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용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951
한자 崔容澈
영어공식명칭 Choi Yongchul
이칭/별칭 최응래(崔應來)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이혜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85년 2월 7일연표보기 - 최용철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19년 3월 6일 - 최용철 부여군 임천면에서 3·1 운동 주도
활동 시기/일시 1919년 4월 4일 - 최용철 공주지방법원에서 징역 7월형 언도
몰년 시기/일시 1949년 6월 13일연표보기 - 최용철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92년연표보기 - 최용철 대통령 표창 수훈
출생지 팔충리 -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팔충리 지도보기
활동지 부여 - 충청남도 부여군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정의]

충청남도 부여 출신의 독립운동가.

[활동 사항]

최용철(崔容澈)[1885~1949]은 1885년 2월 7일 부여군 충화면 팔충리에서 태어났다. 1919년 3월 5일 부여군 충화면 팔충리 무쇠점마을에 있던 박용화(朴容和)의 집에서 부여 지역 내 전·현직 천도교 간부였던 황우경(黃宇京)·박성요(朴性堯)·황금채(黃金彩)·정판동(鄭判同)·문재동(文載東) 등과 함께 합숙하며 만세운동을 모의하였다.

최용철 등은 3월 6일 새벽에 팔충리를 출발하여 오전 7시 무렵 임천면 구교리에 도착한 뒤 곳곳에 「독립선언서」를 붙이고 장터 등 인파가 많은 곳에서 3·1 운동의 정당성과 시위 동참을 호소하는 연설을 하였다. 오전 10시 무렵 시위 군중이 불어나자 시위대를 이끌고 면사무소와 보통학교 등에서 대한 독립 만세를 외쳤다. 이후 임천 헌병출장소 앞에서도 만세운동을 이어 가다가 최용철은 시위를 주도하였던 동지들과 함께 체포되어 헌병대로 압송되었다.

최용철은 1919년 4월 4일 공주지방법원에서 이른바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7월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최용철최응래(崔應來)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으며, 1949년 6월 13일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최용철의 공적을 기려 1992년 대통령 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