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수수께끼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201694
영어음역 Puzzle
영어의미역 Riddle
이칭/별칭 수수적기,식끼저름,숭키잽기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김천시
집필자 이균옥

[정의]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전승되는 묻고 답하는 말놀이.

[개설]

수수께끼는 ‘수수적기’[강원도 강릉시], ‘식끼저름’[부산광역시 동래구], ‘숭키잽기’[전라북도 남원시] 등 지역에 따라 부르는 명칭이 다양하다. 수수께끼는 은유로써 대상을 정의하는 일종의 언어유희이다. 짧은 은유의 언술인 점에서 속담과 유사하지만, 우주와 자연과 인간에 대한 원초적인 물음을 포함하고 있어서 속담에 비해 더 근원적인 언술 형태이다.

수수께끼의 역사는 어느 갈래보다 오래되었다. 그리스 신화의 스핑크스-오이디푸스 수수께끼, 즉 ‘처음에는 네 발로 걷고, 다음은 두 발로, 마지막에는 세 발로 걷는 것이 무엇이냐[사람]’라는 수수께끼를 보면 그 역사가 장구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삼국유사(三國遺事)』 권 1의 ‘사금갑(射琴匣)’ 기사에 ‘열어보면 두 사람이 죽고, 열어보지 않으면 한 사람이 죽는다’라는 수수께끼를 일관(日官)이 풀어서 임금을 살리는 이야기가 있다. 그 밖에도 파자(破字)형 수수께끼와 예조(豫兆)와 관련된 수수께끼도 『삼국유사』에 전하고 있어 수수께끼의 역사가 오래되었음을 보여 준다.

[특징]

수수께끼는 일방적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쌍방이 참여하여 주고받는 놀이이다. 묻는 사람과 답하는 사람이 있어야 수수께끼는 성립된다. 따라서 수수께끼의 언어 구조도 설문과 해답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설문은 대상의 직설적 정의를 추구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대상의 의미를 감추고 우회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애매한 요소를 차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수수께끼는 이렇게 주제가 되는 어떤 대상에 빗대어 다르게 말하지만 서로 유추될 수 있도록 완곡하고 우회적으로 표현한다.

수수께끼는 즐거움과 심심풀이를 위해 이루어지는 놀이이다. 따라서 오락적 기능이 수수께끼의 일차적 기능이다. 그리고 수수께끼는 지적 능력을 계발하고 시험하기 위해 제시되기도 한다. 수수께끼의 주제는 우주와 자연, 인간과 동식물, 의식주 생활 등 모든 것을 포함하기에 수수께끼에는 지식 습득의 기능도 있다. 말하자면 놀이를 통한 학습인 셈이다.

[분류]

수수께끼는 문항과 답항의 특징에 따라 시늉에 관한 수수께끼, 소리에 관한 수수께끼, 문자에 관한 수수께끼, 지혜에 관한 수수께끼 등으로 나눌 수 있다.

1. 시늉에 관한 수수께끼

대상의 외형이나 성질, 동작을 묘사하는 수수께끼이다. 주로 은유에 의거하지만 의인화, 중의, 대조, 열거, 점층의 수사법도 사용된다.

1) 날개 없이 날아가는 것은?[연기]

2) 먹어도 먹어도 배부르지 않는 것은?[나이]

2. 소리에 관한 수수께끼

동음이의어를 이용한 수수께끼이다.

1) 못 사오게 했더니 사온 것은?[못]

2) 감은 감인데 못 먹는 감은?[영감]

3. 문자에 관한 수수께끼

한자 문화권에서 발전한 파자(破字) 수수께끼인데, 한자를 주제로 하기에 향유층이 다소 제한적이다.

1) 나무 둘이 씨름하는 것은?[林]

2) 계집이 갓 쓴 글자는?[安]

4. 지혜에 관한 수수께끼

다른 수수께끼가 비교적 은유적인데 비해, 이것은 비은유적인 수수께끼로 ‘무엇’에 관한 것이 아니라 ‘왜’, ‘어떻게’, ‘누구’와 관련된 것이다. 따라서 해답자에게 특별한 지혜와 지식과 논리가 요구되기도 하며, 답항은 엉뚱하거나 엉터리없는 경우도 많다.

1) 꼽추는 어떻게 자나?[눈감고 잔다]

2) 나폴레옹은 알프스를 넘으면서 왜 빨간 허리띠를 했나?[바지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려고]

[변천]

다른 구비전승의 예처럼 시대가 바뀌면 새로운 세태를 반영하는 수수께끼가 생성되기 마련이다. 아래는 근현대의 사물이나 사회 현상에 관한 새로운 수수께끼의 예이다.

사람이 아니라 소가 타는 차는?[소나타]

오르면 오를수록 나쁜 것은?[물가]

목으로 먹고 배로 내는 것은?[우체통]

세상에서 가장 재수가 없는 사람은?[소화제 먹고 체한 사람]

위의 예처럼 새로운 수수께끼도 동음이의어를 이용하는 방식, 사물의 두드러진 특징이나 외양, 동작, 성질 등의 묘사를 통해 정의하는 방식, 문자를 이용하는 방식 등 전통적인 수수께끼 생성의 일반 원리를 따르고 있다.

[현황]

수수께끼도 속담처럼 압축된 의미 표현이고, 그 형태가 짧기 때문에 동일한 수수께끼가 전국적으로 유사성을 지니면서 전승되는 것이 특징이다. 대부분의 수수께끼는 전국적으로 동일한 표현 형태로 분포되어 있으며, 지역의 특색이나 특성을 드러내는 수수께끼도 있다. 김천 지역의 수수께끼도 전국 또는 경상북도 지역의 수수께끼 유형과 거의 동일하다. 물론 동일한 유형의 수수께끼라도 그 표현은 김천 지방의 지역어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