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김제시 황산면 봉월리에 있는 골프장. 아네스빌컨트리클럽은 2004년 10월 (주)벽원레저개발이 전라북도 김제시 황산면 봉월리에 개장한 9홀 규모의 골프장이다. 총면적은 29만 9,986㎡이다. 클럽하우스는 1,586.47㎡의 지상 2층 규모이고, 부대시설로는 20타석의 연습장[180m]이 설치되어 있다. 그린과 티가 양쪽으로 배치되어 있어 정규 홀 같은 9홀로, 2라운드시...
-
1990~1995년 조정래가 전라북도 김제시 김제평야를 배경으로 쓴 대하 역사소설. 작가 조정래는 1990년 12월 11일부터 『아리랑』을 『한국일보』에 연재하기 시작하여 1995년 8월 해방 50주년을 맞아 12권을 완간하였다. 1998년에는 『아리랑』 프랑스어판 제1부 3권이 4월 말에 아르마땅 출판사에서 출간되었고, 제1회 노신(魯迅)문학상을 수상하였다. 2000년에는 『아리...
-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 용성리에 있는 문학 박물관. 소설 『아리랑』은 조정래의 근현대사 3부작 중 도입부에 해당한다. 일제강점기 40여 년의 세월과 전라북도 김제를 시작으로 전 세계로 흩어진 이산(離散)의 과정 및 민족의 고난과 투쟁을 그리고 있다. 누적 판매 부수 330만 부를 기록한 소설 『아리랑』은 일제강점기를 다루고 있는 소설 중 일반 독자에게 가장 널리 읽히고 있는 대표적...
-
전라북도 김제시 순동에 있는 플라스틱 발포 성형 제품 제조업체. ITP는 물류비 절감, 생산성 향상, 질 우선의 경영 철학으로 기업의 이익을 극대화하고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0년 8월 23일 양경식이 자본금 2억 원으로 ITP를 설립하였다. 2001년 8월 자본금을 7억 원으로 증자했으며 12월에는 본사 사옥 및 공장을 준공하였다. 2002년 2월 일회...
-
전라북도 김제시에 있는 한 동의 건물 안에 독립된 여러 세대가 살 수 있게 만든 공동 주택. 아파트는 공동 주택 양식의 하나로 5층 이상의 건물을 층마다 여러 집으로 일정하게 구획하여 각각의 독립된 가구가 생활할 수 있도록 만든 주거 형태이며 건축 대지와 건축 공사비를 절약하고 협소한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4층 이하의 공동 주택은 연립 주택이...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전통 악기를 제작해 오고 있는 전라북도 지정 장인. 악기(樂器)는 음악을 연주하는 데 쓰이는 기구의 통칭이다. 전통음악에 상용되는 국악기는 삼국시대를 전후하여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져 전해 오는 고유한 악기와 서역 및 기타 지방에서 수입해온 외래 악기를 포함하여 약 60여 종이 전해 오고 있다. 우리나라는 삼국시대에 이미 중국계 및 서역계의 음악이 들어왔고, 특...
-
조선 후기 김제 출신의 문신. 안대규(安大規)[1642~1711]는 본관이 순흥(順興)으로 지금의 김제시 용지면 용암리 도리실마을에서 태어났다. 함경북도 명천부사로 재임하면서 백성을 편히 다스렸다. 숙종이 안대규를 아껴 내직으로 불러들였는데, 소문을 들은 백성들이 놓아 주지 않아 상경하지 못하였다. 기다리던 조정에서 관원을 파견하여 원인을 조사하였는데, 조사자는 관민이 일치하여 태...
-
입향조는 어떤 마을에 맨 처음 들어와 터를 잡은 사람 또는 그 조상을 일컫는 말이다. 마을을 창건한 역사가 오래된 경우 막연히 성씨만 구전되기도 하지만 실존한 인물로서 추적이 가능한 경우도 있으며, 때때로 후대인에 의해 마을을 창건한 신 또는 수호신으로 숭배되기도 한다. 촌락 사회, 특히 동성 촌락에서는 입향조를 정점으로 혈연 공동체를 형성하기도 하는데, 여러 동성 집단이 섞여 있...
-
조선 후기 김제 출신의 무신.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대훈(大勳). 아버지는 안경신(安敬信)이다. 안위(安衛)[1563~1644]는 지금의 김제시 백산면 하정리에서 태어났다. 1589년(선조 22) 정여립(鄭汝立)의 옥사에 무고되어 용천에 유배되었는데, 임진왜란으로 도성이 함락되자 배소를 이탈한 뒤 평양에 도착해 어느 병사의 막하에 배속되었다. 1592년 영유무과(永...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조종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무신 안위의 묘. 안위(安衛)[1563~1644]는 1592년(선조 25)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이듬해 거제현령이 되었다. 1594년 임진왜란 중에 이순신이 지휘한 제2차 당포해전 때 전부장(前部將)으로 공을 세웠다. 1597년에는 부산의 왜군 화약고에 불을 질러 폭파하였으며, 이후 전라우수사를 거쳐 전라도병마사 등 여러 관직을 역임...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하정리에 있는 개항기 효자 안정익의 정려. 안정익(安廷益)의 본관은 순흥(順興)이다. 충효의 가정에 태어나 어릴 때부터 총명하였으며, 효성이 남다르게 지극하였다. 불행하게도 어머니가 일찍 돌아가시고 아버지만을 봉양하게 되었다. 집안 살림이 넉넉하지 못함에도 지성으로 모셨으나 아버지가 병으로 몸져눕자, 간호하기 위하여 아버지의 대변을 맛보기도 하고 손가락을 잘...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 묘가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탐진(耽津). 자는 자행(子行), 호는 고은(皐隱). 찬성 안사종(安士宗)의 아들이고, 형은 안기(安起)이고, 동생은 안일(安逸)이다. 안지(安止)[1377~1464]는 조선시대인 1414년(태종 14)에 문과에 2등으로 합격하여 성균관박사(成均館博士)에 임명되었다가 중시(重試)에 합격하여 집현전부제학(集賢殿副提學)을 지냈...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예촌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안지의 묘. 안지(安止)[1387~1445]는 1414년(태종 14) 알성문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이조참판과 공조참판, 공조판서를 역임하고 문형(文衡)을 관장하였으며, 영중추부사를 지냈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예촌리 안지공 묘는 김제시 용지면 예촌리 한절미마을에 있다. 좌우로 문인석 2개가 세워져 있는데, 세월의 풍화 작용...
-
조선 전기 김제 출신의 의병. 금산의 웅치전투는 관군과 의병이 호남을 지키기 위해 혈투를 전개한 싸움이다. 왜군이 충청도 영동의 황간 순양을 거쳐 1592년 6월 22일(음) 제원 천내강의 저곡나루로 금산성을 공격하여 오자 금산군수 권종이 저곡산성을 의지하여 왜군과 전투를 벌였으나 전사하였다. 6월 23일 금산성이 함락되고 이곳을 근거지로 하여 6월 말 용담과 진안을 거쳐 전주로...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상정리에 있는 조선시대 순흥안씨 안충남(安忠男)의 묘역. 상정리 순흥안씨 묘역은 김제시 백산면 상정리의 해발 고도 30m 정도 되는 야트막한 야산에 자리하고 있다. 주변으로 전답과 마을이 조성되어 있는데, 묘역의 하단부 동남편으로는 상정리 유물산포지가 위치하고 있으며, 묘역의 서편으로는 남북으로 길게 옥정마을이 가로놓여 있다. 구릉의 사면에 9기의 무덤이 분...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하정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효자 안취선의 정려. 안취선(安就善)의 본관은 순흥(順興)이다. 조선 효종 때 출생하여 남다른 효성으로 부모를 극진히 봉양하였다. 부모가 병으로 몸져눕게 되자 하늘에 대신 죽기를 빌었으나, 부모가 끝내 세상을 떠나자 예절을 다하여 장례를 치르고 3년간 무덤 곁에 움막을 짓고 정성껏 돌보니 보통사람으로서는 따를 수 없는 효성으로서 많은...
-
전라북도 김제시 진봉면 심포리에 있는 자연마을. 지명이 목너머→갈너머→안하의 순서로 바뀌었다. ‘목너머’는 기러기의 목처럼 긴 안행산에서 길곶으로 넘어가는 고개 너머 마을이라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갈너머’는 7월 중순쯤 바닷물이 넘치면 마을이 떠내려가 다시 다른 곳으로 마을을 옮기곤 했던 당시 마을 뒷산의 이름이 갈매기산이었기 때문에 갈매기산 너머 마을이라고 부르던 것이 줄...
-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장산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안하저수지는 1945년 1월 1일 착공하여 그해 12월 31일 준공되었다. 안하저수지의 제당 형식은 휠댐이며, 제당 체적은 594㎥이다. 제방의 길이는 90m이고, 제방의 높이는 3m이다. 총저수량과 유효 저수량은 각각 7,000톤이다. 취수 형식은 사통형이다. 유역 면적은 5㏊이며, 홍수 면적은 1㏊이다. 만수 면적은 1...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닭을 기르기 위해 짚으로 엮어 만든 용품. 짚으로 씨망태 짜듯 둥글게 공처럼 만들고 가운데에 구멍을 내어 닭이 드나들 수 있도록 만든 것도 있는데, 이와 모양은 같지만 작은 형태를 ‘달걀망태’라고 한다. 둥우리는 병아리 따위를 가두어 기르거나 닭 따위를 가지고 다니며 팔 수 있게 만든 어리와 혼동되어 불리기도 한다. 지역에 따라 둥주리·둥지리·종두리·둥어리·...
-
전라북도 김제시에서 논두렁이나 산에서 소먹일 꼴 등을 베어오는 데 사용한 아동용 지게. 지게는 짐을 얹어 사람이 지고 다니게 만든 기구이다. ‘지게’라는 말이 처음 나타난 책은 1690년(숙종 16)에 나온 『역어유해(譯語類解)』이다. 청나라 말 교본이었던 까닭에 지게의 뜻을 풀어서 ‘배협자(背狹子)’로 적었으며, 1748년(영조 24)에 출간된 『동문유해(同文類解)』[만주말 자습...
-
1990년 전까지만 해도 도심에서 시골을 찾아 내려가면 방송이나 잡지에서 마치 기인이라도 나타난 듯 호들갑을 떨며 일거수일투족을 쫓아서 그려내기 바빴다. 하지만 어느새 귀농은 새로운 삶의 대안으로 인식되었고, 이러한 움직임은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동곡마을에도 번다한 도시 생활을 정리하고 한적한 삶을 찾아 유입한 이를 만날 수 있었다. 마을회관을 지나 마을 안쪽으로 1㎞가량...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하정리 학당마을에 있는 동성마을. 야성정씨(野城鄭氏)는 영덕정씨(盈德鄭氏)라고도 하며, 정가후(鄭可侯)를 시조로 한다. 야성이란 명칭은 757년(경덕왕 16) 영덕·영해 지역인 야시홀을 야성군(野城郡)으로 바꾼 데서 유래하였다. 시조 정가후는 연일정씨(延日鄭氏) 시조 정습명(鄭襲明)의 후손으로 고려 희종 때 대사도(大司徒)를 지냈다. 고려·몽골 연합군이 일본...
-
동곡약방 에서 구성산 쪽으로 시냇물을 따라 약 1㎞쯤 올라가면 원불교 원심원이 있다. 이곳은 원불교의 대산종사 김대거(金大擧)[1914~1998년, 본명은 영호(榮灝), 호는 대산(大山)]의 기도와 염원이 어려 있고, 그에 대한 추억이 가득한 곳이다. 원심원의 수도원에는 “圓心圓記 - 九聖山 於口 三神山之下에 擇地定宅하니 壽福 貴福慧 健康으로 無量壽...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오봉리 고깔봉 일대에 폐광으로 형성된 굴. 김제시 금구면과 금산면은 지명에서부터 쇠 ‘금(金)’자가 들어가며, 금구면 대화리 고깔봉 일대에는 금을 캐기 위해 1902년부터 채굴을 시작한 금구광산과 1913년부터 채굴을 시작한 선암광산 등이 있다. 이러한 광산들은 1945년 광복 직전 「금광정비법」에 의거 폐쇄된 뒤 방치되었다. 일제강점기 금구면에서는 많은 양...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오봉리 고깔봉 일대에 폐광으로 형성된 굴. 김제시 금구면과 금산면은 지명에서부터 쇠 ‘금(金)’자가 들어가며, 금구면 대화리 고깔봉 일대에는 금을 캐기 위해 1902년부터 채굴을 시작한 금구광산과 1913년부터 채굴을 시작한 선암광산 등이 있다. 이러한 광산들은 1945년 광복 직전 「금광정비법」에 의거 폐쇄된 뒤 방치되었다. 일제강점기 금구면에서는 많은 양...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오봉리에 있었던 금광. 오봉리는 금구면의 동쪽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오양리, 지봉리, 목련의 일부를 합하여 오양과 지봉의 이름을 따 오봉리가 되었다. 한편으론 양석, 오산, 지장, 봉림, 목련 등 다섯 개 마을이 있어 오봉리가 되었다고도 한다. 양석마을은 오산 서북쪽에 있는 마을로, 마을 입구에 선돌 두 개가 나란히 서 있어서 양석(兩石...
-
전라북도 김제시에 속하는 법정동. 원래 금구군 남면에 속하였다가 1914년 금구군 하서면과 남면을 통합하여 하리면이라 하고 김제군에 편입할 때 남면의 양정·만복, 하서면의 중리·수월을 병합하여 양전리가 되었다. 1935년 하리면과 초처면을 통합하여 봉남면을 설치함에 따라 봉남면 양전리가 되었고, 1990년 8월 1일 서정리·도장리와 함께 김제시 봉황동에 편입되었다. 1998년 봉황...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석교리 부창마을에 있는 구석기시대 분구묘 유적. 구석기시대의 문화층이 확인된 지점은 김제시 백산면 석교리 부창마을을 감싸고 흘러내린 구릉의 정상부와 경사면을 따라 형성된 지역이다. 양청리 유적에서는 총 8곳의 퇴적층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 두 곳의 퇴적층에서 유물이 출토되었다. 양청리 분구묘는 동-서로 이어지는 해발고도 23m의 낮은 구릉의 정상부에 위치한다....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곡물이나 그 가공물을 크기에 따라 선별하는 데 사용하는 도구. 얼개미는 얕은 원형, 사각형의 나무 테 바닥에 말털, 철사, 대나무, 등나무 등의 망 또는 삼이나 명주 등의 포백(布帛)을 팽팽하게 친 것으로서 망이나 포백 위에 곡물이나 모래 등을 얹어 흔들어서 거친 것과 미세한 것을 선별하는 것이다. 삼이나 명주로는 아주 작은 알갱이를 체질하고 대나무나 등나무...
