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김제문화대전 > 김제의 마을 이야기 > 광활면 화양마을 > 간척 사업과 이민을 통해 형성된 마을 > 없는 살림에 참 사연이 많아
-
일제강점기 화양마을이 자리한 광활면은 일본의 산미증산계획에 의해 간척된 땅으로, 전국 팔도에서 몰려든 이민자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민자들은 동진농업주식회사에서 3칸 집과 다섯 필지에 대한 경작권을 제공받았다. 하지만 동진농업주식회사와의 계약에 따라 소출의 절반은 동진농업주식회사에서 가져갔다. 나머지도 각종 소작료, 비료 대금, 관개용수 사용료, 종자 대금, 연차로 갚아 나가야 입...
-
이민자들의 광활 생활은 철저한 감시와 통제 속에 이어졌다. 광활면의 9개 답구에는 각 답구를 관활할 답구장이 배치되어 있었다. 9개의 답구장, 답구를 관할하는 3농구의 농구장, 그리고 한 명의 지배인이 있는 구조였다. 이민자들은 공동 경작과 타작은 물론 각종 노동에 강제로 참여할 수밖에 없었기에, 이들을 직접 관리 감독하는 답구장의 위세는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막강했다. 답구장은...
-
광활방조제가 완공된 이후 화양마을은 물론이고 광활면을 통틀어 가장 중요한 것이 방조제 관리였다. 광활방조제는 일본인 후쿠이가 관할하면서 2년 넘게 공들여 만든 것으로, 광활면의 너른 땅이 존재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바로 이 광활방조제였다. 그래서 광활방조제는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의 철저한 감독 아래 지속적인 관리를 받아 왔다. 9일에 한 번씩 9개 답구에서 순번...
-
광활방조제가 터지면서 큰 수해 피해가 났던 때는, 한국전쟁으로 전국에서 사람들이 봇짐을 들고 피난하던 시기와 맞물린다. 그러나 마을 사람들에게 피난민은 낯선 사람들이 아니었다. 이들 역시 팔도에서 이민을 통해 들어온 각성받이들이기에 거주민, 이주민을 구분하지 않았다. 급하게 피난을 온 사람들을 위해 마을에서는 생필품과 식량을 나눠 주면서 동네 사람으로, 이웃사촌으로 따뜻...
-
1952년 9월 4일에 불어닥친 태풍으로 광활방조제가 무너져서 논이 물에 잠기자 주민들은 농토를 되찾기 위해 공사를 추진했다. 방조제가 터졌을 당시 논에는 벼들이 고개를 숙이고 수확을 기다리고 있었다. 사람들은 대동공업사를 축으로 각 지역에서 인력을 동원하여 방조제를 수리하는 공사를 시작했다. 일단 신작로를 기준으로 둑을 막았다. 빠른 시간 안에 공사를 시작해서인지 둑이 무너진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