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종교적·도덕적인 이유로 사용이 금지되거나 꺼려지는 언어 표현. 아득히 먼 옛날부터 금기어·속신이 발생하여 전승되었으며, 금기에 대한 수많은 말들이 파생(派生)·조어(造語)되어 이를 불문율처럼 여겨 지켜 내려왔다. 금기어는 금지되는 행동과 함께 금기에 속한다. 금기는 특정한 인물·사물·현상·언어·행위 등이 신성시되거나, 또는 두렵다고 신봉함으로써 그 대상을 보...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오랜 세월을 두고 기억 전승된 희망과 이로움을 주는 긍정적인 말. 길조어(吉兆語)는 대부분이 “무엇 무엇을 하면 무엇이 좋다.”처럼 두 소절로 된 말로서 어떤 행동을 하면 복이 오거나 좋은 일이 있을 조짐이라는 내용의 의미를 담고 있다. 속신어(俗信語)의 일종이다. 미래에 경사스러운 조짐과 좋은 일이 있을 것을 예견해 주기 때문이다. 그 반대로 악함과 해로움...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주민들이 사용하고 있는 토착어. 방언은 표준어와 대립되는 개념의 말이다. 한 언어를 형성하고 있는 하위 단위로서 하나의 국어가 지역에 따라 음운·어휘·문법 등에 다름이 있을 때, 그 다름에 의하여 분단되는 지역에 있어서의 언어 체계를 방언이라고 한다. 한국어는 현재 우리나라 전역에서 쓰이는 방언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고, 방언은 한국어의 변종이라고 정의할 수...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사용되는 삶의 지혜를 드러내는 짧은 문장의 격언. 속담은 민간에 전해져 오는 말로서 풍자·비판·교훈 등을 간직한 짧은 구절이다. 이를 이언(俚諺)·속언(俗諺) 등으로도 일컫는다. 서민 생활 속에서 만들어진 것이 대부분이지만 고전이나 고사에서 나와 세상에 유포된 것도 많다. 어조가 좋고 간결하며, 표현이 정확하다. 속담은 그 기능에 따라서 비판적·교훈적·경험적...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어떤 사물에 빗대어 묻고 알아맞히는 언어 표현 놀이. 수수께끼는 시사물을 바로 이르지 아니하고 빗대어서 말을 하여 그 사물의 뜻을 알아맞히는 놀이로써, 주로 은유를 써서 대상을 정의하는 언어표현이다. 수수께끼는 기억하기가 아주 간단하고 쉬울 뿐만 아니라, 개인이 창작한 것이 아니고 심리적·기능적 필요에서 생겨난 인간적 언술의 근원 형태라고 할 수 있다. 표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