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21328 |
---|---|
한자 | -峰 孝子泉- 由來 |
영어공식명칭 | The Origin of Saemidukbong Hyojacheon Well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내곡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석배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2008년 9월 30일 - 「새미덕봉 효자천의 유래」 내곡동 주민 김재찬 채록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9년 - 「새미덕봉 효자천의 유래」 『대구지명유래총람』수록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13년 - 「새미덕봉 효자천의 유래」 『대구 동구의 오래된 이야기』수록 |
관련 지명 | 「새미덕봉 효자천의 유래」 - 대구광역시 동구 내곡동 |
채록지 | 「새미덕봉 효자천의 유래」 -
대구광역시 동구 내곡동
![]() |
성격 | 설화 |
주요 등장 인물 | 여대익 |
모티프 유형 | 지명유래담|효행담 |
대구광역시 동구 내곡동의 새미덕봉 효자천이라는 지명에 관하여 전해오는 이야기.
대구광역시, 택민국학연구원, 『대구지명유래총람』(대구광역시, 2009)
김기현, 『대구 동구의 오래된 이야기』(대구광역시 동구 팔공문화원, 2013)
인터뷰(대구광역시 동구 내곡동 주민 김재찬, 남, 2008. 9. 30.)
새미덕봉 효자천은 대구광역시 동구 내곡동에 위치한 자연부락이다. 여대익(呂大翊)[1681~1742]은 아버지 여상제(呂尙齊)가 죽자 내곡동 산록에서 초례봉으로 가는 능선에 아버지의 산소를 마련하고, 시묘살이를 했다. 그런데 그 해는 날씨가 몹시 가물어 갈증을 해소할 수 없을 정도로 물이 부족했다고 한다. 그런데 하늘이 여대익의 효성에 감복을 했는지 비가 오지 않았는데도 바위틈에서 샘물이 솟아, 여대익은 갈증을 풀 수 있었다. 여대익은 샘물 덕분에 3년간 시묘살이를 무사히 마칠 수 있었다. 그 후로 사람들이 그 샘물을 효자천이라 불렀다. 또 샘물 덕을 본 봉우리라는 의미에서 이 지역을 새미덕봉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새미덕봉 효자천의 유래」의 주요 모티프는 여대익의 효행담과 샘으로 생겨난 지명유래담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