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하루사리뱅이 이전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601595
영어음역 Harusaribaengi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북도 김제시
집필자 박진화

[정의]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하루살이의 병을 고치는 방법.

[개설]

하루살이는 하루거리로 저녁때면 오슬오슬 춥고 아픈 병으로서 전라도에서는 일명 ‘초학’이라고도 한다. 굿이란 무당이 제물과 가무와 소원을 동반하여 신과 함께 자리하고 소통하는 큰 규모의 무속 제의이다. 반면에 치성·비손·고사·뱅이·기도 등은 각각의 필요와 형편에 따라 실현되는 작고 다양한 형태의 무속 제의이다.

‘뱅이’는 기도나 비손과는 달리 은밀한 소원성취를 위해서 취하는 직접적인 주술적 수단을 말한다. 뱅이는 방자·방법·비방 등이라고도 한다. 뱅이는 남을 위해하기 위한 부정적인 목적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배우자의 바람을 잡거나 상대를 떨어지게 하기 위해 혹은 처분이 잘 안 되는 물건을 속히 매매하기 위해 긍정적으로 쓰이기도 한다. 뱅이의 종류에는 삼자뱅이, 하루사리뱅이 등이 있다.

하루사리뱅이는 하루살이 병을 떼쳐물림[귀신을 위협하여 쫓아내려는 방법]으로 고치는 뱅이이다. 하루사리뱅이는 경악법(驚愕法) 외에 사위심, 며느리심 등이 있다.

[사위심]

어슴어슴한 저녁이 되어 인정기가 없으면 밥 세 접시에다가 저릅대기 21개를 꽂아서 사립문이나 대문 밖에다 차려 놓고 울 때 아저씨를 세 번 불러서 병자의 생년월일을 들먹거리며 “병을 낫게 하지 않으면 장도칼로 목을 베고 때개칼로 배를 가른다.”하고 엄하게 위협하면 낫는다고 한다.

[며느리심]

밤에 인정기가 없으면 솥에다가 밥 한 접시·가위·실꾸리·바늘·불경·파랑 헝겊 등을 넣고 접시에 들기름 불을 써서 밝혀 놓는다. 정지 구석 네 구석을 빗자루 부지깽이를 가지고 그 날 손이 있는 쪽에서부터 며느리를 불러서 “너 여기도 없구나?”하는 식으로 더듬어 가다가 맨 나중에 가서는 “너 여기 있구나?” 하면 “예!” 하고 대답한다. 그러면 “너 이리 오너라. 너 여기 오면 물 좋고 경개(景槪) 좋고 하니, 이 밥 먹고 이 불 쓰고 이 빗으로 머리 빗고, 이 가위 이 홍상 닷동 청상 닷동 갖고 여기서 바느질하고, 사리 우락 더우락 말썽 부리지 말고 살아라.”라고 하고서 솥을 닫아 놓는다. 그리고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부엌 아궁이에다가 넣고 불태워 버리면 영금하다고 한다.

[참고문헌]
  • 『김제시사』 (김제시사편찬위원회, 1995)
  • 전주한옥마을(http://hanok.jeonju.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