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혼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300750
한자 混丘
영어음역 Hongu
이칭/별칭 구을(丘乙),무극노인(無極老人),청분(淸玢),대사자왕법보장해국일(大師子王法寶藏海國一),보감(寶鑑)
분야 종교/불교,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종교인
지역 충청북도 제천시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정제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250년연표보기
활동 시기/일시 1284년연표보기
활동 시기/일시 1289년연표보기
활동 시기/일시 1313년연표보기
몰년 시기/일시 1322년연표보기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4년연표보기
성격 승려
성별
대표 경력 왕사(王師)

[정의]

고려 후기 제천 청풍이 본관인 왕사(王師).

[개설]

본관은 청풍(淸風)이다. 자는 구을(丘乙)이고, 호는 무극노인(無極老人)이며, 초명은 청분(淸玢)이다.

[활동 사항]

혼구(混丘)[1250~1322]는 어릴 적부터 탑을 만들고, 벽을 향하여 앉아 사색에 잠겼으며, 용모가 단정하고 성품이 자애로워 소미타(小彌陀)라 불렸다고 전한다. 10세 때 무위사(無爲寺)로 출가하여 천경 선사(天鏡禪師)의 제자가 되었으며, 구산선(九山選)의 상상과(上上科)에 수석으로 급제하였다.

그 뒤 일연(一然)을 따라 공부하여 그 자리를 이어 강석(講席)을 열었다. 1284년(충렬왕 10) 국청사(國淸寺)의 금탑(金塔) 속에 불아(佛牙)를 봉안하는 경찬 법회(慶讚法會)에 참석하였으며, 1289년(충렬왕 15) 이후 운문사(雲門寺)·내원당(內院堂)·연곡사(鷰谷寺)·보경사(寶鏡寺)의 주지를 역임하였다.

충렬왕은 가리 법복(伽梨法服)을 하사하고, 여러 차례 글을 내렸으며 대선사(大禪師)로 삼았다. 충선왕이 즉위하여 양가도승통(兩街都僧統)을 제수하고, 대사자왕법보장해국일(大師子王法寶藏海國一)이라는 호를 내렸다. 1313년 충숙왕이 즉위하면서 왕사로 삼았으며, 2년 후 은퇴하여 영원사(瑩源寺)에 머무르다가 말년에 송림사(松林寺)로 옮겨 임종게(臨終偈)를 남기고 앉아서 입적하였다.

[사상과 저술]

저서로는 『어록(語錄)』 2권, 『가송잡저(歌頌雜著)』 2권, 『신편수륙의문(新編水陸儀文)』 2권, 『중편지송사원(重編指頌事苑)』 30권 등이 있었으나 전하지 않는다. 또한 일연이 지은 『삼국유사(三國遺事)』의 「전후소장사리조(前後所藏舍利條)」 끝에 첨가한 「안설(按說)」과 「진표전간조(眞表傳簡條)」 아래에 부기한 「관동풍악발연수석기(關東楓岳鉢淵藪石記)」가 있다.

1295년(충렬왕 21) 세워진 「인각사보각국사비명(麟角寺普覺國師碑銘)」에도 “원정(元貞) 원년(元年) 을미(乙未) 8월에 문인(門人) 사문(沙門) 죽허(竹虛)가 왕명을 받들어 진(晋)의 우군(右軍)이었던 왕희지(王羲之)의 글씨를 집자(集字)하고, 문인 내원당 겸 주지 통오(通奧) 진정 태선사(眞靜太禪師) 청분은 비석을 세우다”라고 하여 혼구(混丘)가 중심이 되었음을 보여 주고 있다.

[묘소]

부도는 1974년 경상남도 밀양시 활성동 부도곡(浮屠谷)에서 수습되어 현재 경상남도 유형 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되어 있다. 신라 하대의 정교한 부도 양식을 계승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상훈과 추모]

국사로 추증되었고, 시호는 보감(寶鑑), 탑명은 묘응(妙應)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