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찹쌀·멥쌀·보리·밀가루 등을 쪄서 누룩과 물을 섞어 발효시킨 농주. 막걸리는 예부터 각 지방의 관인 양조장에서만 생산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농가에서 개별적으로 제조하여 애용하기도 했다. 발효할 때 알코올과 함께 유산균이 생성된다. 빛깔이 뜨물처럼 희고 탁하며, 6~7도로 알코올 성분이 적은 술이다. 막걸리는 탁주(濁酒) 또는 탁배기라고도 하는데, 원래 고두밥...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찹쌀·멥쌀·보리·밀가루 등을 쪄서 누룩과 물을 섞어 발효시킨 농주. 막걸리는 예부터 각 지방의 관인 양조장에서만 생산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농가에서 개별적으로 제조하여 애용하기도 했다. 발효할 때 알코올과 함께 유산균이 생성된다. 빛깔이 뜨물처럼 희고 탁하며, 6~7도로 알코올 성분이 적은 술이다. 막걸리는 탁주(濁酒) 또는 탁배기라고도 하는데, 원래 고두밥...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찹쌀·멥쌀·보리·밀가루 등을 쪄서 누룩과 물을 섞어 발효시킨 농주. 막걸리는 예부터 각 지방의 관인 양조장에서만 생산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농가에서 개별적으로 제조하여 애용하기도 했다. 발효할 때 알코올과 함께 유산균이 생성된다. 빛깔이 뜨물처럼 희고 탁하며, 6~7도로 알코올 성분이 적은 술이다. 막걸리는 탁주(濁酒) 또는 탁배기라고도 하는데, 원래 고두밥...
-
전라북도 김제 출신의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승려이자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간산(艮山). 속명은 김금택(金金鐸), 법명은 택성(宅成·鐸聲), 법호는 탄허(呑虛). 아버지는 독립운동가인 율재(栗齋) 김홍규(金洪奎)이며,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탄허(呑虛)[1913~1983]는 지금의 김제시 만경읍 대동리에서 태어났다. 불교에 입문하기 전 기호학파의 최익현(崔益鉉) 계통에서...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벼·보리 등을 탈곡할 때 쓰던 농기구. 탈곡기에는 넓은 의미로 콩·팥·옥수수·땅콩 등의 탈곡과 탈립(脫粒) 또는 껍질을 까는 것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특수한 탈곡기도 포함된다. 탈곡 방법은 작물의 종류나 농업의 발달 정도에 따라 다르다. 옛날에는 두 개의 막대기에 한 끝을 끈으로 묶어 집게 모양으로 만든 것에 벼 이삭을 끼워서 잡아당겨 훑어내는 훑이를 사용하였...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구암리에 있는 탐진안씨 동성마을. 탐진안씨(耽津安氏)의 시조는 안원린(安元璘)으로 본명은 안원륜(安元崙)이다. 문과에 급제한 뒤 정당문학(政堂文學)·검교중추원사(檢校中樞院事)를 지내고 탐진군(耽津君)에 봉해졌다. 이후 후손들이 탐진을 관향으로 삼았다. 탐진안씨는 안원린을 시조로 하고 안우(安祐)·안지(安止)의 후손들을 입향조로 하는 김제시 세거성씨 가운데 하...
-
최사전을 시조로 하고, 최경난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김제시 세거성씨. 탐진최씨(耽津崔氏)의 시조 최사전(崔思全)은 권신 이자겸(李資謙)을 제거한 공으로 병부상서(兵部尙書)에 추충위사공신(推忠衛社功臣)이 되고, 여러 벼슬을 거쳐 수태위문하시랑평장사(守太尉門下侍郞平章事)에 이르렀으며 탐진백(耽津伯)[탐진은 강진의 옛 이름]에 봉해졌다. 그리하여 후손들이 탐진을 본관으로 삼았다. 최...
