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600501 |
---|---|
한자 | 現代 |
영어의미역 | Modern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전라북도 김제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창섭 |
1945년 해방 이후부터 현재까지 전라북도 김제 지역의 역사.
전라북도 김제시는 호남평야의 중심에 자리한 지리적 위치로 인해 큰 변화를 겪어왔다. 일제 때에는 미곡의 집산지로서 발전이 이뤄지면서 인구가 증가했으나, 해방 후에는 미곡 반출이 중지되면서 철도 교통의 요지로서의 기능이 쇠퇴하였다. 또 1960년대 후반부터한국의 산업 구조가 공업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이촌향도(離村向都) 현상이 크게 나타나 공업화가 먼저 진행된 지역으로 인구 이동이 진행되자 농업 중심의 산업 구조를 가진 김제의 인구는 정체하거나 감소하였다.
1970년대까지 김제역 주변과 김제시 요촌동 중심의 도시 개발이 이루어진 것 외에는, 농업 중심의 개발 정책으로 호남야산개발 사업과 전천후 영농 기반 시설의 수리 시설 개량 등이 진행되었다. 1970년대 초부터 활발하게 일어났던 새마을운동이 김제 지역에서도 이루어져서 농촌 지역이 획기적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으나, 공단 조성 등 산업화는 늦어져서 인접한 정읍과 남원이 1981년에 시로 승격된 데 비해 김제는 1989년 1월 1일에야 김제읍과 월촌면 일대, 백산면·황산면·봉남면의 일부를 편입시켜 시로 승격하였다.
1989년 시로 승격된 이후 1994년 말까지 6년간은 김제시의 개발이 획기적으로 이루어져서 농공단지 등 공단을 조성하고, 도시 기본 계획을 재정비하였으며, 상·하수도 및 교통 기본 계획을 수립하였다. 또한 도심 지역의 각종 사회 간접 시설 확충, 섬진강 광역 상수도의 급수 및 하수 시설 개선, 택지 개발 등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1995년 1월 1일부터는 도농 균형 발전을 위한 통합 김제시로 발전하여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되었다.
2002년 현재 경지면적은 2만 8602ha이며 논이 2만 2687ha로 전체 경지면적의 79%를 차지하며 대부분 경지정리와 수리시설이 잘 이루어져 있다. 인구의 67%가 농업에 종사하며, 농가당 경지면적은 1.8ha인데, 이 중 2ha 이상의 농가가 18.1%로 경지규모가 크다. 2002년 작물 생산량은 미곡 13만 1043t, 맥류 1만 1575t, 잡곡 105t, 두류 373t, 서류 2만 6341t이다. 주곡농업 외에 성덕면·백산면·부량면 등지에서 양송이 재배가 성하며, 용지면·공덕면에서 참깨가, 백구면·용지면을 중심으로 한 야산지대에서 사과·배·복숭아·포도 등 과실류와 인삼·참깨·잎담배 등 밭작물이 생산된다.
2003년 현재 문화재로는 국보 1점, 보물 12점, 사적 1점, 천연기념물 2점 등 16점의 국가지정문화재와 유형문화재 17점, 무형문화재 5점, 기념물 6점, 민속자료 4점, 문화재자료 7점 등의 도지정문화재가 있다. 각종 농기구의 변천과 문화재를 알 수 있는 동진수리민속박물관이 있어 역사의 교육장으로 역할을 하고 있다.
관광지로는 모악산도립공원에 있는 금산사·모악산이 유명하다. 사적지로 벽골제가 있고, 해양문화체험지로는 심포항이 있다. 또한 모악산[794m]은 계룡산과 함께 미륵신앙의 중심지로 신흥종교의 발상지이며, 증산교의 성지로 유명하다.
21세기의 김제시는 전주-익산-군산의 개발축에 포함되어 내륙 공업, 유통 산업, 위락 기능을 분담하는 농·공 병진의 도시로 성장하는 청사진을 갖고 있다. 지방 도시 생활권의 거점 도시로서 해안과 내륙을 연결하는 광역 교통권 도시로 자리 잡고, 궁극적으로는 농촌형 공업 도시의 기반을 다진 상태에서 시민들의 삶의 질을 크게 끌어올리는 쾌적한 관광 도시가 되는 것이 과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