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600883 |
---|---|
한자 | 裵世彤 |
영어음역 | Bae Sedong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원평리 |
시대 | 근대/근대 |
집필자 | 채수환 |
성격 | 독립운동가 |
---|---|
출신지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
성별 | 남 |
생년 | 1894년![]() |
몰년 | 1942년![]() |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김제 출신의 독립운동가.
배세동(裵世彤)은 1894년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에서 태어났다. 김제시 금산면 구월리에서 농사를 짓고 있던 배세동은 평소 나라를 빼앗긴 백성으로서 일제에 대한 적개심을 품고 있었는데, 1919년 3월 13일 전주시장에 나갔다가 그곳에서 벌어진 만세운동에 참여한 후 집으로 돌아왔다. 이후 배세동은 고향에서도 만세운동을 일으킬 것을 결심하고, 같은 마을에 사는 전도명(全道明)·전도근(全道根)·전부명·이병섭·김성수·고인옥(高仁玉) 등과 함께 모여 3월 20일 원평장날 장터에서 만세운동을 일으키기로 결의하였다.
3월 20일 오후 6시 배세동 외 8명의 동지들은 원평장터에서 긴 장대에 태극기를 달고서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준비한 선언문과 태극기를 뿌렸다. 그러자 여기저기서 대기하고 있던 김대희 외 수백 명의 군중들이 뛰쳐나와 원평장터는 삽시간에 시위 군중의 함성으로 들끓게 되었다.
그러나 장날이라 여기저기서 감시하고 있던 일본 경찰과 헌병들의 무력 제지에 의하여 시위 군중들은 흩어지고 배세동 외 8명의 동지들은 구속되어 모진 고문 끝에 6월에서 1년의 실형을 선고받았다. 배세동은 출옥한 후에도 일본 경찰의 감시를 받다가 1942년 다시 구속되었으며, 고문의 후유증으로 같은 해 4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