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600449 |
---|---|
한자 | 順天梅谷洞塔材 |
영어공식명칭 | Tabjae in Maegok-dong, Suncheon |
영어음역 | Tabjae in Maegok-dong, Suncheon |
영어공식명칭 | Tabjae in Maegok-dong, Suncheon |
이칭/별칭 | 순천 탑동리 석탑,서면 탑동리 탑재,죽사 석탑,탑골탑,탑골 석탑 |
분야 | 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탑과 부도 |
지역 | 전라남도 순천시 매곡동 310-11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엄기표 |
건립 시기/일시 | 1468년 4월 - 순천 매곡동 탑재 건립 |
---|---|
이전 시기/일시 | 2003년 - 순천 매곡동 탑재 순천시 서면 흥대리에서 순천시 매곡동로 이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3년 - 순천 매곡동 탑재 이전 시 사리구와 발원문 등 출토 |
현 소재지 | 순천 매곡동 석탑 - 전라남도 순천시 매곡동 310-11 |
원소재지 | 순천 매곡동 석탑 - 전라남도 순천시 서면 흥대리 |
출토 유물 소장처 | 국립광주박물관 - 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 110[매곡동 430] |
성격 | 석탑 |
재질 | 화강암 |
크기(높이) | 1.72m |
소유자 | 순천시 |
관리자 | 순천시 |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매곡동 주택가에 있는 조선시대 건립된 석탑.
[건립 경위]
순천 매곡동 석탑은 조선시대인 1468년 4월 순천부(順天府) 남촌(南村) 별량리(別良里) 죽사(竹寺)에서 미타불, 관음불, 지장불을 조성하여 1468년 4월 15일 점개안(點開眼)하고 발원문(發願文)을 썼으며, 승려와 불자 280여 명이 극락왕생을 바라며 불상을 조성하고 탑에 봉안했다.
[위치]
순천 매곡동 석탑은 원래 학동마을의 ‘탑골’로 불리는 곳에 있었는데, 2003년 현재의 위치인 순천시 매곡동의 민가가 있는 길가의 작은 공원으로 이전되었다.
[형태]
순천 매곡동 석탑은 기단부에 활용되었던 것으로 보이는 평면 사각형의 받침석과 탑신부에 활용되었던 3석의 옥개석만 남아 있다.
현재 기단부의 갑석과 면석들은 모두 결실된 상태이며, 탑신석도 남아 있지 않은 상태이다. 상륜부는 3층 옥개석 상면에 원공이 있어 찰주[탑 상륜부의 여러 장식물을 끼워 고정하는 버팀대]가 세워졌음을 알 수 있는데, 관련 부재들은 남아 있지 않다. 순천 매곡동 석탑은 현존하는 옥개석의 규모로 보아 상당히 규모가 큰 대형 석탑으로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신라시대 이래 건립된 석탑 양식을 충실히 계승한 측면을 보이면서 부분적으로 당대의 특성이 반영된 석탑이라 할 수 있다. 순천 매곡동 석탑은 상당히 우수한 석공에 의하여 설계 시공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옥개석의 하부를 구성하고 있는 옥개받침이 형식적으로 처리되었으며, 두툼한 처마면과 전체적인 외관 등이 둔중한 인상을 주고 있다. 이러한 측면은 순천 매곡동 석탑이 조선시대 건립되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금석문]
순천 매곡동 석탑에는 청동불감의 사리구와 묵서로 작성된 발원문 등이 있으며, 현재 국립광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현황]
순천 매곡동 석탑은 원래 순천시 서면 흥대리 학동마을에 세워져 있었으며, 석탑이 있어 학동마을은 ‘탑골’로 불리었다. 그런데 순천 매곡동 석탑은 어느 시기부터 민가의 마당에 있었다가 다시 민가의 담장에 끼워져 활용되었다고 한다. 이후 돌담을 허물고 시멘트 담장을 만드는 과정 중 석탑재 아래에서 불상 1구가 발견되어 판매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추가로 사리구와 발원문이 있는 청동불감이 출토되었으며, 마을 길가의 작은 공원으로 순천 매곡동 석탑이 옮기게 되었다. 현재는 순천 매곡동 석탑을 받쳤던 받침대와 탑신부의 옥개석만 남아 있다.
[의의와 평가]
순천 매곡동 석탑은 순천 지역 사람들이 힘을 모아 1468년 4월 건립한 석탑으로 오랜 세월로 인하여 파손이 심한 상태이지만 이전할 때 사리구와 발원문이 출토되어 명확한 건립 시기를 알 수 있다. 조선시대 들어와 억불숭유 정책으로 불교계가 위축되면서 석탑의 건립이 많지 않았는데, 중앙에서 먼 지방에서도 불교를 믿었던 지역민들이 힘을 모아 대형의 석탑을 건립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