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정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900931
한자 鄭澈
이칭/별칭 계함(季涵),송강(松江),문청(文淸)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전라북도 순창군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최범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36년 - 정철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61년 - 정철 진사시 장원 급제
활동 시기/일시 1562년 - 정철 문과 장원 급제
활동 시기/일시 1566년 - 정철 함경도 암행어사에 제수
활동 시기/일시 1578년 - 정철 장악원 정에 제수
활동 시기/일시 1580년 - 정철 강원도 관찰사에 제수
활동 시기/일시 1589년 - 정철 우의정에 제수
활동 시기/일시 1591년 - 정철 진주에 유배
활동 시기/일시 1592년 - 정철 왕을 의주까지 호종
활동 시기/일시 1593년 - 정철 사은사로 명나라에 다녀옴
몰년 시기/일시 1593년 - 정철 사망
추모 시기/일시 1827년 - 정철 어암 서원에 배향
출생지 정철 출생지 - 서울 장의동[지금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
유배|이배지 정철 유배지 - 진주
유배|이배지 정철 이배지 - 강계
묘소|단소 정철 묘소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송강로 523[봉죽리 531]
사당|배향지 어암 서원 - 전라북도 순창군 쌍치면 둔전리 지도보기
사당|배향지 송강 서원 -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해곡리
사당|배향지 오천 서원 - 경상북도 포항시 오천면 원리
성격 문관|학자
성별
본관 연일(延日)
대표 관직|경력 우의정

[정의]

전라북도 순창군 쌍치면 둔전리 어암 서원에 배향된 조선 전기의 문관이자 학자.

[가계]

본관은 연일(延日). 자는 계함(季涵), 호는 송강(松江). 아버지는 돈녕부 판관(敦寧府判官) 정유침(鄭惟沈)이다.

[활동 사항]

정철(鄭澈)[1536~1593]은 1536년(중종 31) 서울 장의동(藏義洞)[지금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에서 출생하였다. 인종(仁宗)의 귀인(貴人)[후궁]인 큰누이와 계림군(桂林君) 이유(李瑠)의 부인이 된 둘째 누이로 인하여 어려서부터 궁중에 출입하면서 어린 경원 대군(慶原大君)[명종]과 친숙하였다. 10세 때인 1545년(명종 1) 을사사화(乙巳士禍)로 계림군(桂林君)이 관련되어 아버지가 유배당할 때 관북(關北)·정평(定平)·연일 등 귀양지를 따라다녔다. 1551년(명종 6)에 아버지가 귀양살이에서 풀려나자 할아버지의 산소가 있는 전라도 담양 창평 당지산(唐旨山) 아래로 이주하였고, 김윤제(金允悌)의 문하가 되어 성산(星山) 기슭의 송강(松江) 가에서 10년 동안 수학할 때 기대승(奇大升) 등 당대의 석학들에게 배우고 이이(李珥)·성혼(成渾) 등과도 교유하였다.

1561년(명종 16)에 진사시에, 다음 해 별시 문과에 각각 장원하였다. 전적(典籍) 등을 역임하고 1566년(명종 21)에 함경도 암행어사를 지낸 뒤 이이와 함께 사가독서(賜暇讀書)하였다. 1578년(선조 11)에 장악원정(掌樂院正)으로 기용되고, 곧 이어 승지에 올랐으며 정파로는 서인(西人)에 속하였다. 진도(珍島) 군수 이수(李銖)의 뇌물 사건으로 동인(東人)의 공격을 받아 사직하고 고향으로 낙향하였다. 1580년(선조 13)에 강원도 관찰사로 등용되었고, 이후 3년 동안 전라도와 함경도의 관찰사를 지내면서 시 작품(詩作品)을 많이 남겼다. 이 때 『관동별곡(關東別曲)』을 지었고, 시조 『훈민가(訓民歌)』 16수를 지어 널리 낭송하게 함으로써 백성들의 교화에 힘쓰기도 하였다. 1585년(선조 18)에 관직을 떠나 고향에 돌아가 4년 동안 작품 생활을 하였다. 이 때 『사미인곡(思美人曲)』·『속미인곡(續美人曲)』 등 수많은 가사와 단가를 지었다.

1589년(선조 22)에 우의정으로 발탁되어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을 다스리게 되자 서인(西人)의 영수로서 철저하게 동인 세력을 추방하였고, 다음 해 좌의정에 올랐다. 1591년(선조 24)에 건저 문제(建儲問題)[1591년 왕세자 책봉 문제를 둘러싸고 동인과 서인 사이에 일어난 정치 문제]를 제기하여 동인인 영의정 이산해(李山海)와 함께 광해군의 책봉을 건의하기로 하였다가 이산해의 계략에 빠져 혼자 광해군의 세자 책봉을 건의하였다. 이 때 선조인빈 김씨에게 빠져 있던 터라 그녀의 소생인 신성군(信城君)을 책봉하려던 왕의 노여움을 사서 파직되고 말았다. 진주(晉州)로 유배되었다가, 이어 강계(江界)로 이배(移配)되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부름을 받아 왕을 의주(義州)까지 호종, 다음 해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얼마 후 동인들의 모함으로 사직하고 강화(江華)의 송정촌(松亭村)에 우거(寓居)하면서 만년을 보내다가 1593년(선조 26) 세상을 떠났다.

[학문과 저술]

당대 가사 문학의 대가로서 시조의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와 함께 한국 시가 사상 쌍벽으로 일컬어진다. 저서로는 시문집인 『송강집(松江集)』과 시가 작품집인 『송강가사(松江歌辭)』가 있다. 『송강집』은 1894년(고종 31)에 간행한 것이다. 『송강가사』는 목판본으로 황주본(黃州本)·의성본(義城本)·관북본(關北本)·성주본(星州本)·관서본(關西本)의 다섯 종류가 알려져 있다. 그 중 관북본은 전하지 않고 나머지도 책의 일부만 전한다. 필사본으로는 『송강 별집 추록 유사(松江別集追錄遺詞)』와 『문청공 유사(文淸公遺詞)』가 있다. 시조 70여 수가 전한다.

[묘소]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송강로 523에 있다. 봉분(封墳)의 크기는 높이 1.6m, 둘레 20m이며, 묘비(墓碑), 상석(床石), 문인석(文人石), 망주석(望柱石), 송강 시비(松江詩碑), 송강 정철 신도비[충청북도 유형 문화재 제187호]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순창의 어암 서원(魚巖書院)을 비롯하여 창평(昌平)의 송강 서원, 연일의 오천 서원(烏川書院) 별사(別祠)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청(文淸)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