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상고예술학원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8302
한자 尙古藝術學院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657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성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52년 - 상고예술학원 제1회 수료식
성격 교육기관

[정의]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에 있었던 사립 교육 기관.

[개설]

상고예술학원(尙古藝術學院)이상화(李相和)[1901~1943]와 이장희(李章熙)[1900~1929]의 유고집이 나온 것을 계기로 세워진 예술전문기관이다. 학원의 이름은 이상화의 호인 ‘상화(尙火)’의 상(尙)과 이장희의 호인 ‘고월(古月)’의 고(古)를 따서 지었다. 이상화이장희는 대구 지역의 대표적인 민족저항시인이다. 이상화「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나의 침실로」 등을 저술하였으며, 이장희「봄은 고양이로다」를 쓴 시인이다.

상고예술학원의 설립 취지는 “선인들의 업적과 민족 예술의 전통을 깨우치게 하여 뒷날의 대성이 있게 하고자” 함에 있다. 상고예술학원의 초대 원장은 아동문학가인 마해송(馬海松)[1905~1966]이었다. 상고예술학원의 발기인으로 김기진, 김동리, 장덕조, 이은상, 유치환, 구상, 조지훈, 박목월, 마해송, 이숭녕, 백기만, 이효상, 이설주, 김동사, 김사엽, 서동진 등 약 90명의 인원이 참여하였다.

[변천]

상고예술학원은 옛 교남학교 자리에 문을 열었다.

[교육 활동]

상고예술학원은 당시 중고등학교 국어 교사들이 주로 수업을 담당하였으며, 조지훈, 구상, 박훈산, 장덕조 등 저명한 작가들도 강의에 참여하였다. 상고예술학원의 교육 기간은 6개월이었으며, 과목은 문학과, 음악과, 미술과로 세분화되었다. 상고예술학원의 제1회 수료식은 1952년 2월 중앙로에 있던 상록다방에서 거행되었다.

[현황]

상고예술학원은 경영 적자와 전쟁 후 피난을 온 문인들이 서울로 이전함에 따라 개교 2년을 넘기지 못하고 문을 닫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