-
전라북도 김제시 요촌동에 있는 어린이도서연구회의 김제지회. (사)어린이도서연구회는 1980년 5월 창립하여 ‘겨레의 희망, 어린이에게 좋은 책을’이라는 기치로 활동해 오고 있는 단체로 서울양서협동조합에 의하여 설립되었다. 모든 회원은 어린이 책을 읽고 바람직한 어린이 책 문화 환경을 가꾸는 활동을 하며, 회원들이 내는 회비로 운영하는 비영리 시민 단체이다. 서울양서협동조합은 책을...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예촌리에 있는 조선시대 어모장군 황공의 묘역. 예촌리 어모장군 황공 묘역은 김제시 용지면 예촌리 한절미마을 북쪽에 논을 사이에 두고 맞은편 구릉 사면에 있다. 이곳은 예촌리 우주황씨(紆州黃氏) 종중 묘역이 자리 잡은 곳으로, 묘역의 북쪽과 서쪽으로 송산리 유물산포지가 위치해 있다. 묘 앞 좌우에 높이 2m 정도의 문인석이 세워져 있다. 문인석은 관을 쓰고 홀...
-
조선 전기 전라북도 김제군수를 지낸 무신. 본관은 영덕(盈德). 자는 언결(彦潔)이다. 아버지는 정창국(鄭昌國)이다. 정담(鄭湛)은 1583년(선조 16)에 무과에 급제하여 니탕개(尼湯介)의 변에서 공을 세우고 여러 벼슬을 거쳐 1592년(선조 25)에 김제군수가 되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고바야카와[小早川隆景] 휘하의 일본군은 용담(龍潭)·진안(鎭安)을 공격하여 웅치(熊峙)[지...
-
전라북도 김제시에서 신문이나 방송 등의 매체를 통해 여론을 형성하는 활동. 일반적으로 언론은 담화·토론·연설·연극·방송·음악·영화 등 구두(口頭)를 통한 사상 발표를 말하며, 출판은 문서·서적·도화·사진·신문·잡지·조각 등 문자 및 상형(象形)에 의한 사상 발표를 의미한다. 그러나 두 용어 모두 개인이나 집단의 의견이나 사상을 외부에 발표하는 활동이라는 점에서는 동일한 의미를 가진...
-
김선을 시조로 하고, 김지를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김제시 세거성씨. 언양김씨(彦陽金氏)의 시조는 신라 경순왕의 일곱째 아들 김선(金鐥)이다. 김선이 언양군(彦陽君)에 봉해져 후손들이 언양(彦陽)을 본관으로 삼게 되었다. 언양은 본래 신라의 거지화현(居知火縣)인데, 고려 현종 때 언양으로 이름으로 바뀌어 조선시대에도 그대로 따랐다. 김선의 19세손인 김지(金輊)는 할아버지인 김관(...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삼봉리에 있는 언양김씨 동성마을. 언양김씨(彦陽金氏)는 대보공(大輔公) 김알지(金閼智)의 28세손으로 경순왕의 일곱째 아들인 김선(金鐥)을 시조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 오고 있다. 『언양김씨신유보(彦陽金氏辛酉譜)』와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 따르면 김선이 고려 때 언양군(彦陽君)에 봉군된 뒤로 후손들이 언양을 관향으로 삼았다. 언양김씨는 김선을 시...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곡물이나 그 가공물을 크기에 따라 선별하는 데 사용하는 도구. 얼개미는 얕은 원형, 사각형의 나무 테 바닥에 말털, 철사, 대나무, 등나무 등의 망 또는 삼이나 명주 등의 포백(布帛)을 팽팽하게 친 것으로서 망이나 포백 위에 곡물이나 모래 등을 얹어 흔들어서 거친 것과 미세한 것을 선별하는 것이다. 삼이나 명주로는 아주 작은 알갱이를 체질하고 대나무나 등나무...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과 전주시 중인동, 완주군 구이면에 걸쳐 있는 산. 호남의 조망대인 모악산(母岳山)은 백두대간 장수군 영취산에서 갈라져 나온 금남호남정맥이 진안군, 완주군 경계의 주화산에서 두 갈래로 나누어져 북으로 금남정맥을 보내고, 호남정맥이 남쪽으로 가다가 운암 초당골에서 나눈 모악기맥이 뿌리이다. 이 모악기맥이 15.8㎞를 달려서 엄재, 국사봉을 거쳐 모악산에 닿는다....
-
전라북도 김제시 공덕면 마현리에 있는 조사료 전문 영농조합. 영농조합은 경제적으로 열악한 처지에 있는 농민들이 상부상조의 정신으로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공동으로 물자의 생산·구매·판매·소비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협동으로 영위하는 단체이다. 에버그린영농조합법인은 영농 활동에 필요한 각종 편의 및 효율적인 영농 서비스의 제공을 통하여 조합원들의 경제·사회·문화적 지위를 향상시...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낙성리에 있는 골프장. 에스페란사골프장은 2006년 10월 23일 사업 승인을 받아 같은 해 11월 17일부터 2009년 4월 30일까지 공사를 진행하여 개장하였다. 10홀 규모의 대중 골프장으로, 클럽하우스, 관리동, 티하우스, 스타트 하우스를 갖추고 있다. 에스페란사골프장은 2009년 4월 30일부터 2011년까지 추가 조성 공사를 진행 중이다. 호남고속...
-
전라북도 김제시 순동에 있는 전자부품 제조업체. 엘리코는 고품위 Mn-Zn Ferrite 생산에 적합한 제조 라인을 구축하여 고객들의 요구에 부응하고 수출을 증대할 수 있는 제품을 생산함으로써 기업의 이익을 극대화하고 국민 경제 및 김제 지역 경제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0년 11월 11일 임영춘이 자본금 1억 5000만 원으로 엘리코를 설립하였다. 2001년 4월 페라...
-
인공위성이나 항공사진으로 화양마을이 위치한 광활면을 내려다보면 직사각형의 논들이 반듯하게 정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정렬된 논에는 계절에 따라 녹색의 벼가 차기도 하고, 하얀 비닐하우스가 가득 들어서기도 한다. 광활의 들판은 대개 쌀과 하우스 감자로 2모작을 주로 하지만, 사이 작물로 쑥갓이나 양상추를 재배하여 3모작을 하는 농가도 있다. 1980년대 이전에는 쌀과 보리...
-
1980년대 감자 농사의 성공으로 화양마을을 포함한 광활면으로 수많은 젊은 사람들이 이주하였다. 이들은 현지 주민들과 직간접적인 관계를 가진 사람이 대부분이어서 정착하는 데 큰 어려움은 없었다고 한다. 광활면에서 30년 가까이 살다 보니 지금은 나이가 50~60대로 면과 마을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으며, 주요 임직을 차지하고 있다. “여기는 본래 있던 토백이들은 별로 없어요. 그...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상정리에 있는 자연마을. 마을 주위에 여뀌[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잎이나 줄기에 털이 없으며, 매운맛으로 향신료나 약재로 쓰임]가 무성하고 마을 앞에 냇물을 건너는 다리가 있어 여뀌 ‘요(蓼)’, 다리 ‘교(橋)’자를 써서 요교(蓼橋)라고 부르던 것을 우리말로 풀어 ‘여꾸다리’가 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 지형은 물이 동쪽에서 서쪽,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
송유익을 시조로 하고, 송윤과 송복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김제시 세거성씨. 송씨(宋氏)의 원시조는 중국 춘추시대의 왕세손 3자인 송주은(宋柱恩)이다. 여산송씨(礪山宋氏)의 시조 송유익(宋惟翊)은 송주은의 11세손이라고 전하지만 확실한 기록은 없다. 시조의 4세손 송송례(宋松禮)가 상장군 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에 봉해지고 식읍 1,000호를 하사받았는데, 여량(礪良)은 여산(礪山...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삼봉리에 있는 조선시대 여산송씨 종중 묘역. 삼봉리 여산송씨 종중 묘역은 해발 고도 489m의 구성산(九城山) 서남편 하단부 끝 해발 고도 90m의 산자락에 위치하고 있다. 동남편으로는 구성산이 이어지고 있으며, 서편으로는 전답이 펼쳐져 있다. 전답 너머로는 상당한 규모의 반곡마을이 위치하고 있다. 서편으로 펼쳐진 전답 안에 삼봉리 유물산포지가 위치하고 있고...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낙성리에 있는 여산송씨 동성마을. 여산송씨(礪山宋氏) 시조 송유익(宋惟翊)은 고려 때 진사(進士)로서 공을 세워 여산군(礪山君)에 봉해지고, 은청광록대부(銀靑光錄大夫)로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에 추증되었다. 이로부터 여산을 관향으로 삼게 되었다. 송유익의 선계(先系)는 중국 경조(京兆) 출신으로 당나라 호부상서(戶部尙書)를 역임한 송주은(宋柱殷)의 후손 송자...
-
전라북도 김제시 용동에 있는 자연마을. 옛날 밀물과 썰물이 드나들던 포구였는데 바닷물이 빠지고 갯벌이 드러나면 포구의 모양이 여우의 생김새와 같아서 여시개라고 부르던 것이 변하여 여수해(麗水海)가 되었다는 설이 전한다. 또 마을 뒤를 감싸고 있는 산의 형국이 마치 여우와 같아서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입천(立川)·선내라고도 한다. 고려 예종 말에 나석(羅碩)이 터를 잡고 살기...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김제 출신의 충신이자 효자.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여신(汝信), 호는 퇴암(退庵). 오종손(吳從孫)의 현손으로, 동생은 오대익(吳大益)·오대진(吳大晋)이다. 조선 광해군 때 사옹원봉사로 있었다.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인조가 충청도 공주로 파천하자 두 동생과 함께 왕을 호종하였다. 벼슬에서 물러난 뒤 고향으로 돌아와 동생들과...
-
진총후를 시조로 하고, 진윤반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김제시 세거성씨. 여양진씨(驪陽陳氏)는 고려 예종[1106~1122] 때 상장군을 지낸 진총후(陳寵厚)를 시조로 한다. 여양[지금의 충청남도 홍성군 장곡면]을 식읍으로 하사받음으로써 후손들이 여양을 본관으로 삼았다. 여양진씨의 김제 입향조는 진윤반(陳胤潘)으로, 진윤반의 아버지 진우(陳宇)가 성균관장의로 있을 때 김안로(金安老...
-
전라북도 김제시 신풍동에 있는 여호와의증인 교단 소속의 교회. 여호와의증인은 천년 왕국 신앙, 성서적 엄격주의 등 미국 프로테스탄트 신앙의 독특한 흐름을 바탕으로 19세기 후반 미국에서 발생한 기독교 종파의 하나로, 공식 이름은 워치타워성서책자협회(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이다. 여호와의증인은 「이사야서」 43장 10절에 기록된 “너희가 바로...
-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전라북도 김제시의 변천 과정. 전라북도 중앙부의 서쪽에 위치한 김제시는 동쪽으로 노령산맥의 주능선을 경계로 완주군과, 남쪽으로는 동진강을 경계로 정읍시 및 부안군과, 북쪽으로는 만경강 및 그 하구를 경계로 익산시·군산시와 인접하며, 서쪽으로는 서해에 접하고 있다. 김제의 자연환경을 보면 동부에 노령산맥의 끝자락에 해당하는 높이 500~700m의 산지가...
-
전라북도 김제시 난봉동, 백학동, 황산면, 금구면 산동리에 걸쳐 있는 농경지. 봉산들 주변으로 두월천(斗月川)이 흐르고 있다. 봉산들은 두월천 주변의 하곡 충적평야로, 고잔들 또는 역전평야라고도 한다. 지방도 714호선은 동서 방향으로 봉산들을 지나며, 호남고속국도는 남북 방향으로 봉산들을 지나고 있다....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정초에서 정월 대보름까지 바람을 이용하여 연을 하늘에 띄우며 즐기는 놀이. 연날리기는 대나무 가지를 가늘게 자르고 그 위에 종이를 바른 연을 바람을 이용해 하늘에 날리는 민속놀이이다. 이를 ‘연띄우기’라고도 한다. 연날리기는 전세계적으로 보편화되어 있으나 한국에서는 놀이를 겸한 액막이 행사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연과 관련된 역사적 기록이 많이 발견되고...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정초에서 정월 대보름까지 바람을 이용하여 연을 하늘에 띄우며 즐기는 놀이. 연날리기는 대나무 가지를 가늘게 자르고 그 위에 종이를 바른 연을 바람을 이용해 하늘에 날리는 민속놀이이다. 이를 ‘연띄우기’라고도 한다. 연날리기는 전세계적으로 보편화되어 있으나 한국에서는 놀이를 겸한 액막이 행사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연과 관련된 역사적 기록이 많이 발견되고...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연잎을 잘라 쌀과 각종 곡식을 넣어 만든 음식. 중국에서는 오랜 옛날부터 연잎이 불로장수 음식으로 알려져서 잎, 꽃, 열매, 뿌리 모두가 약재나 요리에 사용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원래 민가보다는 사찰에서 스님들이 수행하면서 즐기던 음식이다. 사찰 음식답게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고 오장을 다스려 준다고 해서 요즘 들어 웰빙 음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연밥은 기...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음력 1월 1일에 행하는 세시풍속. ‘설날’은 새해의 첫날, 곧 정월 초하룻날이고, ‘설’은 새해의 첫머리이다. 이런 뜻에서 설날은 한자어로 ‘원일(元日)’, ‘원단(元旦)’, ‘세수(歲首)’, ‘연수(年首)’, ‘정조(正朝)’, ‘신일(愼日)’ 등이라고도 한다. 설날이 되면 새해에 맞이하는 첫날이라 하여 그 시작에 특별한 의미를 두어 평소와 다른 음식을 해...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구암리 평고마을에 있는 연일정씨 동성마을. 연일정씨(延日鄭氏)는 사로국 6부촌 가운데 취산진지촌(嘴山珍支村) 촌장 지백호(智伯虎)가 서기 32년(유리왕 9)에 유리왕으로부터 다른 5촌장들과 함께 성을 하사 받을 때 본피부로 개칭되면서 정씨(鄭氏) 성을 하사 받은 것이 시초이다. 우리나라의 정씨는 후대에 여러 갈래로 갈라지면서 본관은 달리하나 모두 지백호의 후...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연잎을 잘라 쌀과 각종 곡식을 넣어 만든 음식. 중국에서는 오랜 옛날부터 연잎이 불로장수 음식으로 알려져서 잎, 꽃, 열매, 뿌리 모두가 약재나 요리에 사용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원래 민가보다는 사찰에서 스님들이 수행하면서 즐기던 음식이다. 사찰 음식답게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고 오장을 다스려 준다고 해서 요즘 들어 웰빙 음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연밥은 기...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연잎을 잘라 쌀과 각종 곡식을 넣어 만든 음식. 중국에서는 오랜 옛날부터 연잎이 불로장수 음식으로 알려져서 잎, 꽃, 열매, 뿌리 모두가 약재나 요리에 사용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원래 민가보다는 사찰에서 스님들이 수행하면서 즐기던 음식이다. 사찰 음식답게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고 오장을 다스려 준다고 해서 요즘 들어 웰빙 음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연밥은 기...
-
전라북도 김제시에 속하는 법정동.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연지마을의 ‘연’자와 냉정마을의 ‘정’자를 따서 연정(蓮井)이라 하였다. 원래 김제군 대촌면에 속하였다가 1914년 월산면과 대촌면을 병합하여 월촌면이 됨에 따라 월촌면 연정리[대촌면의 신월·여초·월봉, 경제, 죽산면의 소산·진가, 반산면의 신흥, 월산면의 신원을 병합]가 되었다. 1989년 김제읍이 김제시로 승격하면서...
