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600382
한자 植物相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집필자 김찬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4년 - 제주도병완도식물조사보고서(濟州島竝莞島植物調査報告書)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 지역의 특정한 지역에 분포하는 식물의 모든 종류 또는 그 식물들의 상세 기록.

[개설]

식물상은 특정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식물의 모든 종류를 가리키는데, 흔히 그 지역에 생육하는 식물종의 구성을 정성적으로 나타낸다. 식생은 그 지역의 대표 식물로 특징을 표현하는 데 반해 식물상은 그 지역에 생육하는 모든 식물을 동정하여 목록으로 나타낸 것이다. 식물은 이 외에도 특정 지역에 분포하는 식물들에 대한 분류학적 명칭, 분류학적 특징, 분포 범위 등 상세한 기록, 즉 식물지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식물상은 그 지역의 식물 자원을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그 외에도 식물상은 특정 지역의 기후 특성을 나타낸다든지, 그 안에 포함되어 있는 식물구계 요소들을 통하여 식생사를 추정하는 데도 많은 정보를 제공해 준다.

제주도에는 한반도와 중국 및 일본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가장 남쪽에 위치한 큰 섬으로 제주도가 북한계가 되는 난대성 식물이 자라고 있다. 또한 해발 1,950m의 남한 최고봉인 한라산이 있어 난대·온대·한대성 식물이 자라고 있다. 제주도의 식물은 1905년 일본인 이치카와[市川]가 동물의 채집을 위해 제주에서 온 것을 시작으로, 1906년 당시 서귀포 서흥리 성당의 신부로 프랑스의 타케[嚴宅基] 신부가 수만 점의 식물 표본을 유럽의 대학이나 박물관에 기증하거나 매각함으로써 제주도의 식물이 세계적으로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 1913년에는 일본인 나카이[中井]가 직접 채집 조사한 표본들과 타케 신부의 표본 등의 속(屬)·종(種)을 결정[同定]하고, 1914년에 『제주도병완도식물조사보고서』를 조선총독부에 제출함으로써 최초의 식물상을 보고한 바 있다.

최근 『제주도지』에서는, 제주도의 자생 식물 및 귀화 식물이 115과 506속, 1,111속 4아종 387변종 88품종으로, 총 2,256분류군으로 보고 있다. 제주도에 자생하는, 환경부 지정 멸종 위기 및 보호 야생식물은 Ⅰ급인 경우 만년콩·암매[돌매화나무]·죽백란·풍란·한란 등 5종이며, Ⅱ급으로는 개가시나무·갯대추·홍란·무주나무·물부추·박달목서·백운란·삼백초·솔잎란·순채·으름난초·자주땅귀개·제주고사리삼·죽절초·지네발란·파초일엽·황근 등 17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귀포시 지역 식물 분포 현황]

서귀포시 지역은 난대·온대·한대 식물이 고루 자생하고 있다. 서귀포시 식물 목록을 살펴보면, 166과 733속, 1,505종, 258변종, 43품종, 3아변종 1,809종류로 작성되었으나 학자의 견해에 따라 조금 차이가 있다. 서귀포 지역 식물 생육지는 해안지대와 중산간지대, 한라산국립공원지대로 나뉘어 볼 수 있다.

1. 해안지대

해안지대는 해발 200m 이하로, 하논범섬·효돈천 하류 등의 지역으로 상록수림 또는 난대성 식물인 활엽수가 많이 자생하고 있다. 그 종류로는 곰솔나무·참식나무·좀굴거리나무·구실잣밤나무·후박나무·녹나무·까마귀쪽나무·돈나무·사철나무·순비기나무·우묵사스레피·다정큼나무·송악·모람·백량금·산호수·후피향나무·붓순나무·후추등·담팔수 등이 있다.

낙엽수로는 보리수 예덕나무·청미래덩굴·굴피나무·떡갈나무·해변노박덩굴·가시딸기·먹구슬나무 등이다. 양치식물로는 파초일엽·발풀고사리·풀고사리·돌잔고사리·봉의꼬리·도깨비고비·쇠고비·주름고사리·검정개관중 등이다.