-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소토리에 있는 탐진최씨 동성마을. 탐진최씨(耽津崔氏)는 최사전(崔思全)을 시조로 한다. 원조는 고려 때 상약원직장(尙藥院直長)을 지낸 최철(崔哲)이다. 최사전은 고려 때 장작감(將作監)을 역임한 최정(崔靖)의 아들이다. 의술로 조정에 진출하였고, 인종 때 이자겸(李資謙)을 제거한 공을 인정받아 공신에 녹훈되었다.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지낸 뒤 삼한후벽상공신(...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땅을 일구는 데 쓰는 농기구. 따비는 지방에 따라 따부, 따보, 때비, 탑, 보습으로도 부른다. 따비는 근래까지 서해안과 그 도서 지방 및 제주도에서 극젱이로 갈고 남은 구석진 땅이나 돌밭을 가는 데 사용되었다. 요즈음에는 솔뿌리나 청미래덩굴 등을 캐기도 하는데, 이를 솔따비라고 한다. ‘따비밭’이란 말은 따비로나 갈 만한 작은 밭을 말한다. 따비는 생긴 모...
-
조선 전기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활동한 승려. 속성은 오씨(吳氏)로 본관은 담양(潭陽). 호는 소요(逍遙)이다. 태능(太能)[1562~1649]은 13세 때 장성(長城) 백양사(白羊寺) 진대사(眞大師)에게 계를 받았다. 부휴당(浮休堂) 선수(善修)에게 경전을 배운 뒤 묘향산에 가서 휴정(休靜)의 문하에서 수행하여 그의 법을 이어받았다. 임진왜란 때 휴정과 유정(惟政)이 의병을 일...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월전리에 있는 조선시대 태인경씨 종중 묘역. 월전리 태인경씨 종중 묘역에는 태인경씨의 13세조 경극중(景克中)의 묘를 중심으로 그 후손들이 묘가 들어서 있다. 경극중의 호는 성재(誠齋)로, 효행으로 천거되어 청안현감을 역임하였다. 경극중의 아들 경거윤(景居倫) 역시 천거되어 낭천현감을 지냈다. 경거윤의 아들 경세성(景世誠)은 맹산현감을 지냈고, 경세성의 손자...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월전리에 있던 태인경씨 동성마을. 태인경씨(泰仁景氏)는 경차(景磋)를 시조로 하고 경극중(景克中)을 입향조로 하는 김제시 세거성씨 가운데 하나이다. 경차는 고려시대에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를 지냈고 태산부원군에 봉해졌다. 경극중은 경여송의 13세손으로 성종 때 청안현감을 지낸 뒤 1630년경(인조 8) 김제시 금구면 월전리 당월마을에 정착하였다. 이후로 후손...
-
광활방조제가 완공된 이후 화양마을은 물론이고 광활면을 통틀어 가장 중요한 것이 방조제 관리였다. 광활방조제는 일본인 후쿠이가 관할하면서 2년 넘게 공들여 만든 것으로, 광활면의 너른 땅이 존재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바로 이 광활방조제였다. 그래서 광활방조제는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의 철저한 감독 아래 지속적인 관리를 받아 왔다. 9일에 한 번씩 9개 답구에서 순번...
-
전라북도 김제 출신의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승려이자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간산(艮山). 속명은 김금택(金金鐸), 법명은 택성(宅成·鐸聲), 법호는 탄허(呑虛). 아버지는 독립운동가인 율재(栗齋) 김홍규(金洪奎)이며,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탄허(呑虛)[1913~1983]는 지금의 김제시 만경읍 대동리에서 태어났다. 불교에 입문하기 전 기호학파의 최익현(崔益鉉) 계통에서...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볏단을 메어쳐서 곡식을 떠는 타작 방법에 쓰였던 돌. 탯돌은 타작할 때 태질[개상에 볏단을 메어쳐서 곡식을 떠는 짓]에 쓰이는 돌로 개상과 함께 반달형 돌칼 이후 나온 가장 원시적인 수확 농기구이다. 농사가 많은 집에서는 안마당의 귀퉁이에 앞은 높고 뒤가 낮아지도록 적당히 깎은 돌을 붙박이로 설비하여 두고 이용하기도 한다. 강원도 도계에서는 크고 둥근 자연석...