-
전라북도 김제시 죽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연봉리의 ‘연’자와 마포리의 ‘포’자를 따서 연포리(蓮浦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김제군 홍산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연봉리·유호리·마포리·하신리·상포리·마삼리 일부, 반산면 신월리 일부, 부량면 옥동리·신제리 일부, 고부군 백산면 대선리·소삼리·대삼리를 병합하여 연포리라 하고 김...
-
전라북도 김제시 죽산면 연포리에서 발원하여 동진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연포천이 발원하는 김제시 죽산면 연포리는 원래 홍산면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연봉리·유호리·마포리·상신리·하신리·상포리·마삼리의 일부와 반산면의 신월리 일부, 부량면의 옥동리와 신체리 일부, 고부군 백산면의 대선리·소삼리·대삼리를 합하여 연봉과 마포의 이름을 따 연포리로 고쳐서 죽산면에 편입되었다...
-
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 월현리에서 친환경농법으로 생산되는 쌀. 김제시 청하면 주민들은 자체적으로 월현우렁각시작목반을 결성·운영하여 친환경농법으로 고품질 쌀 생산에 성공을 거두고, 참여 농가들의 고소득을 창출하고 있다. 2006년 김제시 청하면 월현리 주민들이 월현우렁각시작목반을 구성하여 그해부터 연화미 생산을 시작하였다. 월현우렁각시작목반에서는 사업 초기 23농가가 참여한 가운데...
-
조선시대 김제 지역에서 남편에 대한 정절을 지켜 포상이나 칭송을 받은 여자. 조선 왕조에서 충·효·열은 유교 정치의 실현을 위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실천궁행(實踐躬行)이었다. 그 중 열은 시집온 여자들에게 해당하는 것으로, 한번 남편과 인연을 맺으면 일부종사해야 된다는 유교의 기본 이념을 강하게 표현하고 있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남편이 살아 있을 때는 병간호부터 집안 살림까지 모든...
-
신앙생활을 위해서 동곡마을로 들어온 사람들이 어떻게 생계를 이어 나갔을까를 알아보는 것도 중요하다.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이 마을은 얼핏 봐도 농사지로서는 적절치 않아 보인다. 그리고 동곡마을 주민들과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이곳은 기본적으로 농토가 부족한 마을이야.”라는 말을 곧잘 듣게 된다. 마땅히 농사지을 땅이 부족해서 그나마 벼농사보다는 밭농사가 조금 이루어질 뿐이고, 그...
-
화양마을이 자리한 광활면은 1920년대 후반 바닷물이 넘실거리는 갯벌을 막아 조성된 농토이다. 간척 사업으로 드넓은 농토는 형성되었지만 땅에는 염기[소금기]가 가득 배어 있어 바로 농사를 지을 수가 없었다. 조연식[1927년생] 할아버지는 어린 시절 부모님이 논의 염기 때문에 동동거리던 것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었다. “나락이 크들 못 혔어. 간기가 수북했은게...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 있는 산등성이 봉우리 사이의 낮은 부분. 고개는 산을 넘어가는 능선부로서 주요 교통로로 이용된다. 보통 고개라는 지명이 쓰이지만 이밖에 재·현(峴)·치(峙)·영(嶺) 등의 지명 접미사가 쓰이기도 한다. 고개는 그 지역 산지 중 가장 높은 곳을 통과하는 관문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김제 지역의 주요 고개로는 도장리고개, 불무재, 숙조고개, 여우고개, 토끼재, 무령...
-
전라북도 김제시 백구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독령리의 ‘영’자와 맥상리의 ‘상’자를 따서 영상리(嶺上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김제군 공동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독령리·맥상리·창산리·영천리·심모리·난산리 일부를 병합하여 영상리라 하고 김제군 백구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
전라북도 김제시 백구면 영상리에 있는 조선시대 분묘 유적. 영상리 유적은 금강2지구 김제1-1공구 내 유적 2차 발굴 조사의 일환으로 조사되었다. 유적으로는 조선시대 토광묘(土壙墓) 13기가 발굴되었으나, 건립 경위 또는 매장 경위는 구체적으로 밝혀진 것이 없다. 전라북도 김제시 백구면 영상리 영천마을 북서쪽 구릉의 정상부와 동쪽 기슭에 위치해 있다. 김제시 백구면 영상리 일대는...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자는 영중(瑩中), 호는 묵재(默齋), 초명은 종동(終同). 아버지는 선천군사(宣川郡事)를 지낸 김숙보(金叔甫)이고, 어머니는 서씨(徐氏), 처는 금이(今伊)이다. 1447년(세종 29) 사마시에 합격하고 1451년(문종 1) 증광문과에 정과로 급제, 승문원정자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아내가 장사꾼의 비단을 절취한 사건에 연루되어 황해도 경천...
-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김제 출신의 관료이자 서예가. 본관은 진주(晉州)이고, 자는 영찬(榮粲), 호는 오당(五堂)·초연재(超然齋)이다. 1886년 10월에 지금의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 성덕리에서 태어났다. 은열공 강민첨(姜民瞻)[963~1021]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강희순(姜禧淳)이다. 강동희(姜東曦)는 개항기 군주사(郡主事)에 임명되었고, 1910년(순종 4) 조선총독부 군서기...
-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만경리에 있던 일제강점기 사립 보통학교. 1905년 8월 25일 만경향교(萬頃鄕校) 청사에서 만경영창학교로 개교하였다. 1909년 4월 3일 칙령 제62호 「사립학교령」에 의하여 만경보통학교가 되었다. 1911년 6월 30일 만경공립보통학교로 인가받아, 같은 해 9월 11일 개교하였다. 만경공립보통학교는 1912년 3월 25일 제1회 졸업식을 통해 이기채(李...
-
전라북도 김제시 황산동 봉황산에 있는 암자. 전해오는 말에 따르면 약 200여 년 전에 봉황산 기슭에 까마귀 떼가 날아들어 부리로 바위를 쪼았는데 신기하게도 거기에서 약수가 솟아올랐다고 한다. 이 이야기가 전해지자 마을 사람들이 모여들기 시작했고, 특히 5월 단오와 8월 추석날에는 발 디딜 틈이 없을 정도로 붐볐다고 한다. 그러자 서상월(徐上月)이라는 불교 신자가 그 약수터 위에...
-
개항기와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완주 출신의 승려이자 불교 지도자. 박한영(朴漢永)의 본명은 정호(鼎鎬), 호는 석전(石顚)이며, 후일 당호(堂號)를 영호(映瑚)라 하였다. 한영(漢永)은 자(子)이다. 1870년 전라북도 완주에서 태어났지만 주로 전주, 김제 등에서 활동하였다. 박한영은 어머니가 위봉사(威鳳寺)에서 들고 온 생사법문(生死法門)에 감명을 받아 출가를 결심하였다. 19세에...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에 속하는 법정리. 부근에서 가장 먼저 형성된 마을이어서 오래된 마을이라는 뜻에서 옛멀로 부르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예촌(禮村)으로 바뀌었다. 옛날부터 예의를 숭상하고 예의를 잘 지키는 예의의 마을이라는 뜻에서 붙인 이름이라고도 한다. 조선 말기 김제군 개토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중평리·신평리·구평리·마교리 일부를 병...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다섯 가지 곡식으로 지은 정월 대보름 절식의 하나. 오곡밥은 장수를 기원하는 음식의 하나로 신라시대 까치에게 감사하며 정월 대보름 제사상에 올리던 약밥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진다. 약밥에 사용되는 잣, 밤, 대추 등의 귀한 재료를 구할 수 없었던 일반 평민들이 약밥 대신 쌀과 콩 등의 다섯 가지 곡식을 넣어 오곡밥을 지어 먹었다고 한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김제 출신의 서화가. 오기두(吳基斗)의 본관은 보성이고, 호는 창범이다. 석정(石亭) 이정직(李定稷)[1841~1910]의 문하생으로 각 서체에 능했으나 특히 안진경체(顔眞卿體)의 기미를 많이 띠고 있다. 『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 선필(仙筆) 조에 이름이 보인다. 현액을 탁본한 『세효각(世孝閣)』 서첩과 『영모재(永慕齋)』 서첩이 전하며, 시문을 모아 엮은...
-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김제 출신의 관료이자 서예가. 본관은 진주(晉州)이고, 자는 영찬(榮粲), 호는 오당(五堂)·초연재(超然齋)이다. 1886년 10월에 지금의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 성덕리에서 태어났다. 은열공 강민첨(姜民瞻)[963~1021]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강희순(姜禧淳)이다. 강동희(姜東曦)는 개항기 군주사(郡主事)에 임명되었고, 1910년(순종 4) 조선총독부 군서기...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김제 출신의 충신이자 효자.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여신(汝信), 호는 퇴암(退庵). 오종손(吳從孫)의 현손으로, 동생은 오대익(吳大益)·오대진(吳大晋)이다. 조선 광해군 때 사옹원봉사로 있었다.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인조가 충청도 공주로 파천하자 두 동생과 함께 왕을 호종하였다. 벼슬에서 물러난 뒤 고향으로 돌아와 동생들과...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멥쌀가루를 익반죽하여 소를 넣고 빚은 떡. 송편은 멥쌀가루를 익반죽한 다음 알맞은 크기로 떼어내서, 가운데에 여러 가지 소를 넣고 반달 모양으로 빚어 솔잎을 깔고 찐 떡이다. 소는 깨, 팥, 콩, 녹두, 밤 등이 사용된다. 송편이란 이름은 솔잎을 깔고 찌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은 옛날부터 송편을 먹으면 소나무처럼 건강해지고, 절개와 정조가...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에 있는 자연마을. 오리알터[일명 오리터]는 금평저수지(金坪貯水池) 일대를 말하는 것으로, 신라 말엽 중국의 풍수지리를 한반도에 소개했다고 알려진 도선대사가 장차 오리가 알을 낳는 곳이 되리라는 예언에 따라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실제로 1961년 이곳에 금평저수지가 축조되면서 겨울이면 철새인 물오리가 많이 날아들어 이름 그대로 오리가 알을 낳는 곳이...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에 있는 자연마을. 오리알터[일명 오리터]는 금평저수지(金坪貯水池) 일대를 말하는 것으로, 신라 말엽 중국의 풍수지리를 한반도에 소개했다고 알려진 도선대사가 장차 오리가 알을 낳는 곳이 되리라는 예언에 따라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실제로 1961년 이곳에 금평저수지가 축조되면서 겨울이면 철새인 물오리가 많이 날아들어 이름 그대로 오리가 알을 낳는 곳이...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오봉리 일대에 있는 광산. 모악산을 이루고 있는 엽리상 화강암에는 함금석영맥(含金石英脈)이 많아 금구면 선암리 등지에 석금(石金) 광산이 있었으나 지금은 채굴하지 않고 있다. 현재 채굴하고 있는 금광은 모두 사금광으로, 엽리상 화강암의 풍화물이 하천에 의해 이동·퇴적하면서 집적된 충적층 하부와 기반암 또는 플라이스토세 접촉부에 사금이 포함되어 있다. 모악산에...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오양리의 ‘오’자와 지봉리의 ‘봉’자를 따서 오봉리(五鳳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김제군 동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오양리·지봉리·목련리 일부를 병합하여 오봉리라 하고 김제군 금구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금구면 오봉리가 되었다...
-
조선 후기 문신이자 의병. 정묘호란은 1627년(인조 5) 후금(後金)이 조선을 침입하여 일어난 전쟁을 말한다. 인조반정으로 집권한 서인의 친명배금(親明排金) 정책과 후금 태종의 조선에 대한 주전정책(主戰政策)이 충돌하면서 발생하였다. 인조 즉위 후 집권 세력인 서인은 광해군 때의 대외 정책을 정면으로 부정하고 후금과의 관계를 끊는 한편, 친명배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에 후금은...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청운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배택수를 모신 영당. 배택수의 본관은 달성(達成)이고, 자는 인술(仁述), 호는 송권(松卷)이다. 아버지는 배석범이며 1899년(고종 36)에 태어났다. 아버지의 뜻을 받들어 주경야독하며 재산을 모은 뒤 숙사를 짓고 좋은 스승을 초빙하여 후진 양성에 힘썼다. 향리 사람들이 그 공을 기리기 위해 영당을 지어 모시고 있다. 오산영당(鰲山...
-
조선 후기 김제 출신의 문신이자 의병. 본관은 보성(寶城). 자는 우도(友道), 호는 돈암(遯庵). 판서(判書) 오점(吳漸)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병절교위(秉節校尉) 오사언(吳士彦)이다. 손자로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킨 오천구(吳天久)가 있다. 오선겸(吳善謙)은 참봉(參奉)을 지냈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종숙(從叔)인 참봉 오사영(吳士英), 교관(敎官) 오수...
-
전라북도 김제시 양전동에 있는 효자 오세탁과 효부 진주강씨의 정려. 오세탁(吳世鐸)의 본관은 함양(咸陽)이고, 자는 군흥(君興)이며, 영조시대 임진년에 태어났다. 오세탁은 천성이 지극히 효성스러워 어려서부터 어른이 되기까지 부모 곁을 떠나지 않고 모든 말씀을 정성으로 따르며 섬겼다. 그러나 집안이 몹시 가난하여 낮에는 나무를 하고 물고기를 잡아 어려운 살림을 꾸려 나가고, 밤에는...
-
전라북도 김제시 광활면 옥포리에서 친환경농법으로 생산되는 쌀. 우리나라의 갯벌 대부분은 하구 갯벌이다. 여러 가지 영양분이 강을 타고 갯벌에 쌓이며, 이 영양이 가득한 갯벌에 땅을 만들어서 벼를 심어 키운 간척지 쌀이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그중 대표적인 김제 오씨피오 쌀은 물 좋고 공해 없는 서해안 청정 간척지에서 친환경농법으로 생산되는 쌀이다. 질 좋은 벼를 엄선하여 최신 설...
-
전라북도 김제시 광활면 옥포리에서 친환경농법으로 생산되는 쌀. 우리나라의 갯벌 대부분은 하구 갯벌이다. 여러 가지 영양분이 강을 타고 갯벌에 쌓이며, 이 영양이 가득한 갯벌에 땅을 만들어서 벼를 심어 키운 간척지 쌀이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그중 대표적인 김제 오씨피오 쌀은 물 좋고 공해 없는 서해안 청정 간척지에서 친환경농법으로 생산되는 쌀이다. 질 좋은 벼를 엄선하여 최신 설...
-
전라북도 김제시 복죽동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오영순 가옥은 전라북도 김제시 복죽동 죽절마을에 있는 초가집으로 왕개산 아래에 동남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19세기 중엽에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건립 당시에는 3칸 정도였으나 20세기 초에 와서 정지[부엌] 아래쪽을 증축·개축한 것으로 보인다. 오영순 가옥은 정면 7칸, 측면 2칸의 규모로 전체적인 구조는 안채·헛간채·문간채로...
