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601645
한자 喪禮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집필자 현승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상례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 지역에서 사람이 죽었을 때 행하는 모든 의례.

[개설]

서귀포시에 사람이 살게 되면서 시작되었을 상례의 흔적은 고인돌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역사시대로 들어서면서 서귀포시 주민들이 믿는 신앙의식은 심방들과 함께 기원하며 전승해 왔다. 오늘날 전승되는 귀양풀이와 시왕맞이는 죽은 영혼을 저승으로 고이 보내드리는 의식으로 상례의 목적을 엿볼 수 있다.

[절차]

상례는 육지에서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주자가례』의 절차를 따른다. 임종-수시-초혼-염습-조관-입관-출구-발인-운상-하관-성분-초우-귀양풀이-재우-삼우-졸곡-소상-대상-시왕맞이-담제 등의 순서로 진행한다.

사람이 사망하면 입·코·귀를 백지나 햇솜으로 막고 시신을 바로 눕히고 부드러운 천으로 흐트러지지 않게 묶는다. 이어 망인의 적삼이나 저고리를 들고 지붕 위로 올라가 초혼을 한다. 초혼이 끝나면 시신을 향물로 닦고 미리 준비해 둔 호상옷으로 갈아입히는 염습을 하고 입관을 한다. 관은 목수를 불러 상가 마당에서 짜며 관의 틈새는 찰흙으로 메운다.

입관 후 상제는 상복을 입고 성복제를 지낸다. 성복제를 지낸 후 빈소를 차리고 비로소 조문객을 받는다. 장지를 선정하지 못했을 경우는 가매장(假埋葬)을 하는데, 이를 ‘토롱’이라 한다. 토롱은 집 가까운 곳에 땅을 파고 관을 놓은 다음 띠로 덮어 비가 새지 않도록 하고 가볍게 흙을 덮어 둔다. 장지는 지관에게 부탁하여 정하고, 장례 전날은 ‘일포’라 하여 조문객들이 망자와 마지막 인사를 하러 온다.

장례식날 아침에는 발인 고사를 지낸 뒤 상여를 준비하여 견전제(遣奠祭)를 지내고 상여를 메고 나간다. 명정이 앞장서면 뒤이어 여상주가 혼백상을 업고 그 뒤를 따르고, 그 뒤를 다시 여성 친지들이 곡을 하며 따른다. 상여 뒤에는 상주와 친지들이 뒤따른다.

장지에 도착하면 하관제를 지내고 하관이 끝나면 평토작업을 한다. 이어 달구소리를 불러가며 봉분을 만들고 산담을 쌓고, 복친과 상제들은 초우제(初虞祭)를 지낸다.

이러한 절차가 모두 끝나면, 주부는 혼백상자를 업고 집으로 돌아와 그날 저녁 심방을 청하여 ‘귀양풀이’를 한다. 재우제와 삼우제를 치르고 백일 후는 졸곡제를 지내고 이어서 소상, 대상을 지낸다.

삼 년째 되는 해에는 시왕맞이를 하여 영혼이 평안히 저승에 안착하기를 기원한다. 이로써 모든 상례 절차는 마무리된다.

[현황]

서귀포 지역에서는 『주자가례』의 절차를 따르면서도 독특한 무속 의례를 행하기도 한다. 장사를 마치고 난 뒤에 집에서 벌이는 소규모 굿인 귀양풀이, 시왕에게 영혼이 저승의 좋은 곳으로 가도록 기원하는 굿인 시왕맞이를 한다. 이는 오랜 세월 전승해 온 무속의례의 전승이라는 점에서 제주도의 특징이라 하겠다.

상례 과정 중 서귀포시 하효동에서 행해진 상여놀이인 ‘원님놀이’는 상여꾼 중 한 사람을 상여에 태우고 놀리면서 마을로 내려오는 것인데, 그들의 슬픔을 기쁨으로 승화시키는 지혜가 엿보인다.

요즘은 서귀포 지역의 가매장인 토롱이 사라지고, 병원에서 사망하여 병원에서 상례를 치르게 되었고, 공동묘지가 생기면서 지관에 의지하던 풍습이 사라지고 말았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상례 때 친족들은 의무적으로 부조를 한다. 계원들이 나서서 노력봉사를 해 주니 이에 대해 보답을 하려면 부조가 필요하다. 상복과 관, 음식 등을 만드는 자와 상주들을 위해 사돈집에서는 팥죽을 쑤어간다. 장지까지 상여를 메고 가는 상두꾼과 봉분을 준비하는 자들을 위해 음식을 준비하는데 이것을 ‘고적’이라 했다. 고적은 떡과 쌀로 구분하며, 떡은 메밀가루로 둥글넓적하게 하여 그 안에 고명을 넣어 반으로 접어 만든다. 장삿날에는 여자들이 의무적으로 이를 만들어 갔다. 고적떡은 장지에서 식사 대용이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