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만두레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901714
이칭/별칭 만두리,만들이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 덕천리
집필자 황금희

[정의]

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 덕천리 태촌 마을에서 마지막 논매기를 하며 벌이는 놀이와 노래.

[개설]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는 기계화 영농이 실시되기 이전에 손으로 김[풀]을 맸다. 횟수에 따라 초벌매기·두벌매기·세벌매기로 나누는데, 마지막 논매기를 만두레라 불렀다. 일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김을 매면서 노래를 부른다. 일을 다 마치면 상머슴을 소에 태워 노래 부르며 돌아온다.

[연원 및 변천]

지금은 농촌 지역 영농의 기계화와 농약의 보급으로 사람이 직접 논에 들어가 잡초를 뽑는 논매는 일이 사라졌다.

[절차]

논에 모를 심고 시간이 지나면 풀이 자라 뽑아 주어야 한다. 이때 손으로 한 번 뽑고 호미질을 한 번 하는 것을 ‘한 벌 맨다’라고 하며, 대략 열흘에서 보름 간격으로 행해진다. 첫째를 ‘초벌 맨다’고 하며, 둘째를 ‘두 벌[공벌, 금벌] 맨다’고 하며, 셋째를 ‘세 벌 맨다’고 한다. 세 번 매고 나면 마지막인데, 이를 ‘만두레[만들이, 만두리]’라고 한다. 이맘때가 되면 벼가 많이 자라나서 풀이 번성하지 못하게 되므로 더 이상 논을 맬 필요가 없어지고, 더 매고 싶어도 날카로운 벼에 팔뚝 살이 깎여 나갈 지경이 되므로 할 수도 없다고 한다. 농사짓기의 큰 고비를 넘기고 이후에는 추수를 기다리면 되므로 이를 축하하기 위하여 한바탕 논다.

만두레의 특별한 절차는 없다. 논에서 김매는 사람들은 김을 매고, 논두렁에 술과 음식을 준비하며, 풍장을 치고 소리하는 사람은 노래를 한다. 일을 다 마치고 귀가할 때, 최고로 일을 잘한 상머슴을 소에 태워 노래를 부르며 돌아온다. 주로 장난기가 많은 주인 혹은 머슴에 의하여 부자와 가난한 사람 형편 따지지 않고 재미있는 일을 벌였다. 논일을 다 했다는 뜻으로 ‘만들이 했다’고 하며, 저녁에 모여서 닭을 잡고 음식을 장만하여 신나게 놀았다. 올 한 해 논에서 할 일은 다 끝나고 추수만 기다리면 되니 손발 깨끗이 씻는다는 의미가 있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전라북도 무형 문화재 제32호로 지정된 순창 농요 「금과 들소리」에도 「김매는 소리」가 포함되어 있다. 김매는 일은 여럿이 함께 치르지만 동작의 통일은 필요하지 않으므로 노래는 일의 동작과 밀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선소리꾼은 작업을 지휘하는 기능보다도 일의 흥취를 북돋우는 일을 맡는다. 초벌매기[호미질] 때는 「문열가」를 부르고, 두벌매기[한 벌] 때는 「연꽃 타령」, 「담담서름 타령」, 「오호 타령」 등을 부르며, 세벌매기[군벌] 때는 「방아 타령」을, 마지막 논매기[만두레] 때는 「사호 소리」를 부른다. 논매기를 마치고 돌아오면서 하는 장원질 소리로는 「산아지 타령」을 부른다.

1. 「만두레 소리」

[후렴] 오헤헤라 상사뒤허 허뒤어/ 먼데 사람 듣기 좋고 옆에 사람 보기도 좋네/ 다 매었네 다 매어가네 이 논배미를 다 매었네.

[후렴] 에헤라 사호/ 이쪽 베루는 저쪽을 보고/ 휘휘 둘러 쌈들 싸세/ 순창 원님은 곤달로쌈이요/ 임실 원님은 해우쌈이요/ 남원 원님은 천엽쌈이요/ 우리 농군은 상추쌈일세/ 바싹바싹 우겨주소/ 소쿠리장사 테 두르듯/ 망건장사 골 두르듯/ 에헤라 사호.

2. 「장원질 소리」

[후렴] 에야뒤야 에헤에에야 에야뒤여라 산아지로구나/ 저 건네 갈미봉에 비 묻어온다 우장 삿갓을 둘러메고 집으로 가세/ 노자 좋아 젊어서 놀아 늙고 병들면 못 놀겄네/ 노다 가세 노다가 가세 저 달이 떴다 지도록 노다 가세.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