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600084 |
---|---|
영어음역 | Geobukbawi |
영어의미역 | Geobukbawi Rock |
이칭/별칭 | 「박장군바위」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전라북도 김제시 백학동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정길 |
전라북도 김제시 백학동에서 거북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거북바위」는 백학동의 용곳 뒷산에 있는 거북 형상의 바위에 얽힌 신이담이자 암석유래담이다. 이를 「박장군바위」라고도 한다. 첫째 이야기는 거북바위 등에 임씨가 팠다는 맷돌 흔적이 남아 있는 흔적전설이며, 둘째 이야기는 박석정(朴石精)[김제시 백학동 용곳 출생]의 충의형 암석전설이다. 박석정은 1592년(선조 25)에 일어난 임진왜란 때에 바람 앞의 등불 같은 나라를 구하려고 스스로 의병을 모집하여 지금의 진안 곰티에서 왜적을 맞아 싸웠던 인물이다.
1995년 김제시사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김제시사』에 수록되어 있다.
김제시 백학동 용곳 뒷산에는 마치 거북이가 앉아서 고개를 옆으로 바라보는 모습의 바위가 있다. 이 거북바위에는 두 가지 이야기가 전해져 오고 있다.
그 하나는 거북바위 등에 남아 있는 맷돌의 흔적에 관한 전설이다. 용곳에 살던 임씨 성을 가진 사람이 메밀이나 콩을 가는 데 쓰는 맷돌이 없어서 불편을 겪었다. 궁리 끝에 임씨는 거북바위 등에 맷돌 아래짝을 파 나갔다. 맷돌이 거의 만들어질 즈음 바위에서 붉은 피가 솟아올랐다. 그 날 밤 임씨의 아들 한 명이 까닭을 모르게 죽더니 며칠 사이에 아들 삼형제가 차례로 죽었다. 임씨는 신령스런 바위를 건드린 죄로 아들 삼형제를 잃고 마을에서 쫓겨났다. 그 뒤부터는 어느 누구도 감히 거북바위를 건드리지 않았으며, 지금도 거북바위 등에는 임씨가 팠다는 맷돌 흔적이 남아 있다.
또 다른 전설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을 지낸 박석정 장군의 어머니 박씨 부인의 태몽에 대한 전설이다. 용곳에 살던 박씨 부인이 꿈에 들 건너 황산에서 큰 거북 한 마리와 새끼 거북 두 마리를 치마폭에 안고 오다가 새끼 거북 두 마리는 두월천[용곳 앞들에 있는 냇가] 가운데 떨어뜨리고, 어미 거북은 마을 뒷산에 내려놓았다. 그런데 꿈이 이상해서 박씨 부인이 아침 일찍 마을 뒷산에 가 보았더니 꿈에 안고 왔던 어미 거북과 똑 같은 바위가 그 자리에 놓여 있었다. 이를 신기하게 여긴 박씨 부인은 혹시나 하는 맘으로 두월천에 가보았는데 거기에도 뒷산에 있는 바위와 같은 바위가 있었다.
거북바위 꿈을 꾸고 얼마 지나지 않아 아이를 갖게 되었고 달이 차 낳은 아이가 바로 박석정이다. 박석정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스스로 의병을 모아 곰티에서 많은 왜적을 물리치는 공을 세우고 전사했다. 뒤늦게 이 사실을 알고 나라에서는 승정원좌승지의 벼슬을 내렸다. 사람들은 이 거북바위를 박석정 장군의 성을 따서 ‘박장군바위’라고 부르기도 한다. 박씨의 묘소 앞에 있는 비석의 비문에도 거북바위에 대한 이야기가 새겨져 있고, 재각에는 ‘구룡재(龜龍齋)’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거북바위」의 주요 모티프는 ‘신성한 바위의 훼손과 가족의 파멸’, ‘신성한 바위의 태몽과 영웅의 탄생’ 등이다. 첫째 이야기는 신성한 바위를 임의로 훼손한 벌로 파멸에 이르게 된 임씨 가족에 대한 응보담이다. 둘째 이야기는 박씨 부인의 거북바위 태몽을 통한 영웅탄생담이자 의병대장 박석정 장군의 활약담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