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2877 |
---|---|
한자 | 李銖秉 |
영어공식명칭 | Lee Soobyung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대구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윤정원 |
출생 시기/일시 | 1937년 1월 15일 - 이수병 출생 |
---|---|
수학 시기/일시 | 1950년 4월 - 이수병 의령 부림공립초등학교 졸업 |
수학 시기/일시 | 1953년 3월 - 이수병 신반중학교 졸업 |
수학 시기/일시 | 1956년 3월 - 이수병 부산사범학교 졸업 |
수학 시기/일시 | 1959년 3월 - 이수병 신흥대학교 경제학과 2학년 편입 |
활동 시기/일시 | 1960년 11월 - 이수병 경희대학교 민족통일연구회 회장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961년 8월 - 이수병 5·16쿠데타 이후 혁명재판소에서 징역 15년형 언도 |
활동 시기/일시 | 1968년 4월 17일 - 이수병 출소 |
활동 시기/일시 | 1975년 4월 8일 - 이수병 인민혁명당재건위원회사건으로 대법원에서 사형 확정 |
몰년 시기/일시 | 1975년 4월 9일 - 이수병 사망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07년 1월 23일 - 이수병 서울지방법원에서 무죄 판결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15년 11월 - 이수병 서울고등법원에서 무죄 판결 |
출생지 | 손오리 - 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손오리 |
거주|이주지 | 부산 - 부산광역시 |
학교|수학지 | 부림공립초등학교 - 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대한로 1721[신반리 253-1] |
학교|수학지 | 부산사범학교 - 부산광역시 연제구 교대로 24[거제동 285-6] |
학교|수학지 | 신흥대학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경희대로 26 |
활동지 | 부산 - 부산광역시 |
활동지 | 서울 - 서울특별시 |
묘소 | 이수병 묘소 - 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
성격 | 사회운동가|인민혁명당재건위원회사건 희생자 |
성별 | 남성 |
본관 | 인천(仁川) |
대표 경력 | 경희대학교 민족통일연구회 회장 |
대구 지역의 도예종·서도원 등과 함께 활동한 사회운동가이자 인민혁명당재건위원회사건 희생자.
이수병(李銖秉)[1937~1975]은 박정희 정권이 유신 반대 시위를 잠재우기 위하여 1974년에 조작한 인민혁명당재건위원회사건에 연루되어 희생되었다.
이수병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다. 아버지는 이정항이고, 어머니는 황정분이다. 부인은 이정숙이고, 아들은 이동우이다.
이수병은 1937년 1월 15일 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손오리에서 태어났다. 1950년 4월 의령 부림공립초등학교[현 부림초등학교]를 졸업하였고, 1953년 3월 신반중학교를 졸업한 뒤 부산사범학교[현 부산교육대학]에 입학하였다. 1954년에 김금수·이영호·최종국·박중기 등과 함께 사회과학 학습 모임 ‘일꾼회’를 조직하였고, 1955년 ‘암장(岩漿)그룹’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59년 3월 신흥대학교[현 경희대학교] 경제학과 2학년에 편입하였으며, 1960년 11월 경희대학교 민족통일연구회 회장을 맡아 학생 계층의 통일운동을 주도하였다. 5·16군사쿠데타 이후 민족통일전국학생연맹 사건으로 혁명재판소에서 징역 15년형을 선고받고 투옥되었다가 1968년 4월 17일 출소하였다.
이수병은 제2공화국 시기 통일운동 과정에서 도예종(都禮鍾)·우홍선(禹洪善) 등과 민족자주통일중앙위원회 활동을 통해 교류하였으며, 혁명재판을 받은 뒤 수감 생활을 하며 서도원(徐道源)과 친분을 쌓았다. 1971년 대통령 선거 시기에는 도예종·서도원 등과 함께 반독재 민주 후보 당선과 민주화운동을 위한 조직체인 민주수호국민협의회 활동을 전개하였다.
1972년 10월 17일 「유신헌법」이 선포되자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유신 반대 투쟁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이에 박정희 정부는 1974년 4월 3일 「대통령 긴급조치 4호」를 공포한 후 1964년 1차 인민혁명당사건 관련 인사들을 체포하여 고문과 강압수사 끝에 민주청년학생총연맹[약칭 민청학련]의 배후 조직으로 ‘인민혁명당재건위원회사건’을 조작하였다. 이수병은 핵심 관련자의 한 사람으로 구속되어 1975년 4월 8일 대법원에서 송상진(宋相振)·하재완(河在玩)·김용원(金鏞元)·여정남(呂正男)·우홍선·서도원·도예종과 함께 사형을 언도받았고, 다음 날인 4월 9일에 곧바로 사형이 집행되었다.
1960년 6월 19일 이수병은 고려대학교에서 개최된 전국 남녀 대학 경제학 토론 대회에서 「한국 경제의 대미 종속적 구도」를 발표하였다.
이수병의 묘소는 의령군 부림면의 선산에 있다.
1990년 4월 16일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 교정의 노천극장에서 ‘이수병 15주기 추모’ 행사가 개최되었다. 1991년 3월 2일 이수병기념사업회가 발족되었으며, 4월 17일 사월혁명연구소의 ‘4월 혁명상’이 추서되었다. 2007년 1월 23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인민혁명당재건위원회사건’ 재심 공판에서 이수병을 비롯한 희생자 8인에 대해 무죄가 선고되었다. 2015년 11월 서울고등법원에서도 인민혁명당사건 관련자들에게 무죄를 선고하였다. 1994년 4월 9일 서울 서대문독립공원에서 민청학련사건 20주년 기념식 및 인혁당 추모제가 거행되었으며, 2005년 4월 8일 명동성당에서 인혁당 희생자 30주기 추모제가 열렸다. 2006년 4·9인혁재단이 설립되어 매년 4월 9일을 전후하여 희생자를 기리는 ‘4·9 통일열사 추모식’을 거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