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김제문화대전 > 김제향토문화백과 > 삶의 방식(생활과 민속) > 민속 > 민속놀이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전승되어 오고 있는 민중들의 생활과 습관을 반영한 놀이. 민속놀이는 인간의 생활 속에서 영위하고 있는 생활환경이나 경제 활동과 관련을 맺으며 생겨난 놀이를 말한다. 이를 ‘전통놀이’라고도 일컫는다. 김제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생업 활동 및 지리적 여건과 관련하여 민속놀이가 형성되었으며, 반복을 통하여 세대 간 전승이 변화·발전되기도 하면서 이어져 내려왔다...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아녀자들이 그네를 뛰면서 즐기는 놀이. 그네뛰기는 큰 나무의 가지나 두 기둥의 가로 지른 막대에 길게 두 줄을 매어 늘이고, 줄 아래에 밑싣개[앉을깨]를 걸쳐 놓고 올라가서 몸을 날려 앞으로 나아갔다가 뒤로 물러났다가 하는 민속놀이이다. 이를 ‘반선희(半仙戱)’, ‘추천(鞦韆)’ 등이라고도 한다. 그네뛰기는 중국에서는 한나라와 당나라 때부터 성행했으며, 우리...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손을 불빛에 비추어 벽에 그림자를 만들며 노는 놀이, 또는 술래가 다른 아이들의 그림자를 쫓아다니는 민속놀이. 그림자놀이는 손·인형 등으로 물건의 시늉을 불빛에 비추어 벽에 마치 실물 모양과 비슷한 그림자를 만들면서 즐기는 놀이이다. 또한 그림자가 생기는 맑은 날 술래가 된 아이가 다른 아이들의 그림자를 쫓아다니며 밟으려는 그림자밟기놀이를 지칭하기도 한다....
-
전라북도 김제시 황산면 남산리 남양마을에서 정월 대보름날에 행하는 놀이. 남산리 남양 달집놀이는 남양마을 사람들이 보름달이 떠오를 때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언덕이나 산기슭, 논 가운데에 달집이라는 집을 짓고 보름달이 떠오름과 동시에 달집에 불을 놓아 제액초복(除厄招福)을 기원하는 풍속이다. 남산리 남양 달집놀이의 연원은 분명하지 않다. 기록은 없으나 달집태우기가 농촌에서 행해지는...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명절 때에 주로 부녀자들이 즐기는 놀이. 널뛰기는 음력으로 정월 초하루, 5월 단오, 8월 한가위를 비롯하여 각 명절에 즐기는 놀이이다. 주로 여인들이 널빤지 아래에 짚단 등을 넣고 양 끝에 한 사람씩 올라가 교대로 뛰었다. 널빤지 양 끝에 한 사람씩 올라가서 교대로 뛰면 그 반동으로 사람의 몸이 위로 올라가게 된다. 널뛰기의 연원에 대해서 정확히 알려진 자...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각자의 말을 퉁겨 다시 돌아오는데 성공하면 그만큼 자기 땅을 갖게 되는 놀이. 땅따먹기는 말을 잘 놀려 땅을 점차 넓혀감으로써 토지의 소유와 확대에 대한 관념을 아이들이 갖게 하는 민속놀이이다. 이를 ‘땅빼앗기’, ‘땅재먹기’, ‘땅뺏기’, ‘꼭꼬락치기’ 등이라고도 한다. 사금파리나 사기그릇 깨진 것으로 만든 말을 가지고 집 안팎의 마당에서 주로 행해진다....
-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 벽골제에서 단야의 설화를 배경으로 전해 내려오는 민속놀이. 벽골제 쌍용놀이는 백룡과 청룡 두 용의 싸움과 이 과정에서 희생된 김제태수의 딸인 단야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한 행사가 지금의 민속놀이로 발전하게 되었다고 한다. 벽골제의 제방공사와 용의 이야기가 후대에 와서 인간들의 애정갈등과 함께 얽히면서 놀이화가 된 것이다. 쌍용놀이는 ‘벽골제’에 얽힌 다음과 같...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손바닥 크기의 납작한 돌을 땅바닥에 세우고, 다른 돌을 던져 쓰러뜨리며 노는 놀이. 비석차기는 상대편의 비석을 일정선 상에 세워 놓고 자신의 비석을 운반해 상대 비석을 쓰러뜨려 승부를 가리는 민속놀이이다. 이를 ‘비석까기’, ‘비석치기’, ‘비사치기’ 등이라고도 한다. 돌을 이용한 가장 발달된 놀이로서 전신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운동 효과가 높은 편이다. 고려...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술래가 다른 아이들을 잡으러 찾아다니는 놀이. 술래놀이는 한 아이가 술래가 되고 다른 아이들은 들키지 않도록 숨으며, 들킨 아이가 다시 술래가 되는 민속놀이이다. 이를 ‘술래잡기’, ‘숨바꼭질’ 등이라고도 한다. 술래놀이는 야간에 순찰을 돌며 범죄자를 찾는 순라(巡羅)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도구가 필요 없으며, 실내외의 어디서나 가능하다. 전세계적으로...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정초에서 정월 대보름까지 바람을 이용하여 연을 하늘에 띄우며 즐기는 놀이. 연날리기는 대나무 가지를 가늘게 자르고 그 위에 종이를 바른 연을 바람을 이용해 하늘에 날리는 민속놀이이다. 이를 ‘연띄우기’라고도 한다. 연날리기는 전세계적으로 보편화되어 있으나 한국에서는 놀이를 겸한 액막이 행사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연과 관련된 역사적 기록이 많이 발견되고...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정월 초하루에 편을 나누어 윷을 던져 승부를 겨루는 놀이. 윷놀이는 네 개의 윷가락을 던져 그것이 나타내는 형상을 통해 일정한 행로를 통과하도록 말[馬]을 놓아 승부를 겨루는 놀이이다. 윷놀이는 음력 정월 초에 가족과 친척 그리고 정든 이웃이 모이면 남녀노소 구분 없이 두 사람 또는 여러 사람이 편을 짜서 즐기는 놀이이다. 멍석이나 가마니에 윷판을 만들고,...
-
전라북도 김제시 입석동에서 매년 정월 대보름에 입석 당산제를 지낸 뒤에 행하는 민속놀이. 입석 줄다리기는 매년 음력 1월 15일에 입석동의 선돌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당산제를 지낸 뒤에 부대행사로 진행되는 줄다리기이다. 근대 이전에는 지역마다 생활환경에 따라 마을의 안녕과 한 해의 풍요를 비는 세시풍속을 행하였는데, 이를 당산제[동제(洞祭)]라고 한다. 생활환경에 따른...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긴 막대기로 작은 막대기를 치거나 튀기면서 노는 놀이. 자치기는 정해진 순번에 따라 긴 막대기로 짧은 막대기를 쳐서 날아간 거리를 재어 승부를 정하는 놀이이다. 이를 ‘메뚜기치기’, ‘떼콩’ 등이라고도 한다. 자치기는 막대기로 타격을 한다는 점에서 서양의 크리켓, 야구에 비견되는 우리나라 아동들의 민속놀이이다. 긴 막대기, 짧은 막대기만 있으면 평지에서 쉽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