-
전라북도 김제시에서 탱화를 그리는 일에 종사하는 사람. 탱화란 천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린 뒤 족자나 액자의 형태로 만들어서 거는 불화의 한 유형이다. 탱화는 일반적으로 사찰의 각 전각(殿閣) 안에 모셔져 있는 존상(尊像)의 뒤에 걸리는 후불화(後佛畵)이며, 좌우 벽면에 걸리기도 한다. 현존하는 불화들은 대부분 이 탱화의 형식으로 제작되었고, 남아 있는 작품들도 많다. 탱화는 불교적...
-
전라북도 김제시에 있는 버스 터미널과 철도 터미널. 전라북도 김제시에 있는 버스 터미널과 철도 터미널은 운송업이라는 서비스업의 특성상 시민들의 교통 편의를 위해 운영되고 있다. 김제시의 버스 터미널로는 김제고속버스터미널, 김제시외버스터미널, 원평터미널, 만경터미널 등이 있다. 철도 터미널로는 김제역, 부용역, 와룡역이 있으나 현재 부용역과 와룡역은 여객 터미널 용도로는 사용되지 않...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짚으로 엮어 곡물을 널어 말리는 데 쓰는 깔개. 지역에 따라 덕서기, 덕석, 턱성, 터서기라고 부른다. 한편 ‘덕석’은 겨울철에 소가 추위에 떨지 않게 몸에 걸쳐 주는 거적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멍석을 짜는 데는 잔손질이 많이 가서 한닢을 만들려면 능숙한 사람이라도 일주일쯤 걸린다. 벼의 다수확 품종이 보급되면서 짚 자체가 멍석을 만드는 데 부적합하여...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집터를 지켜 준다고 믿는 가신(家神). 터주는 집의 울타리 안을 주로 관장하는 지킴이이다. 지역에 따라 ‘터줏대감’, ‘토주(土主)대신’, ‘왕신단지’ 등으로도 불린다. 집의 뒤꼍이나 장독대 가까이에 터주를 모시는 터주가리를 만들어둔다. 전라북도 지방에서는 안방의 윗목 시렁 위에 조상단지를 모시고 있는데, 상달에 단지의 곡식을 갈아 담아서 조상숭배의 상징으로...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집터를 지켜 준다고 믿는 가신(家神). 터주는 집의 울타리 안을 주로 관장하는 지킴이이다. 지역에 따라 ‘터줏대감’, ‘토주(土主)대신’, ‘왕신단지’ 등으로도 불린다. 집의 뒤꼍이나 장독대 가까이에 터주를 모시는 터주가리를 만들어둔다. 전라북도 지방에서는 안방의 윗목 시렁 위에 조상단지를 모시고 있는데, 상달에 단지의 곡식을 갈아 담아서 조상숭배의 상징으로...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짚으로 엮어 곡물을 널어 말리는 데 쓰는 깔개. 지역에 따라 덕서기, 덕석, 턱성, 터서기라고 부른다. 한편 ‘덕석’은 겨울철에 소가 추위에 떨지 않게 몸에 걸쳐 주는 거적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멍석을 짜는 데는 잔손질이 많이 가서 한닢을 만들려면 능숙한 사람이라도 일주일쯤 걸린다. 벼의 다수확 품종이 보급되면서 짚 자체가 멍석을 만드는 데 부적합하여...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토란을 넣고 끓인 국. 시원하게 끓인 토란국은 예부터 김제 지역의 대표적인 추석 별미였다. 대표적인 알칼리성 식품인 토란에는 소화를 돕고 변비를 예방하는 성분이 있다. 이 때문에 떡이나 고기를 많이 먹어 배탈이 나기 쉬운 추석에 토란국을 끓여 먹은 조상들의 지혜가 엿보인다. 토란의 주성분은 녹말·단백질·섬유소·무기질 등으로 소화가 매우 잘되는 음식이나 수산석...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벼의 껍질을 벗기는 데 쓰던 농기구. 토매는 벼를 찧어서 현미를 만드는 농기구로 맷돌 모양이다. 통나무가 귀한 곳에서 사용한 매통의 한 형태이다. 아래위 두 짝이 있고 위짝에 자루가 달려 있다. 흙을 구워 만들거나 나무로 만든다.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위짝 옆에 달린 기둥에 손잡이를 따로 박는데, 이를 한 사람 또는 두 사람이 노를 젓듯이 앞으로 밀었다가 당...