초본(草本)으로는 번행초·왕모시풀·암대극·흰대극·갯능쟁이·가는갯능쟁이·나문제·해홍나물·수송나물·패랭이꽃·갯장구채·함박이·바위연꽃·땅채송화·갯완두·갯사상자·갯방풍·갯강활·갯기름나물·갯가치수영·갯질경·아욱메풀·모래지치·낚시돌풀·갯쑥부쟁이·해국·갯개미취·갯금불초·갯씀바귀·사데풀·갯잔디·왕잔디·갯강아지풀·통보리사초·밀사초·층층고랭이·방동사니아재비·향부자·홍도원추리·천문동·맥문아재비·범부채·자란·흑난초 등이 있다.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 위기 및 보호 야생식물로는 담팔수·고란초·나도풍란·솔잎난·홍노도라지·방울꽃·소엽풀·덩굴꽈리 등이 자생하고 있다.

2. 중산간지대

중산간지대는 해발 200~600m의 지역으로, 상록수로는 동백나무·곰솔·삼나무·측백나무·먼나무·모새나무·황칠나무·붉가시나무·왕모람·겨울딸기·무늬마삭줄 등이 자라고 있다. 낙엽수로는 상수리나무·졸참나무·때죽나무·예덕나무·자귀나무·누리장나무·말오줌때·고로쇠나무·정금나무·으름·멀굴·목련·멍석딸기·복분자딸기·윤노리나무·양치식물로는골고사리·가는쇠고사리·십자고사리·개면마·누운괴불이끼·실고사리·탐라사다리고사리등이 있다.

초본(草本)으로는 환삼덩굴·뱀딸기·개모시풀·딱지꽃·뱀무·개별꽃·병풀·바랭이·덩굴용담·참억새·천남성·두루미천남성·금난초·애기천마털사철란·사철란·섬사철란·붉은사철란·새우란·여름새우란·금새우란·약난초·감자난·금자난·보춘화·제주무엽란 등이 있다.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 위기 및 보호 야생식물로는 한란·고란초·대흥란·만년콩·죽절초·무주나무 등이 자생하고 있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및 특산식물은 백량금·한라개승마·콩짜개난·새우난초·사철난·여름새우난·소귀나무·무엽란·야고·솔비나무·제주양지꽃·조팝나무·제주조릿대·솔비나무·황칠나무 등이 자생하고 있다.

3. 한라산국립공원지대

한라산국립공원지대는 해발 600m 이상인 지역으로, 상록수로는 주목·시로미·구상나무·눈향나무·돌매화나무·붉은겨우살이 등이 있으며, 활엽수로는 개서어나무·꽝꽝나무·사스래나무·서어나무·까치박달·물참나무·생강나무·산개벚나무·들쭉나무·산벚나무·마가목·참빗살나무·함박꽃나무·채진목·좀갈매나무·뽕잎피나무·진달래·붉은병꽃나무·흰병꽃나무·댕댕이나무 등이다.

양치식물로는 층층고란초·암공작고사리·진저리고사리·물부추이며, 본초(本草)로는 개족도리·족도리·이른범꼬리·산꿩의다리·매발톱꽃·개구리갓·눈괴불주머니·섬쥐손이·제주조릿대·노루오줌·선괭이눈·둥근바위솔·바위채송화·흰땃딸기·큰괭이밥·가락지나물·뫼제비꽃·각시제비꽃·구름털제비꽃·노랑제비꽃·털기름나물·구상난풀·큰앵초·설앵초·용담·흰그늘용담·좀향유·구름송이풀·구름체꽃·둥근잔대·모시대·구름떡쑥·눈개쑥부쟁이·곰취·나래박쥐나물·산톱풀·한라구절초·구와쑥·구와가막사리·흰가시엉겅퀴·바늘엉겅퀴·버들분취·은분취·수리취·왕씀바귀·산씀바귀·한라사초·실꽃풀·한라돌창포·박새·말나리·애기원추리·한라부추·나도옥잠화·두루미꽃·애기나리·각시붓꽃·꽃창포·나도제비난·손바닥난초·산제비난·흰제비난·큰방울새란·방울새란 등이 있다.

환경부 지정 멸종 위기 및 보호 야생식물로는 솜다리·백운란·천마·으름난초·물부추 등이 자라고 있으며, 산림청 지정 희귀 및 특산 식물로는 시로미·개회향·눈향나무·제주무엽란·한라개승마·말나리·목련·백작약·산작약·애기솔나물·백리향·제주달구지풀·한라구절초·구름송이풀·설앵초·가시복분자·한라송이풀·좀민들레·구상나무·푸른구상나무·검은구상나무·붉은구상나무·제주조릿대·한라돌창포·제주산버들·한라장구채·섬매발톱나무·섬바위장대·제주황기·좀향유·구름체꽃·섬잔대·구름떡쑥·바늘엉겅퀴·솜다리·좀민들레등이 자생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