-
전라북도 김제시 백구면 월봉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도정공장. 오오쓰미[大隅] 도정공장 또는 부용 도정공장이라고 부르는 월봉 도정공장은 일본이 민중을 착취하고 수탈할 때 지어진 건물이다. 일제시대 김제 만경평야는 쌀과 돈이 넘쳐흘러 조선 식민지 침탈에 나선 일본 제국주의자들에게 새로운 도시를 계획하기에 매력적인 곳이었다. 그래서 일제는 김제 지역에 기반 시설을 확충하고 근처에 항구를...
-
전라북도 김제시에 속하는 법정동. 마을 앞산의 모습이 까마귀를 닮아서 오정(烏井)이라 하였는데, 까마귀를 싫어하는 풍습 때문에 한자를 오정(梧井)으로 바꾸었다. 원래 금구군 하서면에 속하였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김제군 쌍감면 오정리[금구군 하서면의 신정·우산·성리, 일북면의 봉강·덕조 일부를 병합]가 되었다. 1935년 쌍감면을 황산면으로 개칭함에 따라 황산면 오정리...
-
조선 후기 김제 출신의 의병. 병자호란은 1636년(인조 14) 12월부터 이듬해 1월에 청나라가 조선을 두 번째 침입한 전쟁이다. 청나라 군대가 평양을 공격하여 오자 12월 14일 인조는 먼저 원임대신 윤방(尹昉)과 김상용(金尙容)에게 명하여 종묘사직의 신주를 받들고 세자빈 강씨, 원손(元孫), 둘째 아들 봉림대군, 셋째 아들 인평대군을 인도하여 강화도로 병화를 피하도록 하였다....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지형이 옥녀가 베를 짜는 형국이라 하여 옥녀리 또는 선동리(仙洞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금구군 수류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무평리 일부를 병합하여 선동리라 하고 김제군 수류면에 편입하였다. 1935년 수류면이 금산면으로 개칭됨에 따라 김제군 금산면 선동리가 되었고,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
-
전라북도 김제시 옥산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소속 교회. 1910년 7월 10일 이율선 선교사, 주은선 조사, 김여일 등을 중심으로 김제읍 김여일의 사가에서 예배 처소를 마련하고 예배를 본 것이 김제제일교회 전신인 옥산교회의 첫 출발이 되었다. 당시 옥산교회는 위치상으로 향교가 200m 내외요, 동헌이 100m 이내에 있는 옥거리 한복판에 세워졌다. 1920년 군산 구암...
-
전라북도 김제시에 속하는 법정동.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중심 마을인 옥리와 구산에서 각각 ‘옥’자와 ‘산’자를 따서 옥산(玉山)이라 하였다. 원래 김제군 읍내면에 속하였다가 1914년 읍내면의 구산·옥리·대리·도당, 월산면의 동두·입석을 병합하여 옥산리라 하고 김제면에 편입되었다. 1931년 김제읍 옥산리가 되었고, 1989년 김제읍이 김제시로 승격함에 따라 김제시 교동 관...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말기 금구군 이북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서도면 용정리 일부를 병합하여 옥성리라 하고 김제군 쌍감면에 편입하였다. 1935년 행정구역 조정으로 옥성리를 김제군 금구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금구면 옥성리가 되었다. 북으로 두월천(斗月川)이 흐르는 충적...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말기 금구군 이북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서도면 용정리 일부를 병합하여 옥성리라 하고 김제군 쌍감면에 편입하였다. 1935년 행정구역 조정으로 옥성리를 김제군 금구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금구면 옥성리가 되었다. 북으로 두월천(斗月川)이 흐르는 충적...
-
전라북도 김제시 죽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대옥산리의 ‘옥’자와 신성리의 ‘성’자를 따서 옥성리(玉盛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김제군 반산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성리·대옥산리·소옥산리·내재리·제내리·신흥리 일부, 대촌면 신학리·산리·경제리 일부, 월산면 후장화리 일부, 홍산면 신동리·명마리를 병합하여 옥성리라 하고 김제군 죽산면에 편입하였...
-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옥동리의 ‘옥’자와 신정리의 ‘정’자를 따서 옥정리(玉亭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김제군 부량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옥동리·신정리·사정리·대장리·전포리 각 일부, 홍산면 상포리 일부, 태인군 용산면 고잔리·군포리 각 일부, 고부군 백산면 주소리 일부를 병합하여 옥정리라 하고 김제...
-
전라북도 김제시 광활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말기 만경군 하이도면에 속했던 갯벌 지역으로, 간척하여 진봉면 고사리에 편입하였다. 1949년 진봉면에서 광활면을 분할하고 옥포리라 명명하여 김제군 광활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광활면 옥포리가 되었다. 옥포리가 속한 광활면은 1924년 동진농조주식회사가 광활방조제를 만들어 조성한...
-
과거 내촌은 120여 호에 이르는 커다란 마을이었다. 해주오씨와 함양박씨의 집성촌이었다고도 전해 오지만, 현재 박씨와 오씨 성을 가진 가구는 10가구 정도에 불과하다. 지금 마을에서 제일 많이 살고 있는 성씨는 동래정씨다. 동래정씨가 마을에 들어온 것은 300~400년 전이다. 당시 마을에는 함양박씨가 집성촌을 이루며 살고 있었는데, 마을 내 대부분의 토지도 소유하고 있...
-
고려 후기 전라북도 김제 지역으로 귀향 온 금구온씨의 시조. 본관은 금구(金溝). 호는 수신재(守愼齋)이다. 아버지는 고려 충목왕 때 회양부사(淮陽府使)를 지낸 온수(溫粹)이고, 형은 온선(溫善)이다. 온신(溫信)은 1366년(공민왕 15) 12월에 당시 권신이었던 신돈(辛旽)의 전횡을 논죄하기 위해 이존오(李存吾)·정추(鄭樞)와 함께 신돈을 탄핵하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서 거야현(...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부거리에 있는 전통 옹기 제조업체. 옹기는 ‘질그릇’과 ‘오지그릇’을 가리키는 말로 우리 민족 고유의 생활 그릇이다. 예로부터 된장, 간장, 김치, 젓갈과 같은 발효 음식을 저장하는 용기로 많이 사용되었으며 숨 쉬는 그릇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옹기의 기본 재료가 되는 태토(胎土)는 자기들보다는 수비(水飛)를 덜 한다. 따라서 작은 모래 알갱이나 돌덩이도 남...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상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옹저수지는 1945년 1월 1일 착공하여 그해 12월 31일 준공되었다. 옹저수지의 제당 형식은 휠댐이며, 제당 체적은 2,015㎥이다. 제방의 길이는 130m이고, 제방의 높이는 8m이다. 총저수량은 44,000톤이며, 유효 저수량은 44,000톤이다. 취수 형식은 사통형이다. 유역 면적은 55㏊이며, 홍수 면적은 1.4㏊...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뒷산이 마치 누워 있는 용이 망망대해를 바라보는 것과 같은 와룡망해(臥龍望海) 형국이어서 와룡리(臥龍里)라 하였다. 한편, 용 두 마리가 싸움을 벌이다 한 마리가 지쳐 쓰러져 죽어서 산을 이루었는데, 이곳에 살던 사람들이 그 넋을 위로하기 위해 마을 이름을 와룡이라 하였다고도 한다. 조선 말기 김제군 모촌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와룡리에 있는 호남선의 철도역.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화룡리와 수하리 일부를 합하여 이곳에 있는 와룡산의 이름을 따 와룡리라 한 데서 역명도 지역 명칭에 따라 ‘와룡역’이 되었다. 와룡역은 부용역과 마찬가지로 익산역과 김제역의 중간에 위치한 정차 역으로, 1955년 7월 1일 역사가 건립되어 영업을 개시하였다. 1985년 11월 16일 새로운 역...
-
1981~1982년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저수지를 배경으로 윤흥길이 쓴 장편소설. 윤흥길은 1980년대에 『완장』을 통해 권력의 생태에 대한 비판의식을 풍자와 해학의 기법으로 표현하고 있다. 중세의 탈춤과 판소리 사설시조, 타령 그리고 소설 등이 간직했던 강한 사회성과 리얼리티를 요구하게 된 현대의 풍자소설에서 진실에 입각한 허위의 고발자 구실을 담당하게 된 것이다. 완장은 김유정,...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집터를 지켜 준다고 믿는 가신(家神). 터주는 집의 울타리 안을 주로 관장하는 지킴이이다. 지역에 따라 ‘터줏대감’, ‘토주(土主)대신’, ‘왕신단지’ 등으로도 불린다. 집의 뒤꼍이나 장독대 가까이에 터주를 모시는 터주가리를 만들어둔다. 전라북도 지방에서는 안방의 윗목 시렁 위에 조상단지를 모시고 있는데, 상달에 단지의 곡식을 갈아 담아서 조상숭배의 상징으로...
-
전라북도 김제시 죽산면 홍산리에 있는 자연마을. 홍산리에 속한 내촌[당시에는 내리] 바깥쪽에 있는 마을이므로 외리(外里)라 하였다. 약 300년 전 장씨와 임씨 등이 처음으로 터를 잡고 살기 시작하면서 형성된 마을이다. 임씨들이 주축이 되어 저수지를 쌓으면서 번성하기 시작하였다고 하는데, 저수지의 흔적은 찾아보기 어렵다. 외리는 홍산[24m]에서 서쪽으로 뻗어 내린 낮은 구릉지에...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김제 출신의 효자.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대천(大遷), 호는 외암(畏庵). 아버지는 정천배(鄭天培)이고, 큰아버지 정천기(鄭天基)의 양자가 되었다. 어머니는 나주나씨(羅州羅氏)이다. 동생은 정윤준(鄭允俊)·정윤검(鄭允儉)이다. 정윤교(鄭允喬)[1733~1821]는 18세 되던 해에 윤씨 성을 가진 여인이 친아버지인 정천배에게 강간을 당했다고 무고하여 친아버...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상정리에 있는 자연마을. 마을 주위에 여뀌[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잎이나 줄기에 털이 없으며, 매운맛으로 향신료나 약재로 쓰임]가 무성하고 마을 앞에 냇물을 건너는 다리가 있어 여뀌 ‘요(蓼)’, 다리 ‘교(橋)’자를 써서 요교(蓼橋)라고 부르던 것을 우리말로 풀어 ‘여꾸다리’가 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 지형은 물이 동쪽에서 서쪽,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
고려 전기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활동한 유가종(瑜伽宗) 승려. 본관은 경원(慶源). 아버지는 문하시중 이자연(李子淵)이고, 어머니는 경주김씨이다. 혜덕왕사(慧德王師)[1038~1096]는 1048년(문종 2)에 출가하여 지광국사(智光國師) 해린(海麟)의 제자가 되었고, 이듬해 복흥사(復興寺)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1061년(문종 15)에 승과에 합격하여 대덕(大德)의 법...
-
고려 전기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활동한 유가종(瑜伽宗) 승려. 본관은 경원(慶源). 아버지는 문하시중 이자연(李子淵)이고, 어머니는 경주김씨이다. 혜덕왕사(慧德王師)[1038~1096]는 1048년(문종 2)에 출가하여 지광국사(智光國師) 해린(海麟)의 제자가 되었고, 이듬해 복흥사(復興寺)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1061년(문종 15)에 승과에 합격하여 대덕(大德)의 법...
-
전라북도 김제시 하동·흥사동·서암동·요촌동·신곡동을 관할하는 행정동이자 법정동. 요촌동(堯村洞)은 요순시대와 같이 평화로운 마을이라는 뜻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원래 김제군 읍내면[신리, 대리, 구산리, 성황리, 초암리, 서변리, 중앙리, 옥리, 도당리, 외리, 구수리]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읍내면의 성황리·외리·도당리, 입천면의 내리를 병합하여 요촌리라...
-
전라북도 김제시 요촌동에 있는 천주교 전주교구 소속 천주교회. 김제시 요촌 지역 일대에 신앙 공동체가 형성된 때는 확실치 않으나, 1920년 구장리 공소의 회장 김정엽이 검산리 공소를 설립하면서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요촌본당의 전신인 검산리 공소는 이후 신자 수가 늘어나자 수류성당의 뤼카 신부가 마련한 부지에 새로 성당을 건립하게 되었다. 1935년 6월 16일 수류성당에서...
-
개항기 전라북도 김제 출신의 동학농민운동가. 김덕명(金德明)의 본관은 언양(彦陽)이고, 초명은 준상(峻相), 호는 용계(龍溪)이다. 동학교문에서는 김필상(金弼相)이란 이름으로도 불렸다. 아버지는 김한기(金漢驥)이고 어머니는 파평윤씨이며, 동생은 김인상(金寅相)이다. 장남은 김홍구(金洪九)이며 손자는 김병욱(金炳旭)이다. 묘소는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원평리에 있다. 김덕명은 금구대...
-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 신용리에 있는 자연마을. 용추의 ‘용’자와 벽골제(碧骨堤)의 ‘골’자를 따서 용골(龍骨)이라 하였다. 벽골제 둑을 따라 길게 늘어선 마을의 모습이 마치 용과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백제시대에 조성한 벽골제 둑이 오랫동안 방치되어 파괴되면서 둑 밑에 마을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둑이 다시 축조되고 무너지길 반복하면서 시대에 따라 많은 마을들이...
-
전라북도 김제 지역의 농촌에서 마을을 대표하고 상징하는 깃발. 농기(農旗)는 농악대들이 들고 다니는 큰 기로 용기(龍旗), 용둣기, 용당기, 대기, 덕석기, 두레기, 서낭기 등으로도 불린다. 동제를 지내거나 두레 때 마을의 상징으로 농기를 세워 두며, 이웃 마을과 화합 또는 싸울 때에도 농기를 내세운다. 그리고 농기는 기능으로 보아서 동제에서 신간(神竿)이나 신기(神旗)와 같은 기...
-
전라북도 김제 지역의 농촌에서 마을을 대표하고 상징하는 깃발. 농기(農旗)는 농악대들이 들고 다니는 큰 기로 용기(龍旗), 용둣기, 용당기, 대기, 덕석기, 두레기, 서낭기 등으로도 불린다. 동제를 지내거나 두레 때 마을의 상징으로 농기를 세워 두며, 이웃 마을과 화합 또는 싸울 때에도 농기를 내세운다. 그리고 농기는 기능으로 보아서 동제에서 신간(神竿)이나 신기(神旗)와 같은 기...
-
전라북도 김제시에 속하는 법정동. 중심 마을인 용호마을의 ‘용’자와 예동마을의 ‘동’자를 따서 용동(龍洞)이라 하였다. 원래 김제군 입천면[용진, 내호, 외호, 소검, 대덕, 진관, 사진, 용호, 대검, 대리, 용곳, 선정, 포내, 순동, 예동, 내리]에 속하였다가 1914년 외호, 예동, 용호, 사진, 내호를 병합하여 용동이라 하고 김제면에 편입하였다. 1931년 김제읍 용동리가...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장신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풍부한 정서와 긍정적 자아 개념을 실현하는 자존감 있는 도덕인,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지력이 풍부한 창조인, 미래 사회를 대비하며 자기 관리 능력을 갖춘 자주인, 보건 의식이 투철하고 강인한 체력을 갖춘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미래 사회를 선도할 창의적이고 진취적인 어린이’이다. 1950년 4월 20...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낮은 곳의 물을 높은 곳의 논이나 밭으로 퍼 올리는 데 쓰는 농기구. 두레와 구조가 다른 용두레는 통나무를 배 모양으로 길쭉하게 파서 몸통을 만들고, 그 가운데 양쪽에 작은 구멍을 뚫어 가는 나무를 끼우고 여기에 끈을 매었다. 이 끈은 세 개의 긴 작대기를 원추형으로 모아 세운 꼭대기에 매어 적당히 들어 올리도록 한다. 세 개의 기둥을 묶어세우고, 배 모양으...
