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701374
한자 喪葬禮
영어공식명칭 Funeral Rites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남도 밀양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양리

[정의]

경상남도 밀양 지역에서 사람이 죽어 장사 지낼 때 수반되는 의례.

[개설]

상장례는 사람의 사망을 확인하고 장사를 지낼 때 수반되는 각종 의례를 말한다. 조선시대 이후 유교적 상장례가 보편적이었으나 현재는 절차가 간소화되거나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되는 추세에 있다. 경상남도 밀양 지역의 상장례는 다른 지역의 상장례와 크게 다르지는 않으며, 상장례와 관련하여 다양한 명당 전설과 「상엿소리」가 전승되고 있다.

[역사적 변천과 현황]

우리나라에서는 고대사회 때부터 매장 문화가 존재하였다. 한반도 곳곳에 남아 있는 고인돌은 신석기시대에서부터 장례 의례가 존재하였음을 보여 주는 고고학적 증거라 할 수 있다. 삼국시대에는 순장(殉葬)의 풍속이 존재하였다. 불교가 전래한 이후에는 화장법이 성행하기도 하였으나 무덤에 시신을 매장하는 방식이 가장 보편적으로 자리 잡았다. 이후 참위설(讖緯說)과 풍수지리설(風水地理說)이 매장의 풍속을 더욱 성하게 만들었고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유교적 상장례가 정착되었다. 일반적으로 주자의 『가례(家禮)』를 기준으로 하여 절차에 따라 시신을 무덤 속에 매장한 후에 봉분을 완성하였다.

근대에 접어들어 상례는 점차 간소화되었는데, 오늘날 도시사회에서는 장의사가 상례를 담당하게 되고, 공동묘지나 화장장의 이용률이 높아지면서, 가족 단위 또는 마을 단위로 구성원들이 힘을 합쳐 상장례를 행하기보다는 전문 인력의 도움을 받는 경우도 많아지게 되었다. 또한 기독교 등의 전래로 말미암아 기독교식 상장례가 유교적 상장례를 대신하기도 하는 추세이다. 한편으로 시신을 처리하는 장법과 운구하는 수단도 많이 변화하였고, 매장보다 화장, 수목장, 가족장 등 다양한 장례 방법이 등장하고 있다. 장례식장이 화장장 또는 장지와 멀어짐에 따라서 운구 방식 또한 전통적 상여를 대신한 운구차를 이용하고 있다. 밀양시의 상장례 관련 시설로는 밀양시 교동에 밀양시 공설화장시설이 있으며, 무안면삼랑진읍 등에 납골당 형식의 추모 공원과 수목장 형식의 추모 공원이 마련되어 있다.

[절차 및 내용]

밀양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전통 상장례의 절차를 살펴보면 초종(初終), 습렴(襲殮), 치장(治葬)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초종은 임종에 대한 준비부터 염하기 전까지의 과정이다. 솜이나 한지 등을 코와 입에 대어 임종을 확인한 후에 지붕 위에 올라가 죽은 사람의 옷을 흔들며 이름을 세 번 부르면서 혼이 다시 돌아오길 바라는 고복(皐復)을 행한다. 다음으로 혼백(魂帛)을 준비하고 부고(訃告)를 알린다. 또한 저승사자를 대접하기 위한 사자상을 만들어 집 밖에 두기도 한다.

습렴은 시신을 목욕시키고 수의를 입혀 관에 모시는 과정이다. 시체를 목욕시키고 수의를 입히는 단계를 습(襲)이라고 하고, 시신을 베 끈으로 묶고 관에 모시는 것을 각각 소렴(小殮)과 대렴(大殮)이라고 한다. 이 절차가 끝나면 상주를 비롯하여 죽은 이의 가족들은 상복을 입는다. 상복을 갖추어 입은 후에야 조문(弔問)을 받을 수 있다.

치장은 죽은 이의 관을 집에서 무덤으로 인도하여 매장하는 과정을 말한다. 전통 상장례에서 무덤의 위치는 매우 중요하게 인식된다. 명당에 무덤을 쓰면 후손이 흥한다는 믿음이 있었기 때문에, 아무 곳에나 매장하지 않고 풍수지리를 살펴 지관(地官)과 의논하여 장지를 결정한다. 밀양 지역에서는 「둥딩이고개」, 「구시방골못」 등 명당자리와 관련된 다양한 전설이 전승되고 있다. 특히 「둥딩이고개」는 아버지의 원수를 갚고자 풍수지리를 배운 주인공이 무덤 자리를 바꾸는 것으로 원수의 집안을 망하게 한다는 내용이 매우 흥미롭다.

죽은 이의 관을 실은 상여가 집은 떠나 무덤으로 출발하는 것을 발인이라고 한다. 발인 전날 밤에 ‘상여어루기’라고 하여 상여꾼들이 빈 상여를 메고 미리 연습한다. 관을 장지까지 모시는 중에 죽은 사람의 행적과 관련이 있는 장소나 마을 입구 등을 지나갈 때에는 간단히 노제(路祭)를 지내기도 한다. 무덤이 있는 산 입구에 도착하였을 때 산의 주인인 산신에게 산신제를 지내기도 한다. 장지에 도착하여 무덤을 만든 후에 마지막으로 죽은 자에게 하직 인사를 올리는 것을 평토제(平土祭) 또는 제주전(題主奠)이라고 한다. 이때 축문을 읊으면서 혼백에 깃들어 있던 죽은 이의 혼을 신주로 옮긴다. 지역에 따라 혼백은 무덤 옆에 묻거나 상여와 함께 불태우기도 한다. 신주를 따로 만들지 못한 서민층에서는 삼년상 동안 혼백을 계속 사용하기도 한다. 이후 신주를 모시고 집으로 돌아오는 절차를 반곡(反哭) 또는 반혼(返魂)이라고 한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전통 상장례에서 상여를 운구하는 것은 상당한 노동력이 필요하다. 보통 마을 주민들이 서로 협동하여 상여꾼이 되어 주었는데, 상여를 운구하여 무덤으로 가면서 상여노래를 불렀다. 밀양 지역에서도 다양한 「상엿소리」가 현재까지도 전승되고 있다. 2010년에 채록된 「상엿소리」는 선후창이 분명하게 구분되어 있어 실제 상여 운구 중의 협동 과정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가사 내용을 보면 죽은 이를 좋은 곳으로 보내려는 산 자의 마음과 함께 상주와 그 가족을 위로하고자 하는 이웃의 정을 느낄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