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301557
한자 儀禮服
영어음역 Uiryebok
영어의미역 Ritual Cloths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북도 제천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정화

[정의]

충청북도 제천 지역에서 각종 의례 때에 특별히 갖추어 입는 예복.

[개설]

의례복은 혼례나 제례 등 각종 통과 의례 시에 예를 갖추기 위해 입는 옷이다. 제천에서 행해지고 있는 각종 의례 시에 입는 의복으로는 아기의 돌에 입는 돌복, 결혼 행사 때 입는 혼례복, 부모님이 돌아가시는 상례 때 입는 상례복, 조상의 제사를 지낼 때 입는 제례복 등이 있다.

[돌복]

과거 집에서 길쌈을 통하여 직물을 직조하던 시절 남자 아기의 돌복은 까치색동저고리, 조끼, 풍차바지였다. 그리고 남자 아기의 머리에는 흑색 복건(幞巾)을 씌운다. 여자 아기의 돌복으로는 치마, 저고리를 입히고 머리에는 조바위를 씌운다. 하지만 1960년대 후반까지만 하여도 제천 지역 대부분의 집안에서는 첫아이이거나 아들일 경우에만 돌잔치를 하는 경향이 강하였다. 그래서 모든 아이들이 돌복을 입은 것은 아니었다. 요즘에는 아기의 돌잔치를 집에서 하지 않는다. 대개 아기의 돌복으로 한복을 빌려 입히거나 양복을 입힌다. 여자아이의 경우에는 드레스를 입히거나 한복을 입히고 조바위를 씌우기도 한다.

[혼례복]

서양식 결혼이 보편화되기 전에 제천 지역에서는 대개 신부의 집에서 혼인 잔치를 베풀었다. 이때 결혼하는 당사자들은 마을에서 공동으로 장만해 놓은 혼례복을 입거나, 혹 집안에 마련해 둔 혼례복을 입었다. 신부의 경우 노란색이나 연두색 저고리에 빨간 치마를 입고 원삼(圓衫)을 입는다. 그리고 머리에는 족두리를 쓴다. 신랑의 경우 저고리, 바지, 두루마기를 입고 단령(團領)을 입고 사모관대(紗帽冠帶)를 한다. 특히 신랑의 혼례복은 관복(官服)의 형태를 띠고 있는데, 혼인은 인륜지대사이기 때문에 이날 벼슬을 하지 않은 사람도 관복을 입을 수 있도록 허락한 것이라고 여긴다. 요즘에는 예식장에서 결혼을 하기 때문에 신랑은 양복을 입고 신부는 드레스를 입는다. 하지만 폐백(幣帛) 때에는 여전히 전통 혼례복을 입는다.

[상례복]

과거 집에서 길쌈으로 명주나 무명, 삼베를 직조하던 시절에는 죽은 시신에 입히는 수의(壽衣)와 상주들이 입는 상옷을 직접 지었다. 수의의 경우 대개 고인이 살아있을 때 미리 만들어 두는 경우가 많았고, 상주들이 입는 상옷은 보통 상이 나면 마을 사람들이 상가에 모여 같이 지었다. 요즘에는 상례를 치를 때 장례용품점에서 판매하는 기성복 형태의 수의를 시신에 입힌다. 상주들 역시 기성복 형태의 상옷을 입는다. 종교에 따라서 천주교 신자의 상례에는 상주들이 검은색으로 상복을 입는다.

[제례복]

제례복은 명절이나 기제사 때 조상에게 제사를 지낼 때 입는 옷이다. 남자의 경우 두루마기에 유건(儒巾)을 쓰고 제사를 지냈으나 요즘에는 양복이나 개량 한복을 입고 제사를 지낸다. 여자의 경우 본래 제사에 참석하지 않았으나 참석하는 경우 개량 한복을 입는다.

[현황]

제천 지역 역시 40여 년 전 기성복의 등장으로 의례복 또한 기성복 형태로 유지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시간이 흘러도 의례(儀禮)에 대한 기본적인 의미가 변하지 않았기 때문에 기성복 형태를 입더라도 의례는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의례복 또한 기성복화가 되어 가는 상황 속에서 제천 지역 의례복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른 지역과 구별되는 뚜렷한 특징을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의의]

기본적인 의례에 대한 의미가 변하지 않았기 때문에 기성복 형태의 의례복을 입고 의례를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복에 대한 전통적인 의미를 고수하기 위하여 의례 때 개량 한복을 입는 모습도 살펴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신식 결혼을 하더라도 폐백 때는 전통 한복을 입는 모습을 통하여 시간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 의례가 가지는 엄격성 또한 엿볼 수 있다.

[참고문헌]
  • 『제천시지』(제천시지편찬위원회, 2004)
  • 인터뷰(중앙동 주민 홍양자, 여, 78세, 2011. 2. 18.)
  • 인터뷰(중앙동 주민 이금순, 여, 75세, 2011. 1. 28.)
  • 인터뷰(중앙동 주민 이광성, 남, 58세, 2011. 2. 18.)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