-
전라북도 김제 지역의 농촌에서 마을을 대표하고 상징하는 깃발. 농기(農旗)는 농악대들이 들고 다니는 큰 기로 용기(龍旗), 용둣기, 용당기, 대기, 덕석기, 두레기, 서낭기 등으로도 불린다. 동제를 지내거나 두레 때 마을의 상징으로 농기를 세워 두며, 이웃 마을과 화합 또는 싸울 때에도 농기를 내세운다. 그리고 농기는 기능으로 보아서 동제에서 신간(神竿)이나 신기(神旗)와 같은 기...
-
전라북도 김제시 황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용은리의 ‘용’자와 금마리의 ‘마’자를 따서 용마리(龍馬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금구군 이북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용은리·금마리·두월리·옥성리 각 일부, 일북면 대흥리 일부, 서도면 상리 일부를 병합하여 용마리라 하고 김제군 쌍감면에 편입하였다. 1935년 쌍감면이 황산면으로...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말기 금구군 서도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선약리·대복리·용정리·하하리 일부, 남면 송내리를 병합하여 용복리라 하고 김제군 금구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금구면 용복리가 되었다. 2009년 11월 30일 현재 총 100가구에 212명[남자 96명, 여자 116명]의 주민이 살...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봉의리에 있는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 사찰. 용봉사(龍鳳寺)는 1927년 김응삼(金應三)과 박대창(朴大昌)이 창건한 개인 사찰이다. 그 후 1958년에 승려 김기춘과 최보현화 보살이 미타전(彌陀殿)을 기와로 중수하고 약 49.59㎡의 대웅전을 목조 팔작지붕으로 지었다. 또한 산신각과 요사를 개축하고 종각을 건립하여 범종을 달았다. 대웅전 안에 모셔진 삼존불에...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용반리의 ‘용’자와 유산리의 ‘산’자를 따서 용산리(龍山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금구군 남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용반리·유산리·등룡리 각 일부, 서도면 용정리 일부를 병합하여 용산리라 하고 김제군 하리면에 편입하였다. 1935년 용산리를 금산면에 편입함에 따라 김제군 금산면 용...
-
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 관상리에서 발원하여 만경읍 화포리를 지나 만경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용산천이 발원하는 김제시 청하면 관상리(官上里)는 벼슬한 사람들이 많이 살아서 관촌으로 부르다가 관동마을 위쪽이라서 관상이라 했다. 관신(官新)은 벼슬한 사람들이 새로 들어와 형성된 마을이란 뜻이다. 관동(官洞)은 관율로 불렀으나 조선 말기 조씨 가문의 벼슬한 사람들이 많이 살면서 이런 이름...
-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에 속하는 법정리. 수백 년 전에 있던 용초라는 큰 못에서 용이 나왔다 하여 용성리(龍成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김제군 부량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포교리·방하리·신용리 각 일부, 홍산면 유흥리 일부를 병합하여 용성리라 하고 김제군 부량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부량면 용성리...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용암리에 있는 양계 영농조합. 영농조합은 경제적으로 열악한 처지에 있는 농민들이 상부상조의 정신으로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공동으로 물자의 생산·구매·판매·소비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협동으로 영위하는 단체이다. 용성양계는 영농 활동에 필요한 각종 편의 및 효율적인 영농 서비스를 제공하여 조합원들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위해 설립되었다. 1...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용화리의 ‘용’자와 천수리의 ‘수’자를 따서 용수리(龍水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김제군 금굴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마교리·천수리·송삼리·용화리 일부를 병합하여 용수리라 하고 김제군 용지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용지면 용수리...
-
전라북도 김제시 봉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용지리의 ‘용’자와 신복리의 ‘신’자를 따서 용신리(龍新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금구군 초처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용지리·용문리·신복리·장성리 일부를 병합하여 용신리라 하여 김제군 초처면에 편입하였다. 1935년 초처면이 봉남면으로 개칭됨에 따라 김제군 봉남면 용신리가 되었다....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용지리의 ‘용’자와 월암리의 ‘암’자를 따서 용암리(龍岩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김제군 모촌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와리·월암리·용지리 일부를 병합하여 용암리라 하고 김제군 용지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용지면 용암리가 되었다...
-
전라북도 김제시 교동에 있는 조선 전기 서원. 용암서원(龍巖書院)은 조간(趙簡)을 주벽으로 하여 이계맹(李繼孟)[1458~1523]·나안세(羅安世)[1475~1527]·윤추(尹推)[1632~1707]·이세필(李世弼)[1642~1718]·나응삼(羅應參)[1505~1568]·조윤침(趙潤琛) 등을 배향하고 있는 서원이다. 조간의 호는 열헌(悅軒), 본관은 김제(金堤)이다. 1279년(충...
-
전라북도 김제시 흥사동 승반산과 용지면에서 발원하여 청하면 동지산리에서 만경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부용천이 발원하는 김제시 흥사동은 흥복사(興福寺)가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승반산과 승가산이 병풍처럼 둘러쳐져 있다. 승반산 서북쪽으로 1㎞ 지점에는 두악산이 있다. 부용천이 만경강에 합류되는 김제시 청하면 동지산리는 내륙 지역 동쪽에 있어 앞산의 이름대로 동지산이라 불렀다. 동지산리는...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용암리에서 발원하여 공덕면 동계리에서 만경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용암천이 발원하는 용지면 용암리는 본래 김제군 모촌면 지역인데 1914년 일제강점기에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와리·월암리·용지리 일부를 합하여 용지와 월암의 이름을 따서 용암리(龍岩里)로 고쳐 용지면에 편입되었다. 용암리에는 조선 선조 때부터 학문이 뛰어나고 효성이 지극하며 윤리와 도덕을 바탕으...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에서 생산되는 고구마.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은 지표면의 10%가 황토로 덮여 있는 황토의 고장이다. 황토 1스푼에는 약 2억 마리의 미생물이 살고 있으며, 다양한 효소들이 순환 작용을 일으켜 황토에서 자라나는 농산물에 좋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와 함께 용지면은 우수 농산물의 필수 조건인 물 빠짐이 용이한 5~10%의 경사진 땅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구마는...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에 있는 농경지. 용지들은 해발고도 50m 미만의 구릉과 만경강(萬頃江)의 지류인 부용천(芙容川) 주변의 충적평야로 이루어져 있다. 곳곳에 죽제, 관제, 마교제, 반자제 등의 크고 작은 저수지가 축조되어 있다. 용지들의 주요 들녘으로는 구암리에 된샘이들·사급들·안터들, 봉의리에 방애다리들, 부교리에 갯들·쌍시암들, 예촌리에 박새원들·일곱마지기들, 와룡리에 고은...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의 지형이 보는 사람에 따라 용과 뱀이 꿈틀거리는 용사(龍蛇)와 같고 곰산방죽으로 불리는 웅지(熊池)가 있으므로, ‘용’자와 ‘지’자를 따서 용지리(龍池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금구군 동도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광현·용산·우산·반용 등을 병합하여 용지리라 하고 김제군 금구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
전라북도 김제시에 있는 행정구역.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여러 마을들의 이름에 ‘용(龍)’자가 많을 뿐만 아니라 연못[池]이 많으므로 용지면(龍池面)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김제군 개토면(介吐面) 지역으로 명당(明堂)·신평(新坪)·중평(中坪)·구평(舊坪)·송정(松亭)·죽순(竹筍)·영동(永洞)·사산(四山)·신사(新寺)·마교(馬橋) 등 10개 리를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구...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에서 매년 음력 정월대보름에 용지면 주관으로 개최되는 행사. 용지면에서는 달집 점화를 위주로 한 달맞이행사를 주로 개최해 왔으나, 2006년부터 김제시가 읍·면·동 단위의 정월대보름행사를 통합·폐합하여 김제시 전체의 ‘풍년맞이 정월대보름행사’로 개최하게 하였다. 그러나 김제시의 정월대보름행사의 통합 후에도 용지면 달맞이행사는 용지면의 필수적인 행사로 매년 지속...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구암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정직하고 선하며 실천하는 도덕인, 스스로 결정하고 노력하는 자주인, 새로운 것을 탐구하는 창조인, 열심히 공부하고 실력 있는 유능인, 몸과 마음이 튼튼한 건강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진[슬기롭게 찾아서], 선[올바르게 행하고], 미[아름답게 가꾸자]’이다. 1971년 3월 3일 용지중학교로 개교하였다. 1978년...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구암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정직하고 선하며 실천하는 도덕인, 스스로 결정하고 노력하는 자주인, 새로운 것을 탐구하는 창조인, 열심히 공부하고 실력 있는 유능인, 몸과 마음이 튼튼한 건강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진[슬기롭게 찾아서], 선[올바르게 행하고], 미[아름답게 가꾸자]’이다. 1971년 3월 3일 용지중학교로 개교하였다. 1978년...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구암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다양한 경험을 터득하여 독자적으로 판단하는 어린이,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길러 창의력을 발휘하는 어린이, 폭넓은 학습 경험을 통하여 진로를 탐색하는 어린이,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어린이, 바른 인성 함양으로 이웃과 나라를 사랑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부지런히 배우고, 튼튼하게...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에서 용지황토포도작목회 주관으로 개최되었던 축제. 용지황토포도축제는 미네랄 및 당도가 높고 향이 우수한 황토포도의 특징을 홍보하기 위해 1999년 9월 1일 개최하게 되었다.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에 인접한 백구면에서 백구포도축제를 시작한 것을 계기로 용지면에서도 독자적인 축제를 기획하여 ‘황토포도, 수령 젊은 포도나무, 축산 농가에서 나오는 유기물 축분을 이...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용성리의 ‘용’자와 구호리의 ‘호’자를 따서 용호리(龍湖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금구군 수류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구호리·용성리·무평리 일부를 병합하여 용호리라 하고 김제군 수류면에 편입하였다. 1935년 수류면이 금산면으로 개칭됨에 따라 김제군 금산면 용호리가 되었고, 199...
-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 대목리에 있는 백제시대 절터. 용호사 터는 원래 확실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고 기와조각만 발견되어 절터가 있었던 곳이라고 구전되어 오던 곳으로, 기와 파편과 불상이 출토되면서 삼국시대 절터로 확인되었다. 용호사 터는 김제시 성덕면 대목리의 온호절마을에 있다. 전하는 말에 따르면 삼국시대에 용호사라는 절이 마을에 있었다고 한다. 1980년 3월 7일 마을 사람...
-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 대목리에 있는 백제시대 절터. 용호사 터는 원래 확실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고 기와조각만 발견되어 절터가 있었던 곳이라고 구전되어 오던 곳으로, 기와 파편과 불상이 출토되면서 삼국시대 절터로 확인되었다. 용호사 터는 김제시 성덕면 대목리의 온호절마을에 있다. 전하는 말에 따르면 삼국시대에 용호사라는 절이 마을에 있었다고 한다. 1980년 3월 7일 마을 사람...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에 있는 자연마을. 마을을 감싸고 있는 산줄기가 마치 커다란 용이 누워 있는 형국이어서 용화동(龍華洞)이라 하였다. 1789년 간행된 『호구총수(戶口總數)』에는 용화동(龍化洞)으로 기록되어 있다. 조선 말기 김제군 수류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약 300년 전 처음 마을이 형성되었다. 약 150년 전에는 옥천육씨가 살았고, 뒤를 이어 진사 최씨, 참봉 강릉...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함평마을에 있는 조선시대 가마터. 금산리 용화동 도요지에서 출토되고 있는 분청자기와 백자편, 도지미 등으로 미루어 볼 때, 조선 전기부터 이 지역에서는 자기가 생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마을 사람들에 따르면 철탑이 세워지기 전에는 그 아래쪽으로 가마굴이 있었다고 한다. 금산리 용화동 도요지가 있는 곳은 금산리 함평마을의 서쪽 해발 150m 야산의 북동...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에 있는 자연마을. 마을을 감싸고 있는 산줄기가 마치 커다란 용이 누워 있는 형국이어서 용화동(龍華洞)이라 하였다. 1789년 간행된 『호구총수(戶口總數)』에는 용화동(龍化洞)으로 기록되어 있다. 조선 말기 김제군 수류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약 300년 전 처음 마을이 형성되었다. 약 150년 전에는 옥천육씨가 살았고, 뒤를 이어 진사 최씨, 참봉 강릉...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금산사의 불전. 금산사(金山寺)는 전라북도 내 최대의 사찰로서 여러 가지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후백제의 견훤(甄萱)[867~935]이 창건하였다고 하는 전설이 있으며,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의하면 진표(眞表)가 12살 때 금산사에서 출가하였다고 전하고 있어서 그 이전부터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금산사는 창건 당시에는 소규...
-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 월승리 벽골제 단지 내에 있는 농악 전수관. 농악은 크게 웃다리농악[경기·충청 지역]·호남좌도농악·호남우도농악·영남농악·영동농악으로 나누어진다. 호남평야에서 발달한 호남우도농악은 잔가락이 많고 다채로워 일반인들의 관심을 끌고 있으며, 이를 전수하기 위한 우도농악전수관이 전라북도 정읍·영광 등 각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벽골우도농악전수관도 그 중 하나이다. 벽...
-
전라북도 김제시 죽산면 대창리와 죽산리에 걸쳐 있는 산. 전설에 의하면 옛적에 두 형제 산이 정답게 지냈는데, 어느 날 물난리가 나자 두 산이 조난을 당해 형 산은 겨우 제자리로 돌아왔으나 동생 산은 죽산까지 떠 내려왔다고 한다. 그 산이 명량산으로 형을 잃고 슬피 울었다 하여 명량산(鳴良山)이라 전한다. 명량산은 죽산면 평야지대에 유일하게 있는 산으로 마치 누에가 길게 누워 있는...
-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 신용리에 있는 백제시대의 수리 시설인 벽골제(碧骨堤)는 노령산맥(蘆嶺山脈)의 중봉인 모악산(母岳山)·구성산(九城山)·상두산(象頭山) 등에서 발원한 풍부한 물이 흘러 이루어진 원평천(院坪川)·두월천(斗月川)·감곡천(甘谷川)·금구천(金溝川)·신복천·오주천의 물을 모았다가, 금만평야를 비롯하여 정읍과 부안군 일부 지역 농지에 농업용수로 공급하였다. 오늘날의 김제...
-
1960년대 이후 국가 주도의 산업화 정책 추진의 영향을 받아 전국적인 이촌향도(移村向都) 현상이 나타났으며, 수많은 농촌의 구성원이 도시로 이동하였다. 이러한 인구의 이동으로 농촌마을에서는 인구 과소에 따른 유효 노동 인력 부족이, 도시에서는 인구 과밀에 따른 노동인력 과잉으로 실업의 증가라는 모순적인 결과를 초래하였으며, 사회적 양극화의 원인을 제공하였다. 1997년 IMF 외...
