 |
박자 구조 | 3소박 4박 |
가창자/시연자 | 정분남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에서 불리는 시집살이노래.
「시집식구노래」는 1985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간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 7-13 대구직할시 편 861-862쪽에 사설이 수록되어 있으며, 채록시기는 1983년 8월 13일이다.
「시집식구노래」는 혼자서 부르는 독창 형식이다.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에서 불리는 「시집식구노래」는 시집식구들의 행동과 모습을 자연에 비유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집식구들에 대한 원망이나 좋지 않은 감정을 표현하기보다 순수한 비유를 통해 자연스럽게 표현하고 있다.
밭에다 고추를숨어/울긋불긋 맞동서야
뒷밭에다 수수를숨어/건들건들 시동생아
수수끝에 제비가앉아/제저굴제저굴 시너부야
연기줌치 끈달어차고/잔소도만타 시어머님
남산솔가지 부엉이앉아/부엉부엉 시아바님
사랑앞에 목당화숨어/붕실붕실 내낭군아
얼씨구나좋네 지화자좋아/아니놀지를 못할꺼라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의 「시집식구노래」는 시집살이노래의 일종이지만 신세한탄요가 아닌 유희요로 사설의 내용이 흥미롭다. 즉 자신의 감정을 그대로 드러내지 않고 해학적으로 표현함이 매우 특징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