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601127 |
---|---|
한자 | 保健醫療 |
영어의미역 | Health and Medical Care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전라북도 김제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영애 |
전라북도 김제시에서 이루어지는 국민의 신체적·정신적 건강 증진을 위해 행해지는 제반 활동.
보건의료는 국민의 기본적인 복지 사항으로 교육, 문화 등과 마찬가지로 공적 영역과 민간 영역으로 나뉜다. 공적 영역은 중앙 정부나 지방 자치 단체가 중심이 되며 보건소를 중심으로 한 공중 보건과 보건 사업이 여기에 해당한다. 민간 영역은 사설 의료 기관이 주가 되며 대학 병원과 의원을 비롯한 의료 기관들이 이에 해당한다. 하지만 보건의료는 공공성이 강조된다는 점에서 공적 영역의 보건의료를 기본으로 한다.
1. 현황
2009년 11월 현재 김제시에는 민간 의료 기관의 경우 1개의 대학병원을 포함한 종합병원 7개소와 56개의 병원·의원이 있다. 공공 의료 기관은 김제시 보건소와 만경·죽산·용지·백구·부량·공덕·청하·성덕·진봉·금구·봉남·황산·금산·광활 등 14개 보건지소와 장흥·대동·해창·상정·조종·부신·모산·묘동·부용·신두·회룡·관상·성덕·성동·심포·불로·회성·남산·용화·창제·동부·양전·백학·복죽 등 24개의 보건진료소가 있다.
2. 주요사업과 업무
민간 의료 기관이 진료, 질병 치료를 중심으로 하는 반면, 보건소 등 공공 의료 부문은 질병의 예방, 홍보를 중심으로 하나 조류 독감, 신종 플루 등 변종 바이러스로 인한 신종 감염병에 대해서는 관민의 구분이 있을 수 없다. 보건소 등 공공 의료 부문은 공중 보건 의사·보건지소·보건진료소에 대한 지도, 국민 건강 증진, 보건 교육, 구강 보건 및 영양 개선, 감염병 예방 및 진료, 모자 보건 및 가족계획, 방문 보건, 노인 보건, 의료인 및 의료 기관에 대한 지도·관리 등의 사업에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의료 기사·의무 기록사·안경사에 대한 지도, 마약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 지역 주민의 보건 의료 향상 증진을 위한 연구 등과 관련된 업무도 수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