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300564
영어음역 Goindol
영어의미역 dolmen
이칭/별칭 지석묘,칠성바위,장수바위,검은 돌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북도 제천시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하문식

[정의]

충청북도 제천 지역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

[개설]

제천 지역에는 현재 100여 기의 고인돌이 있는데 대부분 남한강 유역의 충적지 위에 강줄기를 따라 분포한다. 이것은 고인돌 축조 당시의 사회적인 배경뿐만 아니라 농경 사회와의 관련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청동기 시대 제천 지역 사람들은 남한강 언저리에 마을을 이루면서 살림을 꾸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제천 지역에서 조사된 고인돌은 탁자식, 바둑판식, 개석식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부분은 개석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인돌의 형식 변천 과정에서 개석식은 늦은 시기에 해당하므로 이 지역의 고인돌은 거의가 비교적 늦은 시기에 축조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제천시 청풍면 황석리금성면 구룡리, 수산면 능강리에 있는 고인돌 유적의 절대연대 측정 결과 기원전 10세기 전후에 축조된 것으로 밝혀지고 있어 이러한 추정을 뒷받침하고 있다.

[분포 지역 및 형식]

고인돌은 작은 돌이 큰 돌을 받치고 있다는 뜻으로 괸돌, 탱석, 지석묘라고도 한다. 유럽, 지중해, 아프리카, 서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는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동북 지역과 일본 등 동북아시아가 세계 최대 분포 지역이다. 고인돌은 지역에 따라 되무듬, 도무듬, 떡바위, 거북바위, 칠성바위, 장수바위 등 여러 별칭으로 불린다. 제천 지역에서도 한수면 함암리송계리, 왕암동, 청풍면 진목리 고인돌들에 이런 별칭이 붙어 있어 오래 전부터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인돌이 자리하는 곳의 지세는 거의가 강이나 바닷가 옆의 평지, 구릉지대이며, 드물게는 산기슭이나 산마루에서도 찾아진다. 이렇게 고인돌이 자연 지세와 관련 있는 것은 당시 사회에 전통적으로 내려오던 자연 숭배 사상과 연관이 있다. 제천 지역 고인돌은 대부분 남한강 옆의 충적지에 분포하여 물과의 관련성을 시사한다. 반면에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에 있는 탁자식 고인돌의 경우 월악산 언저리에 위치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에 있다.

고인돌의 형식은 드러난 생김새에 따라 탁자식, 개석식, 바둑판식으로 크게 구분된다. 탁자식은 판판한 굄돌을 세워 네모꼴의 돌방을 만든 다음 그 위에 덮개돌을 올려놓은 것이고, 바둑판식은 땅 위 4~8개 받침돌이 덮개돌을 받치고 있다. 개석식은 땅 위에 커다란 덮개돌만 있는 것이다. 제천 지역에서는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청풍면 계산리 유적에서 탁자식이, 청풍면 진목리한수면 능강리 유적에서 바둑판식이 조사되었고, 나머지는 모두 개석식으로 전국적인 분포 양상과 비슷하다.

[출토 유물]

고인돌에서 출토되는 유물은 대부분 토기와 간석기이며, 드물게는 청동기와 꾸미개, 짐승 뼈 등이 있다. 제천 지역의 고인돌에서는 민무늬 토기와 붉은 간 토기, 구멍무늬 토기가 주로 출토되었는데, 함암리 고인돌에서는 늦은 시기의 타날문 토기가 발견되어 고인돌의 축조 연대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황석리 고인돌떼에서 출토된 붉은 간 토기 가운데는 과학적인 분석 결과 가지무늬 토기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화살촉과 간돌검, 바퀴날도끼, 반달돌칼 등이 출토되었다. 황석리 고인돌떼의 경우 곱은옥과 대롱옥 및 여러 짐승 뼈가 발견되어 묻힌 사람의 사회적인 지위와 당시 사회의 장례 습속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우리나라 고인돌 조사와 연구는 제천 지역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만큼 제천 지역의 고인돌이 가지고 있는 의미는 크다. 대부분의 고인돌이 남한강 언저리에 분포하고 있어 강줄기를 통한 청동기 시대 문화의 교류와 전파 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데, 특히 청풍면 황석리 유적의 경우 다양한 출토 유물과 특이한 무덤방 구조를 비롯해 여러 사람의 뼈가 발견됨으로써 한국인의 기원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진목리 고인돌함암리 고인돌의 경우 좁은 지역에 밀집 분포하면서 무덤방이 서로 연결되고 있어 가족 무덤일 가능성이 많아 이 시기의 사회 구조를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