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200628 |
---|---|
한자 | 孤雲寺境內碑石-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구계리 116 고운사 경내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용만 |
건립 시기/일시 | 1859년 4월 - 이용준 영세 불망비 건립 |
---|---|
건립 시기/일시 | 1879년 9월 - 함홍당 대선사비 건립 |
건립 시기/일시 | 1918년 7월 - 등운산 고운사 사적비 건립 |
건립 시기/일시 | 1919년 3월 - 수월 대선사비 건립 |
현 소재지 | 이용준 영세 불망비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구계리 118 |
현 소재지 | 등운산 고운사 사적비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구계리 산 221 |
현 소재지 | 수월 대선사비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구계리 산 221 |
현 소재지 | 함홍당 대선사비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구계리 산 221 |
성격 | 비석 |
양식 | 와가 지붕형 철비[이용준 영세 불망비]|비좌 지붕형 석비[등운산 고운사 사적비]|비좌 지붕형 석비[함홍당 대선사비]|귀부 지붕형 석비[수월 대선사비] |
관련 인물 | 이용준[이용준 영세 불망비]|함홍당[함홍당 대선사비]|수월[수월 대선사비] |
재질 | 철[이용준 영세 불망비]|돌 |
크기(높이) | 112.2㎝[이용준 영세 불망비]|158.0㎝[등운산 고운사 사적비]|164.0㎝[수월 대선사비]|159.0㎝[함홍당 대선사비] |
크기(너비) | 47.5㎝[이용준 영세 불망비]|41.0㎝[등운산 고운사 사적비]|49.0㎝[수월 대선사비]|159.0㎝[함홍당 대선사비] |
크기(두께) | 3.6㎝[이용준 영세 불망비]|22.3㎝[등운산 고운사 사적비]|33.0㎝[수월 대선사비]|35.0㎝[함홍당 대선사비] |
소유자 | 고운사 |
관리자 | 고운사 |
[정의]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구계리에 있는 조선 시대와 일제 강점기의 비석 떼.
[건립 경위]
대한 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孤雲寺)는 신라 신문왕 대에 의상 대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하는 유서 깊은 사찰로, 경내에 4개의 비석이 존재하고 있다. 각 비석의 건립 연월을 보면 각각 「이용준 영세 불망비」는 1859년 4월, 「등운산 고운사 사적비」는 1918년 7월, 「수월 대선사비」는 1919년 3월, 「함홍당 대선사비」는 1879년 9월이다. 모두 조선 후기인 19세기 후반과 일제 강점기의 3·1 운동 시기에 세워진 비석들이다.
[위치]
고운사 경내 비석 떼는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구계리에 위치한 고운사 경내에 있으며 각 비석의 상세한 위치는 다음과 같다.
「이용준 영세 불망비」는 고운사 경내 사천왕문을 지나 우측 고불전(古佛殿) 건물 내 좌측 문 안에 있다. 「등운산 고운사 사적비」는 고운사 경내 나한전 앞 3층 석탑 옆에 있다. 「수월 대선사비」는 고운사 경내 등운교 입구 좌측에 있다. 「함홍당 대선사비」는 고운사 경내 등운교 입구 좌측에 위치하며 「수월 대선사비」와 나란히 있다.
[형태]
「이용준 영세 불망비」는 철제로 된 선정비로, 상부는 지붕형[옥개형]이며, 비신에는 가장자리에 네모의 쌍사형 선을 그었다. 글씨는 비신 상부 중앙에서 세로로 ‘현령이후용준영세불망비’라 쓰고, 후(侯)자 높이 좌우에 작은 글씨로 이용준의 공덕을 새겼으며, 비의 정면 좌측 아랫부분에 건립 연월을 새겼다. 크기는 높이 112.2㎝, 너비 29.2㎝이다.
「등운산 고운사 사적비」는 돌로 된 사적비로, 비좌에 비신을 세우고 상부는 지붕을 올렸다. 크기는 높이 158.0㎝, 너비 41.0㎝, 폭 22.3㎝이다.
「수월 대선사비」는 돌로 된 대선사비로, 거북 모양의 받침대에 비신을 세우고 상부는 지붕을 올렸다. 크기는 높이 164.0㎝, 너비 49.0㎝, 두께 33.0㎝이다.
「함홍당 대선사비」는 돌로 된 대선사비로, 비좌에 비신을 세우고 상부는 지붕을 올렸다. 크기는 높이 159.0㎝, 너비 47.5㎝, 두께 35.0㎝이다.
[금석문]
1. 「이용준 영세 불망비」
李容準永世不忘碑
澤溢曁山 痼積快革 永世曷諼 鑄銅屹立 咸豊九年己未四月”
공의 은택이 온 산천에 넘치고, 고질적인 적폐를 흔쾌히 혁파하시니, 영원토록 어찌 잊을 수 있으리오. 그 뜻을 철로 주조하여 높이 세우노라.
함풍 구년 기미 사월
2. 「등운산 고운사 사적비」
騰雲山孤雲寺史蹟碑
世尊應化二千九百四十五年七月日 成均博士 首陽吳致昇書
3. 「수월 대선사비」
騰雲山孤雲寺水月大禪師碑
世尊應化二千九百四十六年三月日建 門人 大禪師 邆潭
4. 「함홍당 대선사비」
海東朝鮮國涵弘堂大禪師碑
崇禎紀元後五乙卯九月日立 舫山居士 金州許薰撰
[의의와 평가]
「이용준 영세 불망비」의 내용은 여느 영세 불망비와 다름이 없으나, 사찰 경내에 보관되어 있는 점이 특이하고, 의성군 내 비석 가운데 유일한 철비(鐵碑)이다. 현령의 영세 불망비가 사찰 경내에 세워진 이유는 차후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등운산 고운사 사적비」와 「수월 대선사비」는 각각 1918년과 1919년에 건립된 것으로, 고운사의 사적과 수월 대선사의 기념비이다. 「함홍당 대선사비」는 1879년(고종 16)에 건립된 것으로 조선 후기의 불교문화를 보여 주는 비석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