-
전라북도 김제 지역의 지표를 구성하는 암석이 풍화·분해되어 생성된 흙. 토양은 광물성 풍화 산물이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작용에 의해 더욱 변화하여 이루어진 암석권의 표층을 말한다. 토양은 식물의 생장을 가능하게 하는 필수 불가결한 자연 자원으로 농업의 기반이 되므로 토양의 속성에 따라 작물을 선택하고 토양의 구조를 꾸준히 개량하여 지력(地力)을 높여 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토...
-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화포리에 있는 자연마을. 깨끗하고 물맛이 좋은 우물이 있어 토물이라 하였다가 토정(土井)으로 고쳤고, 후에 마을 규모가 커지자 대토(大土)라 하였으며, 행정구역 개편 때 일본인들이 토정(土亭)으로 고쳤다. 『토정비결(土亭秘訣)』을 지은 이지함(李之菡)이 살았던 곳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약 500년 전에 청풍김씨(淸風金氏) 중시조가 터를 잡고 살기...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집터를 지켜 준다고 믿는 가신(家神). 터주는 집의 울타리 안을 주로 관장하는 지킴이이다. 지역에 따라 ‘터줏대감’, ‘토주(土主)대신’, ‘왕신단지’ 등으로도 불린다. 집의 뒤꼍이나 장독대 가까이에 터주를 모시는 터주가리를 만들어둔다. 전라북도 지방에서는 안방의 윗목 시렁 위에 조상단지를 모시고 있는데, 상달에 단지의 곡식을 갈아 담아서 조상숭배의 상징으로...
-
조선 전기 전라북도 김제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자허(子虛), 호는 토헌(土軒). 아버지는 박길중(朴吉中)이고, 어머니는 정랑(正郞) 최계진(崔季眞)의 딸이다. 형은 박부(朴敷)·박헌(朴軒)이다. 박초(朴礎)[1367~1454]는 어려서부터 정몽주(鄭夢周)의 문하에서 학문을 닦았다. 좌헌납·이조정랑·사복시첨정·사헌부장령·교서관판교·우부승지·대사간·병조참의 등의 요...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일생을 거치면서 인생의 중요한 단계 단계마다 행하는 의례. 평생의례란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죽을 때까지의 과정 중에서 중요한 단계마다 치르는 의례행위로써, ‘통과의례’라고도 한다. 삶이란 시간의 흐름 속에서 한 순간도 쉼 없이 연속적이고 지속적인 것이 일반적인 속성이다. 하지만 인간은 보다 의미 있고 행복한 삶을 누리기 위하여 결혼과 죽음 등과 같은 중요한...
-
가는 댓조각이나 싸리를 엮어서 통같이 만든 전라북도 김제 지역의 고기잡이 기구. 통발은 일명 ‘쪽대’라고도 한다. 가느다란 대조각으로 원추형(圓錐形)의 발을 엮고, 밑바닥에서 안쪽으로 다시 원추형으로 반쯤 발을 엮어서 구멍을 낸 것이다. 대나무 통발 원추형 밑바닥의 안쪽에 있는 ‘발’은 원추형을 중간에서 자른 모양 같은 깔대기로 ‘안혀’또는 ‘안섭’이라고도 한다. 형태는 원통형 또...
-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 신용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 무신 조필달의 유물. 조필달(趙必達)[1600~1664]은 본관이 김제이며 문양공(文良公) 조간(趙簡)의 11세손이다. 무과에 급제한 후 1630년(인조 8) 충좌위우부장(忠佐衛右部將)에 처음 제수되었다. 그 후 순안현령, 보성군수, 양주목사, 포도대장(捕盜大將), 전라병마절도사(全羅兵馬節度使), 삼도통제사(三道統制使) 등...
