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소복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600474
한자 蘇復院
영어음역 Sobokwon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
지역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옥성리
시대 고려/고려,조선/조선
집필자 백덕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정연도/일시 고려시대
시행연도/일시 고려시대
폐지연도/일시 1895년(고종 32)연표보기

[정의]

고려시대부터 개항기까지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 설치된 국영 숙식 시설.

[개설]

원(院)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공무로 여행하는 관원에게 숙식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각 요로(要路)와 인가가 드문 곳에 설치한 국영 숙식 시설로, 설치 시기 및 운영 방법 등은 확실하지 않다. 각 주(州)·현(縣) 내의 관(館)과는 구별된다. 건물은 원우(院宇)라고 했다. 원은 지방 통치와 교통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고려시대에는 원이 사원에 부속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서로 동일시되기도 했으며, 승려들이 관리하기도 했다. 이러한 원들은 주로 교통의 요지에 자리 잡고 있어 교역의 중심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제정경위 및 목적]

조선시대의 원우는 고려시대의 사원 또는 선원(禪院)이 전환되거나, 개인 소유의 주택 또는 누정(樓亭)을 개조한 것이 많았다. 관가 또는 개인이 주관해 원우를 신축하는 경우도 있었다. 원은 공무를 수행하는 여행자의 숙식을 제공하기도 했으나 대부분 상고(商賈)나 여행자의 숙식소로 존재했다. 또한 국왕이 지방을 순시할 때나 피난길에 이용되기도 했다. 각도 관찰사가 도내 여러 고을을 순행할 때 원에서 점심을 먹거나 마필(馬匹)을 교체하기도 했다.

[관련기록]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전하는 초기 전국의 원은 1,310개소로 한성부 4, 개성부 6, 경기도 117, 충청도 212, 경상도 468, 전라도 245, 황해도 79, 강원도 63, 함경도 37, 평안도 79개소에 이르렀다. 김제 지역 역원의 위치를 김제군·만경현·금구현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김제군 관하에는 동원(東院)[재군동 2리 1개소, 지금의 김제시 신풍동 소식골], 원기[재군서 30리, 지금의 김제시 죽산면 서포리 원터], 금구현에는 홍인원(弘仁院)[재현남 15리, 지금의 김제시 금산면 원평리], 소복원(蘇復院)[재현서 5리, 지금의 김제시 금구면 옥성리], 청도원[지금의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 감물천원(甘勿川院)[재현북 6리, 지금의 김제시 금구면 금구리], 잠류원(潛流院)[재현남 6리, 지금의 김제시 금구면 용복리], 만경현에는 입석원(立石院)[재현남 10리 1개소, 지금의 김제시 성덕면 대석리] 등이 있었다.

[내용]

소복원은 동쪽으로는 전주시와 완주군 구이면, 남쪽으로는 김제시 금산면봉남면, 그리고 북쪽으로 김제시 용지면과 완주군 이서면, 서쪽으로 김제시 황산면과 경계를 이루고 있었다. 김제에서 전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해 이곳을 지나는 사람들이 묵었던 원으로, 정확한 개설 시기는 알 수 없으나 비교적 오래 전에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소복원은 1895년(고종 32)에 역원제가 폐지될 때까지 존속하였다.

[현황]

소복원은 지금의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옥성리에 해당되며, 조선시대 금구현의 서쪽 5리 지점에 위치해 있었다고 하나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의의와 평가]

김제군과 전주목을 지나는 길목에 소복원이 위치해 공무로 여행하는 자에게 숙식의 편의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역(驛)과 함께 육상 교통 기능 가운데 중요한 몫을 차지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