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801821
한자 -主
이칭/별칭 토주, 터대감, 터줏대감, 터주신, 터주가리, 터주항아리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서울특별시 강남구
집필자 정승모

[정의]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집터를 지켜주는 터의 주인이라고 하여 집안에 설치하는 가정신앙의 한 신체(神體).

[개설]

서울을 포함한 경기도 일대에서는 터주를 토주, 터대감, 터줏대감, 또는 그 상징물인 터주가리, 터주항아리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강남구도 예외는 아니다. 일반적으로 터주의 신체인 터주가리를 만들어 집 뒤꼍에 모신다. 터주가리는 햇곡을 턴 새 짚을 묶어 원뿔 모양으로 만든 것인데 이를 짚주저리, 또는 짚가리라고 한다. 짚가리의 허리 부분은 왼새끼로 둘러 묶는다. 짚주저리 안에 질그릇 단지를 놓고 그 안에 햇쌀이나 햇벼, 또는 동전 몇 푼을 넣는다. 터주 자리는 대개는 집 뒤꼍 장독대 주변이다.

[연원 및 변천]

터주 안에는 조그만 단지에 쌀을 넣는 집도 있고 벼를 넣는 집도 있다. 큰집, 즉 장손 집에서 터주를 모신 경우 분가한 작은 아들 집에는 만들지 않았다. 작은집도 여러 대 지나면 터주를 만들 수 있다. 터주를 만들어두려면 안채, 바깥채 등 집 규모가 어느 정도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

[절차]

일원동 주민들에 의하면 이들은 터주를 조상처럼 위했다. 매달 초하루와 보름마다 잔을 붇고 지성을 드렸다. 10월 상달고사 때는 시루떡을 해다가 터주 앞에 놓고 집안의 안녕을 빌었다. 안방에 불사[제석주머니]나 마루에 성주를 둔 경우 터주는 이들 다음 차례다. 상달고사 때 묵은 쌀을 햅쌀로 교체한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일원동 주민의 경우 1990년 초에 아파트단지 조성으로 길 건너 현 위치로 이주해오면서 단지와 흙 조금을 떠와 옥상에 보관하고 있다고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