-
전라북도 김제시 신풍동에 있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김제 교구.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처음 창립할 때는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약칭 통일교]라고 이름 붙였다가 1997년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으로 바꾸었다. 창조주 하나님을 인간의 아버지로 믿으며, 예수를 인간의 구주인 동시에 복귀된 선(善)의 조상으로 믿는다. 문선명을 구세주로 받아들이고, 신·구약 성서와 함께 『원리강론』, 『문선명...
-
전라북도 김제시 신풍동에 있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김제 교구.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처음 창립할 때는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약칭 통일교]라고 이름 붙였다가 1997년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으로 바꾸었다. 창조주 하나님을 인간의 아버지로 믿으며, 예수를 인간의 구주인 동시에 복귀된 선(善)의 조상으로 믿는다. 문선명을 구세주로 받아들이고, 신·구약 성서와 함께 『원리강론』, 『문선명...
-
1994년 전라북도 김제 출신 작가 임영춘이 발간한 시집. 『통일낙서』는 김제 출신의 중견작가인 임영춘(林永春) 시인의 자연, 삶, 어머니, 통일문제를 소재로 한 시집으로, 1994년 9월 1일에 출간되었다. 『통일낙서』는 단행본으로 총 116페이지 분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1994년 임영춘의 그간의 작품을 모아 세림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 『통일낙서』는 제1부 통일낙서, 제2부 8...
-
2006~2007년 전라북도 김제시에서 남북통일을 염원하여 민·관이 함께 시행한 대북 지원 사업.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약칭 민주평통] 김제시협의회가 2005년 지평선축제 기간에 시민을 대상으로 벌였던 ‘통일보리 보내기 모금운동’은 사회단체 및 시민들의 폭넓은 참여를 유도해 지역 사회의 커다란 호응을 얻은 바 있다. 남북통일을 위해 남북한 당국자 간 회담이 벌어지고, 문화·체육 등...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김제 출신의 충신이자 효자.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여신(汝信), 호는 퇴암(退庵). 오종손(吳從孫)의 현손으로, 동생은 오대익(吳大益)·오대진(吳大晋)이다. 조선 광해군 때 사옹원봉사로 있었다.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인조가 충청도 공주로 파천하자 두 동생과 함께 왕을 호종하였다. 벼슬에서 물러난 뒤 고향으로 돌아와 동생들과...
-
전라북도 김제시에서 생산되는 특색 있는 산물. 특산물은 어떤 지역의 특별한 산물로서 지역의 문화, 지형, 기온, 토양 등에 따라 그 차이가 있다. 한국의 예부터 지방적 성격이 강하며, 지방마다 고유한 문화와 그에 따르는 그 지역만의 독특한 산물이 많다. 이러한 지방의 많은 특산물은 현대화, 도시화로 접어들면서 지방 특산물, 지방 관광 상품, 지방 향토 음식으로 상품화되기 시작하였다...
-
특수교육 대상자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전라북도 김제시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전라북도 김제시의 특수교육은 주로 일반 학교에 특수 학급을 편성하여 운영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라북도 김제교육청 산하에 특수교육지원센터를 개설하여 특수교육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전라북도 김제교육청은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적인 인간 육성이라는 교육 지표 아래 꿈을 키우며 즐겁게 공...
-
전라북도 김제시 검산동에서 매년 김제특수교육지원센터 주관으로 개최되는 특수학급학생 축제. 특수학급학생 한마당축제는 2005년 12월 26일 김제시 청소년수련관에서 열린 김제교육청 주최, 김제특수교육지원센터 주관의 ‘통합학급 친구들과 함께하는 2005 꿈나눔축제’가 시발점이 되었다. 이 축제는 문화생활을 누릴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한 농산어촌 지역 학생들에게 문화 공연을 통하여 문화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