-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몽산리에 있는 산. 몽산(夢山)은 어떤 도인이 꿈을 꾸고 나서 보니 산이 생겼다 하여 유래된 이름이다. 산 아래 마을이 소가 누워 있는 모습이라 하여 우몽산(牛夢山)이라고도 한다. 몽산의 산줄기는 호남정맥 초당골[막은댐]을 지나 모악산기맥 분기점에서 전라남도 광양시의 백운산까지 뻗어가는 호남정맥에서 분기되어 북쪽으로 달리는 모악기맥이 뿌리이다. 모악기맥은 만...
-
전라북도 김제시 서암동에 있는 우석대학교 부속 한방병원. 현대 의학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많은 질환이 치료에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침·뜸 등의 한방 의료가 대체 의학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우석대학교 부속 김제한방병원은 양방·한방의 장점을 살린 협진 시스템으로 고질 난치병들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고자 설립되었다. 1998년 7월 27일 우석대학교 부속 김제한방병원으로 개설 허가를 받...
-
전라북도 김제시 서암동에 있는 우석대학교 부속 한방병원. 현대 의학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많은 질환이 치료에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침·뜸 등의 한방 의료가 대체 의학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우석대학교 부속 김제한방병원은 양방·한방의 장점을 살린 협진 시스템으로 고질 난치병들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고자 설립되었다. 1998년 7월 27일 우석대학교 부속 김제한방병원으로 개설 허가를 받...
-
전라북도 김제시 서암동에 있는 우석대학교 부속 한방병원. 현대 의학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많은 질환이 치료에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침·뜸 등의 한방 의료가 대체 의학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우석대학교 부속 김제한방병원은 양방·한방의 장점을 살린 협진 시스템으로 고질 난치병들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고자 설립되었다. 1998년 7월 27일 우석대학교 부속 김제한방병원으로 개설 허가를 받...
-
개벽(開闢)이란 두 글자 모두 연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하늘이 열린다는 뜻의 ‘열 개(開)’자와 땅이 깨어난다는 뜻의 ‘열 벽(闢)’자가 합쳐져서 새로운 하늘과 땅이 열린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개벽(開闢)은 새로운 시대가 열리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우리 선조들은 상극 관계가 상생 관계로 전화되는 새로운 순간을 ‘개벽’이라고 불렀다. 개벽은 공간과 시간을 새롭게 하는...
-
황민보를 시조로 하고, 황응청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김제시 세거성씨. 우주황씨(紆州黃氏)의 시조는 고려시대 중윤공(中尹公)으로 추봉되었던 황민보(黃旻甫)이다. 시조의 10세손 문숙공(文肅公) 황거중(黃居中)은 태조를 도와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되어 영의정에 증직되었다. 우주(紆州)를 본관으로 정한 것은 황거중이 우주에 낙향, 그곳에 세거하였기 때문인데 우주는 전주(全州)...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구암리에 있는 개항기 우주황씨 삼세사효의 정려. 우주황씨(紆州黃氏) 황윤성·황대유·황석신·황석회 등 4명은 1906년(광무 10) 11월 같은 날 명정(命旌)되었다. 황윤성의 호는 행서이며, 타고난 성품이 온화하고 인자하였다. 11살 때 모친상을 당하자 몹시 애통해 하였고, 예를 다하여 상을 마치니 하늘에서 낸 효자라고 주위 사람들이 칭찬하였다. 그러다가 8...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구암리에 있는 우주황씨 동성마을. 우주(紆州)는 전라북도 전주시(全州市) 북쪽에 있던 지명으로 백제시대에 우소저현(于召渚縣)이었다. 757년(경덕왕 16) 우주[또는 오주(汚州)]로 개칭하여 금마군(金馬郡)[지금의 익산] 속현이 되었고, 고려시대에 전주에 속하였다. 우주황씨(紆州黃氏)의 시조 황민보(黃旻甫)는 우주에 토착한 사족의 후손으로 중윤(中尹)에 추증...
-
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 관상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운각저수지는 1945년 1월 1일 착공하여 그해 12월 31일 준공되었다. 운각저수지의 제당 형식은 휠댐이며, 제당 체적은 1,890㎥이다. 제방의 길이는 90m이고, 제방의 높이는 3m이다. 총저수량과 유효 저수량은 각각 1만 톤이다. 취수 형식은 사통형이다. 유역 면적은 5㏊이며, 홍수 면적은 1.2㏊이다. 만수 면적은...
-
전라북도 김제시 출신의 교육자이자 정치가. 윤제술(尹濟述)의 본관은 파평(坡平), 호는 운재(芸齋)이다. 1904년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석교리 앙청에서 태어났다. ‘일이관지(一以貫之)’와 ‘유성(惟誠)’ 등 자신이 좋아하는 글귀처럼 6선의 오랜 의정활동에서도 문교위원으로만 일관했고, 철저한 반독재 민주화 투쟁에 몰두해 온 지조로 일생을 바쳤다. 윤제술은 7세 무렵 동네 서당에서...
-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김제 출신의 독립운동가. 조기담(趙紀淡)의 본관은 한양, 호는 운정(雲汀)이다. 1893년 6월 9일 지금의 전라북도 김제시 옥산동 237번지에서 태어났다. 조기담은 1916년 독립운동에 뜻을 두고 동지를 규합한 뒤, 군자금 모집을 위해 미곡상인(米穀商人)으로 가장하고 군산 지방에서 활동하다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사기죄로 징역 6월형을 언도받고 옥고를 치렀다....
-
개항기 전라북도 김제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자는 국명(國明), 호는 운정(篔亭)이다. 고려 충숙왕조에 평장사를 지낸 문성공(文成公) 완산군(完山君) 최아(崔阿)가 비조(鼻祖)이다. 고려조에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 특진함경감사겸병마수군절도사(特進咸鏡監司兼兵馬水軍節度使), 순찰사(巡察使), 함흥부윤(咸興府尹) 등을 지낸 최진손(崔震孫)이 그 현조(顯祖)이다. 아버...
-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김제 출신의 서화가. 김정기(金正基)의 본관은 언양(彦陽)이고, 초명은 병익(昞翼), 자는 성일(成一), 호는 운호(雲湖)·난사(蘭史)이다. 1904년에 지금의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성계리에서 태어났다. 전라북도 정읍시에 있는 밀양손씨(密陽孫氏) 제각인 염수재에 걸린 행서로 쓴 주련(柱聯)에 ‘모악산장’이란 직인이 선명하게 새겨져 있어, 이를 별호로 사용하였음...
-
전라북도 김제시 요촌동에 있는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 사찰. 사찰의 창건 및 연혁에 관하여 1984년에 기록된 ‘원각사사적비(圓覺寺事蹟碑)’에 따르면 일제강점기인 1927년 일본인 승려 아오키 타로가 일본 동본원사(東本願寺) 계통의 작은 규모의 사찰을 창건했으며, 창건 당시 이름은 진조사였다고 한다. 1945년 8월 해방 직후에 지금의 주지인 춘명 창석이 진조사를 인수하여 원각사(圓...
-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만경리에 있는 자연마을. 여관을 비롯하여 여인숙·주막 등이 있었고, 서원(書院)에서 유학을 공부하는 학자들이 모여 살았다 하여 원거리(院巨里)라 하였다. 또한 이곳에 죄인들의 사형을 집행하는 터가 있어 백성들의 원망이 높았기 때문에 원거리(怨巨里)라고도 하였다. 동산(東山)[60m], 사직산(社稷山)[25m], 능제저수지(菱堤貯水池)가 마을을 둘러싸고 있다....
-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만경리에 있는 자연마을. 여관을 비롯하여 여인숙·주막 등이 있었고, 서원(書院)에서 유학을 공부하는 학자들이 모여 살았다 하여 원거리(院巨里)라 하였다. 또한 이곳에 죄인들의 사형을 집행하는 터가 있어 백성들의 원망이 높았기 때문에 원거리(怨巨里)라고도 하였다. 동산(東山)[60m], 사직산(社稷山)[25m], 능제저수지(菱堤貯水池)가 마을을 둘러싸고 있다....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음력 1월 1일에 행하는 세시풍속. ‘설날’은 새해의 첫날, 곧 정월 초하룻날이고, ‘설’은 새해의 첫머리이다. 이런 뜻에서 설날은 한자어로 ‘원일(元日)’, ‘원단(元旦)’, ‘세수(歲首)’, ‘연수(年首)’, ‘정조(正朝)’, ‘신일(愼日)’ 등이라고도 한다. 설날이 되면 새해에 맞이하는 첫날이라 하여 그 시작에 특별한 의미를 두어 평소와 다른 음식을 해...
-
고려 후기 전라북도 김제 지역 금산사에서 출가한 승려. 1262년(원종 3) 완산주 함열군에서 태어나 1330년(충숙왕 17) 입적하였다. 주로 원나라에서 활동했던 유가종(瑜伽宗) 승려이다. 속성은 조(趙)씨로, 아버지는 검교감문위대호군(檢校監門衛大護軍) 조혁(趙奕)이고, 어머니는 완산군부인(完山郡夫人) 이씨(李氏)이다. 원명해원(圓明海圓)[1262~1330]은 12세에 금산사(金...
-
고려 후기 전라북도 김제 지역 금산사에서 출가한 승려. 1262년(원종 3) 완산주 함열군에서 태어나 1330년(충숙왕 17) 입적하였다. 주로 원나라에서 활동했던 유가종(瑜伽宗) 승려이다. 속성은 조(趙)씨로, 아버지는 검교감문위대호군(檢校監門衛大護軍) 조혁(趙奕)이고, 어머니는 완산군부인(完山郡夫人) 이씨(李氏)이다. 원명해원(圓明海圓)[1262~1330]은 12세에 금산사(金...
-
전라북도 김제시에 있는 불교 계통의 신종교. 일원상(一圓相)[법신불(法身佛)]을 신앙 대상으로 삼고, 1916년 전라도 지역에서 박중빈(朴重彬)[1891~1943]이 추종자들과 함께 ‘불법연구회‘라는 이름으로 시작한 종교이다. 원불교는 현재 종교 연합 운동, 국제 포교 활동, 원음방송, UN NGO 활동 등을 하고 있다. 박중빈은 소년 시절부터 구도 생활을 시작하여 26세 때인 1...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에 있는 원불교 중앙여자원로수도원. 원불교 원심원은 소태산 박중빈이 거처했던 곳이다. 당시 종사는 투병 중이었는데 기도와 채약(採藥)으로 나날을 보냈다고 한다. 종사가 머물렀던 법당 뒤의 작은 산을 소삼신산이라 불렀다. 원래 지리산을 두고 삼신산이라고 부르는데, 구릿골의 삼신산은 지리산보다 작은 산이라 소삼신산이라 이름 붙인 것으로 보인다. 삼신산은 예...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금구리에 있는 원불교당. 원불교는 과학문명의 급속한 발달로 인한 세계의 일대 전환기를 맞이하여 쇠퇴해 가는 인류 도덕을 다시 일으키고 진리적 종교의 신앙과 사실적 도덕의 훈련으로서 새 시대 도덕의 기초를 세우고 고해에서 헤매는 인류를 낙원의 길로 인도하기 위해 한국에서 창설된 새로운 교단이다. 원불교에서는 불법의 ‘시대화·대중화·생활화’라는 3가지 정신 아래...
-
전라북도 김제시 요촌동에 있는 원불교당. 교화 3대 추진 운동의 일환으로 화포교당에서 박현일 교무와 김양정 교도가 1964년 5월부터 1년 간 출장 법회를 통해 교화의 문호를 개척하여 1965년 4월 김제 교육지원청 회의실에서 200여 명의 청중을 모아 김영신 교무를 초빙하여 교리강습을 주제하였다. 그 결과 30여 명의 새 교도를 얻게 되었고 1965년 4월 11일 초대 장정수 교...
-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만경리에 있는 원불교당. 원불교는 전라남도 영광(靈光)에서 출생한 소태산(少太山) 박중빈(朴重彬)이 법신불(法身佛) 일원상(一圓相)의 진리를 믿음의 대상과 수양의 표본으로 삼아 1916년에 개창한 종교이다. 원불교의 이상은 진리적 신앙과 사실적 도덕의 훈련을 통하여 낙원 세계를 실현시키는 것이며, ‘Ο’을 상징으로 나타내어 불교의 현대화·대중화·생활화를 주장...
-
전라북도 김제시 봉남면 용신리에 있는 원불교당. 원불교는 전라남도 영광(靈光)에서 출생한 소태산(少太山) 박중빈(朴重彬)이 법신불(法身佛) 일원상(一圓相)의 진리를 믿음의 대상과 수양의 표본으로 삼아 1916년에 개창한 종교이다. 원불교의 이상은 진리적 신앙과 사실적 도덕의 훈련을 통하여 낙원 세계를 실현시키는 것이며, ‘Ο’을 상징으로 나타내어 불교의 현대화·대중화·생활화를 주장...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에 있는 원불교 중앙여자원로수도원. 원불교 원심원은 소태산 박중빈이 거처했던 곳이다. 당시 종사는 투병 중이었는데 기도와 채약(採藥)으로 나날을 보냈다고 한다. 종사가 머물렀던 법당 뒤의 작은 산을 소삼신산이라 불렀다. 원래 지리산을 두고 삼신산이라고 부르는데, 구릿골의 삼신산은 지리산보다 작은 산이라 소삼신산이라 이름 붙인 것으로 보인다. 삼신산은 예...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쌍용리에 있는 원불교 요양원. 원불교는 전라남도 영광(靈光)에서 출생한 소태산(少太山) 박중빈(朴重彬)이 법신불(法身佛) 일원상(一圓相)의 진리를 믿음의 대상과 수양의 표본으로 삼아 1916년에 개창한 종교이다. 원불교의 이상은 진리적 신앙과 사실적 도덕의 훈련을 통하여 낙원 세계를 실현시키는 것이며, ‘Ο’을 상징으로 나타내어 불교의 현대화·대중화·생활화를...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쌍용리에 있는 원불교 요양원. 원불교는 전라남도 영광(靈光)에서 출생한 소태산(少太山) 박중빈(朴重彬)이 법신불(法身佛) 일원상(一圓相)의 진리를 믿음의 대상과 수양의 표본으로 삼아 1916년에 개창한 종교이다. 원불교의 이상은 진리적 신앙과 사실적 도덕의 훈련을 통하여 낙원 세계를 실현시키는 것이며, ‘Ο’을 상징으로 나타내어 불교의 현대화·대중화·생활화를...
