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600354
한자 後長
영어음역 Hujang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라북도 김제시 장화동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성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마을

[정의]

전라북도 김제시 장화동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유래]

후장(後長)이 있는 장화동은 1450년경 당시 성균관 진사였던 돈화 정임(鄭任)이 벼슬을 그만두고 화산(花山)으로 내려와 살면서 마을 이름을 장화(張華)라 한 데서 유래하였다. 장화(障化) 또는 꽃잔[華殘]이라고도 하였다. 마을 서쪽에 있는 화초산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장화동이 커지면서 전장[전장화]과 후장[후장화]으로 나누어졌다.

[형성 및 변천]

후장이 위치한 장화동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전장·후장·가작을 병합하여 월촌면 장화리가 되었다. 1989년 김제읍이 김제시로 승격하면서 김제시 월촌동에 편입되었고, 1998년 교동과 월촌동을 병합함에 따라 교동월촌동 관할 법정동인 장화동이 되었다. 장화동은 김제 관내에서 가장 명당으로 알려져 있다.

[현황]

후장장화동의 3개 마을 중 가장 서쪽에 있는 마을로 서쪽에 화초산이 있다. 마을에 있는 정구례 고가(鄭求禮古家)에는 전라북도 민속자료 제11호로 지정된 장화리 쌀뒤주가 있다. 장화리 쌀뒤주는 한때 구례군수를 역임하였기 때문에 정구례로 더 잘 알려진 정준섭(鄭畯燮)이 1864년(고종 1)부터 만들어 사용하던 것이다.

정준섭은 조부 때부터 전해 내려온 많은 토지를 소유한 토호(土豪)로서 매일같이 찾아오는 과객이나 식객이 수백 명에 이르자 작은 궤짝으로는 감당할 수 없어 결국 안마당에 70가마 분량의 쌀이 들어가는 초대형 쌀뒤주를 만들었다고 한다. 크기는 높이 180㎝, 너비 210㎝로, 두께 3.3㎝의 널빤지 8개를 짜 맞추어 벽체를 구성하였고, 앞면 가운데의 폭 68㎝ 공간의 문을 만들었으며, 볏짚으로 지붕처럼 뚜껑을 만들어 씌웠다. 흉년이 들면 쌀뒤주에 보관된 쌀을 풀어 어려운 사람들을 도와주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