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등화암」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576
한자 登畫巖
영어공식명칭 A Poem Sung On The Hwa-arm Cliff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대구광역시 북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곽명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732년 - 「등화암」 저자 이익룡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794년 - 「등화암」 저자 이익룡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1849년 - 『요산당집』 간행
배경 지역 화암 - 대구광역시 북구 연경동 지도보기
성격 한시|오언율시
작가 이익룡

[정의]

조선 후기 대구 출신 문인 학자인 이익룡대구광역시 북구 연경동에 있는 화암에 올라 연경서원을 바라보고 지은 한시.

[개설]

「등화암(登畫巖)」의 저자 이익룡(李翼龍)[1732~1794]의 본관은 영천(永川)이며, 자는 이오(而五)이고, 호는 요산당(樂山堂)이다. 지금의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 대암리(臺巖里)에서 태어났다. 이익룡은 만년에 요산당(樂山堂)을 지어 학문 연마에 매진하며, 이황(李滉)[1501~1570]의 시를 선별하여 『속아송(續雅誦)』을 만들었다. 저서로 『요산당집(樂山堂集)』이 있다.

연경서원(硏經書院)은 대구 지역에 최초로 지어진 서원인데, 이황·정구(鄭逑)[1543~1620]·정경세(鄭經世)[1563~1633] 3인과 함께 별도로 향현사(鄕賢祠)를 세워 전경창(全慶昌)[1532~1585]과 이숙량(李淑樑)[1519~1592]을 제향하였던 서원이다. 1871년(고종 8)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1820~1898]의 서원 철폐령에 의하여 훼철되었다. 연경서원의 터는 현재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북구 연경동 사이에 있다.

[구성]

「등화암」은 오언율시(五言律詩)이다.

[내용]

화암춘여화(畫巖春如畫)[화암의 봄은 그림과 같아]

인재화도중(人在畫圖中)[그림 가운데 사람을 두는구나]

수유용면수(雖有龍眠手)[비록 용면의 솜씨 있더라도]

차암화난동(此巖畫難同)[이 화암과 똑같기는 어렵다네]

경앙노종사(景仰老宗師)[노종사의 덕을 우러러 사모하니]

오도벽해동(吾道闢海東)[유학의 도를 해동에 열어 주시었네]

매야천정로(梅爺踐正路)[매화 어른께서 바른길 실천하시어]

건원은팔공(建院隱八公)[서원 세워져 팔공산 자락에 숨기었구나]

[특징]

「등화암」은 ‘동(東)’ 계열의 운목이 사용된 오언율시이다.

[의의와 평가]

「등화암」화암의 봄 경치를 노래하고 이황의 덕을 기린 한시이다. 같은 글자를 중복하여 사용하였지만 평측의 배열은 엄격하게 맞추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