-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화포리에 있는 원불교당. 원불교는 전라남도 영광(靈光)에서 출생한 소태산(少太山) 박중빈(朴重彬)이 법신불(法身佛) 일원상(一圓相)의 진리를 믿음의 대상과 수양의 표본으로 삼아 1916년에 개창한 종교이다. 원불교의 이상은 진리적 신앙과 사실적 도덕의 훈련을 통하여 낙원 세계를 실현시키는 것이며, ‘Ο’을 상징으로 나타내어 불교의 현대화·대중화·생활화를 주장...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음력 3월 3일에 행하는 세시풍속. 음력 3월 3일 삼짇날에는 겨우내 움츠렸던 마음을 펴고, 이제 다시 새로운 농사일을 시작할 시점에서 서로 마음을 다 잡고 한 해의 건강과 평화를 비는 의미에서 다양한 의례와 풍속을 행하였다. 삼짇날은 한자어로 ‘삼진일(三辰日)’, ‘원사(元巳)’, ‘상제(上除)’라고도 한다. 이 날에는 강남 갔던 제비가 날아오고, 나비가...
-
전라북도 김제시 진봉면 정당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원연저수지는 1945년 1월 1일 착공하여 그해 12월 31일 준공되었다. 원연저수지의 제당 형식은 휠댐이며, 제당 체적은 1,800㎥이다. 제방의 길이는 150m이고, 제방의 높이는 3m이다. 총저수량과 유효 저수량은 각각 52,000톤이다. 취수 형식은 사통형이다. 유역 면적은 25㏊이며, 홍수 면적은 2.6㏊이다. 만...
-
전라북도 김제시 진봉면 정당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원연저수지는 1945년 1월 1일 착공하여 그해 12월 31일 준공되었다. 원연저수지의 제당 형식은 휠댐이며, 제당 체적은 1,800㎥이다. 제방의 길이는 150m이고, 제방의 높이는 3m이다. 총저수량과 유효 저수량은 각각 52,000톤이다. 취수 형식은 사통형이다. 유역 면적은 25㏊이며, 홍수 면적은 2.6㏊이다. 만...
-
전라북도 김제시 진봉면 정당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원연저수지는 1945년 1월 1일 착공하여 그해 12월 31일 준공되었다. 원연저수지의 제당 형식은 휠댐이며, 제당 체적은 1,800㎥이다. 제방의 길이는 150m이고, 제방의 높이는 3m이다. 총저수량과 유효 저수량은 각각 52,000톤이다. 취수 형식은 사통형이다. 유역 면적은 25㏊이며, 홍수 면적은 2.6㏊이다. 만...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음력 1월 1일에 행하는 세시풍속. ‘설날’은 새해의 첫날, 곧 정월 초하룻날이고, ‘설’은 새해의 첫머리이다. 이런 뜻에서 설날은 한자어로 ‘원일(元日)’, ‘원단(元旦)’, ‘세수(歲首)’, ‘연수(年首)’, ‘정조(正朝)’, ‘신일(愼日)’ 등이라고도 한다. 설날이 되면 새해에 맞이하는 첫날이라 하여 그 시작에 특별한 의미를 두어 평소와 다른 음식을 해...
-
개항기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용호리에서 일어난 동학농민군의 전투. 동학농민군이 전주성을 점거한 뒤 조선 정부가 항쟁을 진압하기 위해 외국군을 끌어들이자 동학농민군은 척왜(斥倭)를 부르짖으면서 1894년 9월에 다시 일어나 북진하였다. 10월 하순에 주력부대는 논산에서 합세한 다음 공주를 점령하고 서울로 진격하려고 시도하였는데, 농민군의 논산 집결 소식이 정부에 보고되자 관군과 일...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성계리에 있는 공공도서관. 김제교육문화회관 금산분관은 지적 문화유산을 수집·보존하여 이를 후세에 전승시키는 문화 전달자로서의 책무를 수행하고, 지역민들에게 지적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2년 3월 2일 착공되어 같은 해 8월 27일 준공되었고, 그해 9월 22일 원평공공도서관으로 개관하였으며, 2010년 도서관 조직개편...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성계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소속 교회. 김제 두정리에서 마부 생활을 하던 이자익은 최의덕 선교사의 지도로 신앙 교육을 받았다. 최의덕 선교사의 진실에 감동된 이자익은 팟정이교회[현 금산교회]에서 학습, 세례 문답을 거쳐 다시 영수의 일까지 보게 되면서 1909년 두정리 지역의 면소재지인 구봉리에 구봉교회를 설립하였다. 1930년 원평리로 예배당을...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들이 넓어 원들·너른들·원평이라 한 데서 이름을 따 원평리(院坪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금구군 수류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구암리·용흥리·성암리 각 일부를 병합하여 원평리라 하고 김제군 수류면에 편입하였다. 1935년 수류면이 금산면으로 개칭됨에 따라 김제군 금산면 원평리가 되었고, 1995년 1월 1일 김제...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원평리에서 생산되는 배. 모악산(母岳山)에서 흘러내린 모래와 흙이 쌓여 이루어진 김제시 금산면 원평리 일대 삼각주는 토양의 물 빠짐이 좋아 일제강점기부터 배 재배의 적지로 선정되어 배를 재배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1999년 476,000㎡에서 1,158톤, 2000년 498,000㎡에서 1,206톤을 생산하였다. 2001년에는 502,000㎡에서 1,225톤...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원평리에 있는 천주교 전주교구 소속 천주교회. 전라도 최초의 본당은 금구의 배재[현재의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안덕리]에 있었다. 본당은 주교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은 신부가 일정한 곳에 상주하면서 관할 구역의 공동체를 사목하는 교회 단위를 말한다. 한국의 성당은 오랫동안 본당이 없이 공소로만 운영되었다. 공소는 본당보다 적은 단위로써 신부가 주재하지 못하는 지...
-
1919년 3월 20일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원평리에서 일어난 독립만세 운동. 1910년 조선을 강제 병합한 일본이 조선에서 무단 통치를 실시하여, 조선인은 기본권을 박탈당하고 혹독한 탄압을 받았다. 이에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저항이 다양한 경로로 나타났다. 한편 국외에서는 제1차세계대전의 전후 처리 문제를 논의하는 가운데 1918년 1월 윌슨 미국 대통령이 ‘민족자결주의’ 원칙...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모악산에서 발원하여 봉남면을 거쳐 동진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원평천(院坪川)은 김제시 금산면 화율리에서 지방2급 하천으로 시작된 뒤 금구천이 합류하는 봉남면에서 국가 하천으로 바뀌고 죽산면에서 동진강에 합류하여 서해로 흘러든다. 예전에는 우리나라 도작문화의 발상지였던 김제시 부량면 벽골제[사적 제111호]의 수원(水源)으로 이용되었다. 원평천과 동진강 사이에...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모악산에서 발원하여 봉남면을 거쳐 동진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원평천(院坪川)은 김제시 금산면 화율리에서 지방2급 하천으로 시작된 뒤 금구천이 합류하는 봉남면에서 국가 하천으로 바뀌고 죽산면에서 동진강에 합류하여 서해로 흘러든다. 예전에는 우리나라 도작문화의 발상지였던 김제시 부량면 벽골제[사적 제111호]의 수원(水源)으로 이용되었다. 원평천과 동진강 사이에...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성계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민주 시민 의식을 기초로 공동 선을 추구하며 충·효·예를 실천하는 어린이, 다양한 체험을 통해 지식을 쌓고 개성을 키우는 어린이, 사물에 대하여 새롭게 생각하고 깊이 탐구하는 어린이, 근검·절약·협동·봉사하여 자기 진로를 개척하는 어린이, 튼튼한 몸과 풍부한 정서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쌍용리에 있는 버스터미널. 원평터미널은 1973년 3월 전라북도 김제시와 금산면을 비롯한 인근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교통 편의를 위하여 건립되었다. 1973년 3월 건립된 이후 2000년대 초반까지 원평터미널로 진입하는 도로는 전국에서 유일한 비포장도로였으나, 2002년 포장도로로 바뀌면서 원평터미널 건물에 대한 리모델링 공사를 실시하였다. 원평터미널은...
-
전라북도 김제시 순동에 있는 인삼 및 홍삼제품 제조업체. 원한방제약은 인간 존중 정신을 바탕으로 인류의 건강 증진에 이바지하며, 국가 경제와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9년 2월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장선리에서 대표 최강식이 고려홍삼주식회사로 설립하였다가 5월에 전주시 덕진구 팔복동으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1999년 11월 소망화장품에 홍삼농축액을 납품하기...
-
전라북도 김제시 신풍동에 있는 대한불교 원효종 소속 사찰. 대한불교 원효종은 비구와 대처의 분쟁에서 조계종을 이탈한 정수용, 손근도, 김수길, 이종구, 손월제 등의 일부 대처승들이 모여 정수용을 초대 종정으로, 경주 망월사를 총 본산으로 하여 출범하였다. 종정(宗正)으로 추대된 정수용은 경주 출신으로 조계종의 승려가 되어 기림사(祗林寺) 주지를 지내고 망월사(望月寺)에 있다가 19...
-
조선 전기 김제 출신의 무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입부(立夫), 호는 월곡(月谷). 장인은 충청수사(忠淸水使)를 역임한 최호(崔湖)이다. 아들로 나형(羅珩)이 있다. 나신도(羅伸道)[1568~?]는 1594년(선조 27)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1596년(선조 29) 이몽학(李夢鶴)이 난을 일으키자 장인인 최호와 함께 홍산[지금의 부여] 등지에서 전공을 세웠다. 그리고 159...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한 해를 단위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주기적·전승적·반복적·의례적으로 거행하는 행동 양식이나 생활 행위. 세시풍속이란 해마다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으로 행하는 주기적인 생활 풍속을 말한다. 예부터 이를 ‘세시(歲時)’, ‘세사(歲事)’, ‘월령(月令)’, ‘시령(時令)’ 등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는 사계절의 변화가 분명하여 계절에 따라 세시행사를 행하였다. 농...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 제비산에 있는 사찰. 월명사(月明寺)는 1957년 승려 이영기가 창건한 사찰로, 금산사(金山寺) 입구 제비산 중턱에 자리하여 산세가 수려하고 앞에 금산저수지가 있어 주위 경관이 아름다운 수도처로 유명하다. 제비산 중턱 경사진 자리에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집 용화전이 있으며, 양 옆에 선방과 산신각이 자리하고 있다. 가파른 경사 50m 아래에 염...
-
전라북도 김제시 백구면 월봉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도정공장. 오오쓰미[大隅] 도정공장 또는 부용 도정공장이라고 부르는 월봉 도정공장은 일본이 민중을 착취하고 수탈할 때 지어진 건물이다. 일제시대 김제 만경평야는 쌀과 돈이 넘쳐흘러 조선 식민지 침탈에 나선 일본 제국주의자들에게 새로운 도시를 계획하기에 매력적인 곳이었다. 그래서 일제는 김제 지역에 기반 시설을 확충하고 근처에 항구를...
-
전라북도 김제시에 속하는 법정동. 중심 마을인 봉월과 난봉에서 각각 ‘월’자와 ‘봉’자를 따서 월봉(月鳳)이라 하였다. 원래 김제군 월산면에 속하였다가 1914년 월산면과 대촌면을 병합하여 월촌면이 됨에 따라 월촌면 월봉리가 되었다. 1989년 김제읍이 김제시로 승격하면서 김제시 월촌동이 되었고, 1998년 교동과 월촌동이 병합됨에 따라 교동월촌동 관할 법정동인 월봉동이 되었다....
-
전라북도 김제시 백구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월연리의 ‘월’자와 봉산리의 ‘봉’자를 따서 월봉리(月鳳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김제군 목연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봉산리·화죽리·월연리·부용리 일부, 공동면 반월리 일부를 병합하여 월봉리라 하고 김제군 백구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
전라북도 김제시에 속하는 법정동. 중심 마을인 수월마을의 ‘월’자와 성리마을의 ‘성’자를 따서 월성(月城)이라 하였다. 원래 금구군 하서면에 속하였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성리·수월·신정을 병합하여 김제군 하리면 월성리가 되었다. 1935년 하리면과 초처면의 통합으로 봉남면 월성리가 되었고, 1989년 김제읍이 김제시로 승격하면서 김제시 봉황동에 편입되었다. 1998년...
-
전라북도 김제시 월성동에 있는 초기국가시대에서 삼국시대 토성 터. 전라북도 김제시 월성동 성동마을 뒤에 자리한 해발 약 20여 m의 낮은 언덕에 위치한다. 월성토성이 있던 곳은 원평천(院坪川)과 금구천(金溝川)이 합류되는 동쪽에 자리하였는데, 월성평야 즉 옛 금구천 유역 가운데에서 가장 좁은 곳이기도 하였다. 이곳 구릉지대에 월성토성이 자리잡고 있었다. 월성동 월성토성 터에서는 초...
-
전라북도 김제시 월성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민주시민의 예절과 질서를 익혀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 소질을 계발하고 개성을 살려 꿈을 가꾸어 가는 어린이, 협력적 사고력과 탐구심을 통해 새롭게 창조하는 어린이, 아름다운 정서와 기초 체력을 다져 심신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큰 뜻을 향해 슬기롭고 건강한 어린이가 되자’이다. 1944년 3월 1일 봉...
-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제월리의 ‘월’자와 초승리의 ‘승’자를 따서 월승리(月昇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김제군 부량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제월리와 초승리를 병합하여 월승리라 하고 김제군 부량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부량면 월승리가 되었다. 남쪽으...
-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 월승리에 있는 조선시대 방축지. 월승리 제주 방축지는 1415년(태종 15) 9월에 벽골제 대보수 공사 시 제주도 장정들만 일하던 곳이라는 설과, 교통이 불편했을 때라 제주도 주민들이 고생 끝에 김제에 도착했으나 이미 보수 공사가 끝나 허탈하여 방죽을 파놓은 것이라는 설이 있다.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 월승리 초승마을 뒤에 있는 명금산 아래의 논 일대에 위치...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김제 출신의 무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숙거(叔擧), 호는 월암(月岩). 아버지는 나환(羅瓛)이고, 동생은 나구기(羅九紀)·나백기(羅百紀)이다. 나팔기(羅八紀)[1623~1676]는 1651년(효종 2)에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宣傳官)이 되었고 사헌부감찰을 거쳐 남포현감을 지내다가 부모를 봉양하기 위해 관직에서 물러났다. 얼마 후 조정에서 다시 불러 희...
-
조선 후기 김제 출신의 농업 개척자. 본관은 나주(羅州). 호는 월암(月庵). 아버지는 나창일(羅昌一)이다. 나휘소(羅徽素)는 1741년 김제군 읍내면[현재의 김제시 신월동]에서 태어났다. 벽골제 내에 위치한 표박평(瓢朴坪)은 남쪽으로는 정읍시 감곡면 삼평리, 동쪽으로는 봉남면과 황산면, 북쪽으로는 김제시에 접하는 넓은 평야지만 용배수 시설이 전혀 되어 있지 않던 시절, 조금만 비...
