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831014
한자 天體 原理-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산림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경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2020년 4월 30일 -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산림리 주민 김종대에게서 채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9년 - 『고창군지』 수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4년 - 『성내의 역사와 문화』 수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7년 - 『고창의 마을』 수록
성격 설화

[정의]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산림리 낙산마을에서 거북바위[칠성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산림리 낙산마을은 제성산(帝城山)으로, 동래 정씨가 신령의 계시를 받고 자력(磁力)을 띠는 돌을 가져다 두었다고 한다. 이 돌이 바로 제성산에 있는 거북바위로 윤도장이 방위각을 맞추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거북바위는 일명 ‘칠성바위’라고 하며, 장군이 전투를 하면서 일곱 명의 장수들에게 장검으로 바위를 찍으라고 명령하면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채록/수집 상황]

「천체 원리를 담은 거북바위」는 2009년 발간한 『고창군지』와 2014년에 나온 『성내의 역사와 문화』, 2017년에 편찬한 『고창의 마을』 편에 수록되어 있는데, 모두 낙산마을 주민 김종대[70대, 국가무형문화재 제110호 윤도장]의 구술을 채록한 이야기이다.

[내용]

옛날 한 장군이 병졸들을 이끌고 인접한 부족과 전투를 하였다. 그리고 일곱 명의 장수들을 불러 놓고 작전을 지휘하고 승전의 의지를 다지기 위해 장수들에게 장검으로 바위를 찍으라고 명하였다. 장수들이 하나씩 장검으로 바위를 찍어서 일곱 개의 구멍을 내니 ‘칠성바위’라 부르게 되었다. 이후 임무를 부여받은 장수들은 각각 부대원들을 이끌고 전투 대형을 갖추어 일곱 개 지역에 배치되어 공격 개시 명령을 기다렸다. 그러나 적들은 싸우면 반드시 이기는 용맹스러운 부족이라고 정평이 난 병사들이라는 것을 알고 더 이상 이 지역을 침략하지 않고 달아나 버렸다. 그러나 꼼짝하지 않고 적을 기다리며 부동자세로 서 있던 일곱 명의 장수들은 각각 농바위, 거북바위, 낙산바위, 석양바위, 항월바위, 월성바위, 백갑산바위가 되었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거북바위는 개석식 고인돌로, 바위에 일곱 개의 성혈이 나 있다. 거북바위의 성혈이 나침판의 방향을 맞추는 기능을 한다는 것으로 보아, 자북과 진북의 원리를 이용하여 별자리를 관측하는 첨성대 역할을 해 왔던 것으로 보인다. 산림리 주민이자 윤도장인 김종대의 말에 따르면, 윤도(輪圖)를 제작할 때 실을 거북바위에 맞추면 남북이 정확하게 맞아떨어진다고 한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0.12.21 오타 수정 중요무형문화재를 국가무형문화재로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