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900630
한자 李廷龜
영어공식명칭 Lee Jeonggu
이칭/별칭 성징(聖徵),월사(月沙),보만당(保晩堂),치암(癡菴),추애(秋崖),습정(習靜),문충(文忠)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기도 가평군 상면 태봉리
시대 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창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64년연표보기 - 이정구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85년 - 이정구 진사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590년 - 이정구 증광시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593년 - 이정구 병조 좌랑 제수
활동 시기/일시 1596년 - 이정구 병조 정랑 제수
활동 시기/일시 1598년 - 이정구 공조 참판 제수
활동 시기/일시 1598년 - 이정구 이항복과 함께 연경에 다녀옴
활동 시기/일시 1604년 - 이정구 세자책봉주청사로 명나라에 파견
활동 시기/일시 1608년 - 이정구 병조 판서 제수
활동 시기/일시 1628년 - 이정구 우의정 제수
활동 시기/일시 1632년 - 이정구 좌의정 제수
몰년 시기/일시 1635년연표보기 - 이정구 사망
묘소|단소 이정구 묘 - 경기도 가평군 상면 태봉리 지도보기
성격 문관
성별
본관 연안
대표 관직 우의정|좌의정

[정의]

경기도 가평군에 묘가 있는 조선 시대 문신.

[가계]

이정구(李廷龜)[1564~1635]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자는 성징(聖徵), 호는 월사(月沙)·보만당(保晩堂)·치암(癡菴)·추애(秋崖)·습정(習靜)이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고조할아버지는 조선 초기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에 오른 이석형(李石亨), 증조할아버지는 사헌부 장령 이혼(李渾), 할아버지는 충좌위(忠佐衛) 부사직(副司直) 이순장(李順長), 아버지는 현령 이계(李𡹘)이다. 어머니는 광산 김씨(光山 金氏) 김표(金彪)의 딸이고, 부인은 안동 권씨(安東 權氏)로, 예조 판서 권극지(權克智)의 딸이다.

[활동 사항]

이정구는 여섯 살에 글을 읽고 시를 지을 정도로 어린 시절부터 학문 소양이 뛰어났다고 전한다. 1585년(선조 18)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조상의 음덕으로 관직에 진출하였다가 1590년(선조 23) 종사랑(從仕郎)으로서 증광 문과에 급제하였다. 1593년(선조 26)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설서(說書)와 병조 좌랑에 재임하면서 외교 문서를 다루는 제술문관(製述文官)에 임용되었다. 1596년(선조 29) 병조 정랑이 되어 무관의 실무 인사 책임을 담당하였고, 1597년(선조 30)에는 승문원 교리가 되어 명나라에 보내는 자문(咨文)을 지었다.

1598년(선조 31) 승정원 동부승지가 되어 왕명을 출납하였고, 이어 공조 참판으로 승진하여 진주사(陳奏使) 우의정 이항복(李恒福)과 함께 부사(副使)로서 연경(燕京)에 다녀왔다. 그 당시 선조는 이항복에게 “내 생각으로 현재 작문을 잘하는 사람으로 이정구보다 나은 자가 없다. 그의 글을 보건대 마음속에 있는 뜻을 남김없이 표현하는데 곡진하고 간절하며 함축성이 있고 우아 장중하니, 이는 참으로 글을 잘 짓는 선비이다. 그는 계책이 많으니 경이 만약 내 말을 옳다고 여긴다면 부사로 승진시키거나 별도로 대동하라.”고 특별히 지시하였다.

이정구는 「무술변무주(戊戌辨誣奏)」를 작성하여 명나라와의 외교적 마찰을 잘 무마한 공으로 상급을 받았다. 중국어에도 능통하여 1601년(선조 34)에는 동지사(冬至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1604년(선조 37)에는 광해군을 세자로 책봉하기를 청하는 세자책봉주청사로 명나라에 가서 외교적 능력을 발휘하였다.

광해군이 왕으로 즉위한 1608년 병조 판서가 되었고, 1610년(광해군 2)에는 예문관 대제학으로서 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조광조(趙光祖)·이언적(李彦迪)·이황(李滉) 등 오현(五賢)을 문묘(文廟)에 종사(從祀)할 당시의 교서(敎書)를 작성하였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병조 판서로 왕을 호종하였고, 공을 인정받아 1628년(인조 6) 우의정에 올랐다. 이어 1632년(인조 10)에는 좌의정에 이르렀으며, 여러 왕들의 신임을 받았다.

[학문과 저술]

이정구는 한문학에도 뛰어나 신흠(申欽)·이식(李植)·장유(張維)와 함께 한문사대가로 일컬어진다. 저서로 『월사집(月沙集)』이 있다.

[묘소]

이정구의 묘는 경기도 가평군 상면 태봉리 연안 이씨 묘역에 있다. 묘역에는 1656년(효종 7)에 건립된 신도비가 있다. 신도비명은 김상헌(金尙憲)이 글을 짓고, 이경석(李景奭)이 썼다. 전액(篆額)은 김상용(金尙容)이 썼다. 묘는 경기도 기념물 제79호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