-
조선 후기 김제 출신의 무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공보(共寶), 호는 월재(月齋). 아버지는 이몽학(李夢鶴)의 난과 임진왜란에서 공을 세운 나신도(羅伸道)[1568~?]이다. 나형(羅珩)은 지금의 김제시 신풍동에서 태어났다. 1618년(광해군 10) 무과에 급제하여 정략장군(定略將軍)으로 선전관청선전관을 지냈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전라병사 김준룡(金...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당월리의 ‘월’자와 어전리의 ‘전’자를 따서 월전리(月田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금구군 동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당월리·봉산리, 동도면 어전리를 병합하여 월전리라 하고 김제군 금구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금구면 월전리가 되...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당월리의 ‘월’자와 어전리의 ‘전’자를 따서 월전리(月田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금구군 동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당월리·봉산리, 동도면 어전리를 병합하여 월전리라 하고 김제군 금구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금구면 월전리가 되...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월전리에 있는 삼국시대 고분군. 고분이란 성토를 한 옛 무덤을 통칭하는 것이지만, 고고학 상으로 볼 때 일정한 형식을 갖추고 있는 고대 사회의 분묘 양식을 말한다. 고분의 축조 방식은 불교의 전래 이전과 이후가 많은 차이를 보인다. 불교 전래 이전에는 분묘를 축조하면서 피장자의 곁에 껴묻거리[副葬品]를 많이 묻는 반면, 전래 이후에는 불교의 화장법이 성행함에...
-
전라북도 김제 출신의 정치인. 조한백(趙漢栢)의 본관은 김제(金堤), 호는 월촌(月村)이다. 1908년 3월 30일 전라북도 김제시 명덕동에서 아버지 조두현(趙斗鉉)과 어머니 부령김씨 사이에서 외아들로 태어났다. 조한백은 어려서부터 강직하고 영민하였다. 교직에 있을 때는 일제의 조선어 교육 폐지 사건에 항거하여 교사직을 사퇴하였다. 조국 광복 후 『대동신문』 전북지사장을 거쳐 초대...
-
전라북도 김제시 연정동에 있는 농공단지. 월촌농공단지(月村農工團地)는 신행정수도의 배후 중심지로 공업 입지 제공에 따른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1991년 10월 21일 농공단지로 지정 승인되어, 1992년 9월부터 1993년 12월까지 총 사업비 60억 원을 투입하여 조성되었다. 1993년 12월 30일 농공단지 준공 인가를 받았으며, 1999년 3월 12일 농공단지 관...
-
전라북도 김제시 제월동, 신월동, 월봉동, 월성동, 양전동에 걸쳐 있는 농경지. 월촌들은 남쪽의 원평천(院坪川)과 동진강(東津江) 사이에 발달한 하곡 충적평야인 부량들[외뱀이들] 및 서쪽의 죽산들[대메들]과 이어지는 해발고도 5m 미만의 넓은 평야로 이루어져 있다. 월촌들은 원평천과 두월천(斗月川)의 합류 지점인 제월동, 신월동, 월봉동, 월성동, 양전동 일대에 형성되어 있는 하곡...
-
전라북도 김제시 제월동, 신월동, 월봉동, 월성동, 양전동에 걸쳐 있는 농경지. 월촌들은 남쪽의 원평천(院坪川)과 동진강(東津江) 사이에 발달한 하곡 충적평야인 부량들[외뱀이들] 및 서쪽의 죽산들[대메들]과 이어지는 해발고도 5m 미만의 넓은 평야로 이루어져 있다. 월촌들은 원평천과 두월천(斗月川)의 합류 지점인 제월동, 신월동, 월봉동, 월성동, 양전동 일대에 형성되어 있는 하곡...
-
전라북도 김제시 입석동에 있는 삼국시대 선돌. 선돌[立石]은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에 길쭉한 자연석이나 그 일부를 가공한 큰 돌을 어떤 믿음의 대상물이나 특수 목적을 가지고 세운 것으로 삿갓바위, 입석, 입암(立岩)이라고도 한다. 마을의 입석은 제사 신앙이 수반되어 마을 신앙의 대상으로 신격화되기도 하고 풍요를 기원하는 대상이 되기도 한다. 월촌입석은 예부터 마을의 경계를 표시하...
-
전라북도 김제시 입석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기본 생활 습관을 기르고 이웃과 나라를 사랑하는 어린이, 민주 시민 교육의 생활화로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 폭넓은 교양을 바탕으로 진로를 계획하는 어린이, 우리의 전통과 문화를 이해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어린이,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의지가 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바르고 씩씩하며 지혜로운 어린이가 되...
-
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의 지형이 초승달 형상이어서 월현리(月弦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김제군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대리·목교리·석한리·장천리·중대리 일부, 동이면 신기리 일부를 병합하여 월현리라 하고 김제군 청하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청하면 월현리가 되었다. 2009년...
-
조선 전기 김제 벽골제를 수축한 문신. 본관은 진원(珍原). 초명은 희종(熙宗), 자는 자인(子仁), 호는 위남(葦南). 아버지는 현감을 지낸 박온(朴溫)이다. 박희중(朴熙中)은 생원으로 1401년(태종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1405년 이조좌랑이 되었다. 1406년(태종 6) 군자감승(軍資監丞)으로 전라도경차관(全羅道敬差官)에 임명되었다. 이어 세자부좌정자(世子傅左...
-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언양(彦陽). 할아버지는 금오위섭낭장(金吾衛攝郞將)을 지낸 김언련(金彦連)이고, 아버지는 예부시랑과 금오위대장군(金吾衛大將軍)을 지낸 김부(金富)이다. 외할아버지는 검교장군행랑장(檢校將軍行郞將)을 지낸 송세명(宋世明)이고, 어머니는 대부인 송씨(大夫人宋氏)이다. 아내는 복야(僕射) 조언통(趙彦通)의 딸이다. 슬하에 3남 1녀가 있었는데, 그 중 한 명이...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에서 발원하여 원평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유각천이 발원하는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 유각마을에는 전주시와 김제시의 경계를 이루는 모악기맥의 유각치가 있다. 유각치의 북동쪽은 동진강의 분수령이다. 청도리는 본래 전주군 우림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일제강점기에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금구면 두정리와 동곡리, 수류면의 용정리 일부를 합하여 청도리라는 명칭으로...
-
전라북도 김제시 백구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유천리의 ‘유’자와 강좌리의 ‘강’자를 따서 유강리(柳江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김제군 목연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유천리·장과리·율포리·신정리·부용리 일부, 만경군 북이도면 동계리, 익산군 남일면 도자강리 일부를 병합하여 유강리라 하고 김제군 백구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 보급된 종교로서 유학의 연원과 전개 현황. 호남은 지역적으로 영남유학과 대별되는 기호유학에 포함되어 있다. 호남 향촌사회의 유학자들은 도학사상을 기반으로 학술활동 및 치민활동을 하면서도 의리와 실천을 그 근본정신으로 하는 강한 생명력을 지니고 있다. 김제 지역 유교의 전래는 김제향교와 금구향교, 만경향교를 중심으로 용암서원을 비롯한 30여 개의 서원·재·강당에...
-
조선 전기 김제 출신의 열녀. 박씨는 남편 유구연(柳九淵)이 죽자 3년 동안 여묘(廬墓)를 했다. 여묘를 마친 뒤에는 남편의 얼굴을 그려 벽에 걸어 두고 사철 의복을 지어 시렁에 달아 두면서 아침저녁 제사 지내는 것을 그치지 않았다. 박씨의 절의를 높이 평가하여 나라에서 세역을 감면해 주었다....
-
조선 후기 김제 출신의 의병.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용재(用齋), 호는 반곡(盤谷). 아버지는 별좌(別坐) 유태형(柳泰亨)이고, 자의(諮議) 유집(柳楫)의 동생이다. 유도(柳棹)[1592~?]는 큰형인 유집을 따라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그리고 시남(市南) 유계(兪棨), 기암(畸庵) 정홍명(鄭弘溟) 등과 더불어 교우하면서 학문을 연마하였다. 유집과...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음력 6월 15일에 지내는 세시풍속. 유두(流頭)란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는다는 뜻이다. 음력 6월 15일, 즉 6월 보름은 유두라는 유월명절이다. 이를 ‘유두날’, ‘유두일’이라고도 한다. 이날이 되면 맑은 개울을 찾아가서 목욕을 하고 머리를 감으며 하루를 즐긴다. 이렇게 하면 상서롭지 못한 것을 쫓고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유두란 ‘동류수두목...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음력 6월 15일에 지내는 세시풍속. 유두(流頭)란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는다는 뜻이다. 음력 6월 15일, 즉 6월 보름은 유두라는 유월명절이다. 이를 ‘유두날’, ‘유두일’이라고도 한다. 이날이 되면 맑은 개울을 찾아가서 목욕을 하고 머리를 감으며 하루를 즐긴다. 이렇게 하면 상서롭지 못한 것을 쫓고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유두란 ‘동류수두목...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음력 6월 15일에 지내는 세시풍속. 유두(流頭)란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는다는 뜻이다. 음력 6월 15일, 즉 6월 보름은 유두라는 유월명절이다. 이를 ‘유두날’, ‘유두일’이라고도 한다. 이날이 되면 맑은 개울을 찾아가서 목욕을 하고 머리를 감으며 하루를 즐긴다. 이렇게 하면 상서롭지 못한 것을 쫓고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유두란 ‘동류수두목...
-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김제 출신의 서화가. 본관은 문화(文化). 호는 유하(柳下). 아들로 동곡 유근상[1909~?]이 있다. 유근상은 아버지의 화풍을 이어받아 문인화에 두루 능하였으며, 특히 묵죽이 간결하였고 화풍이 맑았다. 묘소는 김제시 백산면 KBS 송신소가 있는 선영 아래 자리하고 있다. 묘비가 없어 후손이나 친지와 함께 가지 않으면 찾기가 쉽지 않다. 유영완(柳永完)[189...
-
전라북도 김제 출신의 유학자. 송기면(宋基冕)의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군장(君章), 호는 유재(裕齋)이다. 1882년 김제시 백산면 상정리 요교마을에서 아버지 송응섭(宋應燮)과 어머니 전주최씨 사이에서 5남매 중 다섯째로 태어났다. 절의와 순국의 의리를 강조한 교육자이자 만인에게 사표(師表)가 되는 호남의 거유(巨儒)로서 숭앙받았다. 송기면은 어려서부터 매우 총명하였으며, 특...
-
개항기 김제 출신의 의병. 호는 죽헌(竹軒)이고, 이명은 종규(種奎)이다. 1859년 10월 7일 지금의 전라북도 김제시 공덕면 마현리에서 태어났다. 유종규(柳鐘奎)는 1905년 을사조약으로 대한제국의 국권이 서서히 강탈당하자 1906년 4월 전라도 태인에 있는 무성서원(武城書院)에서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1833~1906]이 의병을 모집할 때 참여하여 임병찬(林炳瓚)·최재...
-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 묘라리에 있는 조선시대 유종숙의 묘역. 유종숙(柳宗淑)은 신녕현감을 지낸 것으로 알려져 있을 뿐 정확한 관력은 알 수 없다. 『문과방목(文科榜目)』에 나오지 않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문과에 급제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김제시 성덕면 묘라리에 있는 진주유씨의 종중 묘역에는 현재 수기의 무덤이 자리하고 있다. 김제시 성덕면 묘라리의 남산서원 옆으로 진주유씨...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김제 출신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후성(後聖), 호는 반구당(伴鷗堂)이다. 할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유희춘(柳喜春)이고, 아버지는 사복시주부 유광복(柳光復)이며, 어머니는 승지 남치상(南致祥)의 딸이다. 유지화(柳志和)[1599~1680]는 1633년(인조 11)에 효행으로 천거되어 창릉참봉(昌陵叅奉)에 제수되었으며, 선공감봉사(繕工監奉事)·상의원주부...
-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 묘라리에 있는 조선 후기 충신 유지화의 정려. 유지화(柳志和)의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준성(俊聖), 호는 반구당(泮鷗堂)이다. 일찍이 아버지가 돌아가자 3년 동안 무덤 곁에서 움막을 짓고 정성껏 모신 다음 계모를 효로써 봉양하였다. 인조 때에 이르러 효성이 지극하다 하여 참봉 벼슬을 받았고 다시 주부에 올랐다. 이때 병자호란이 일어나 인조가 남한산성으로...
-
조선 전기 김제 출신의 문신이자 의병.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용여(用汝), 호는 백석(白石). 아버지는 형조좌랑 유태형(柳泰亨)이며, 어머니는 한양조씨(漢陽趙氏)로 승지에 증직된 유정(惟精)의 딸이다. 동생으로 이괄의 난과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킨 유도(柳棹)가 있다. 유집(柳楫)은 최명룡(崔命龍)·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1616년(광해군 8)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1...
-
전라북도 김제 출신의 교육 선구자. 자는 경안(景安), 호는 유천(瑜泉)이다. 사재를 털어 김제중학교를 설립하는 데 앞장선 지방 교육의 선구자로 묘소는 전라북도 김제시 교동월촌동 사직단에 자리하고 있다. 조재돈(趙在敦)은 1881년 김제군 읍내면[현재의 전라북도 김제시 교동]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몸가짐이 단정하여 남의 귀감이 되었으며, 효성도 지극하여 동네 사람들로부...
-
전라북도 김제시에 있는 유아 교육 담당 기관. 전라북도 김제 지역은 6·25전쟁의 역사적 시련을 거치고 난 후, 천주교와 개신교가 앞장서서 유치원을 개원하였다. 김제 지역 최초의 유치원은 사립 김제성모유치원으로 1956년 천주교단에서 지원하여 김제시 요촌동에서 설립했으며 1976년 개신교가 개원한 김제중앙유치원과 더불어 김제 지역 어린이 교육에 크게 공헌하였다. 이후 1981년을...
-
조선 전기 김제 출신의 문신이자 의병.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응운(應運), 호는 수곡(樹谷). 문화군(文化君) 유진(柳鎭)의 8세손이다. 부인은 한양조씨(漢陽趙氏)로 승지에 증직된 유정(惟精)의 딸이다. 아들로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킨 유집(柳楫)[1585~1651]과 유도(柳棹)[1592~?]가 있다. 유태형(柳泰亨)은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이다. 사마시(司馬...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삼봉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육송사(六松祠)는 본래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삼봉리에 살고 있는 언양김씨(彦陽金氏)의 집안 사당으로 창건된 것이어서 육송사에 모셔져 있는 사람들은 모두 언양김씨이다. 당초 배향되었던 송씨 3형제[송정기(宋廷耆)·송정구(宋廷耈)·송정모(宋廷模)]가 제외되고, 현재는 묵제 김관(金瓘)[1425~1485]을 중심으로 용암 김승속(...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달력의 계절과 실제 계절과의 차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1년 중의 달수가 어느 해보다 많은 달. 윤달은 태음력에서 계절의 추이를 맞추기 위하여 평년의 12개월에다가 한 달 더 보탠 달을 말한다. 윤달은 일정치 않아 3년에 한 차례, 또는 5년에 두 차례로 그 주기가 조금씩 달라지며, 일정한 달에 윤달이 들지 않는다. 태양력처럼 하루가 길어지는 것이 아니라 같은...
-
전라북도 김제시 월봉동에 있는 효자 윤복룡의 정려. 파평 사람인 윤복룡(尹福龍)은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가 병을 얻어 누웠을 때 방방곡곡에 수소문하여 약을 구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손가락을 깨물어 피를 마시게 하는 등 병을 치료하기에 온 힘을 쏟았다. 그러나 끝내 부모가 돌아가시자 예를 다하여 장례를 치르고 3년 동안 무덤 곁에 움막을 짓고 모셨다. 그 후로도 3년...
-